$\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횡단보도 옐로카펫 설치에 따른 시인성 증진효과 연구 : Visual Attention Software 분석 중심으로
Study on Visual Recognition Enhancement of Yellow Carpet Placed at Near Pedestrian Crossing Areas : Visual Attention Software Implementation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5 no.4, 2016년, pp.73 - 83  

안효섭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정책및시스템공학과) ,  김진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destrian safety was recently highlighted with a yellow carpet, a yellow-colored pavement material prepared for children waiting for signals for pedestrian crossing, without validation of its efficiency in practice. It was a promising device likely to assist highway safety by stimulating pedestri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운전자의 시선 집중 변화를 계량화하는 IT기술을 활용하여 현장에 설치된 ‘옐로카펫’으로 인한 운전자 시인성 증진 효과를 공학적으로 진단한 내용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옐로카펫’ 상부로 스스로 진입하여 올라가는 넛지(Nudge)효과에 대한 검증을 배제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증진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에 근거하여 현장에 설치되고 있는 ‘옐로카펫’의 객관적 효과를 VAS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이들의 연구가 연속류 도로 운전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는 하나 ‘옐로 카펫’에 ‘형광 황색’ 색상의 사용으로도 유사한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가정을 하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어린이 교통사고 횡단보도 이용자 사망자수 증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중앙정부의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 교통사고는 단일로 횡단보도 및 교차로 횡단보도 주변에서 차량 및 주변 요인 등으로 인한 운전자 시야가림 및 시선분산이 주요 원인이라 지적되고 있다(Kim, 2013; Ko, 2016). 그럼에도 지방정부는 대중교통 활성화 및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시설을 도로 주변에 설치하고 단속 규제를 완화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증가를 방치하는 등 어린이들의 안전보행횡단 환경 개선 여지가 발견되지 않는다(Jang, 2013; Choi and Jun, 2013).
Visual Attention Software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미국 쓰리엠(3M, 2010)이 제안하는 Visual Attention Software(VAS)는 국가별, 인종별, 성별, 연령대별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 행동양상 자료를 움직임 패턴으로 학습한 전산모형으로 실제 운전자 시선 집중 수준 참값 대비 90%의 예측 정확도를 가진다고 보고된다. 특정 상황(이미지)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문화적, 종교적, 정서적 차이 없이 사람의 시각 시스템 반응 패턴만을 모사하여 다양한 주제 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Zhang et al., 2008; Tseng et al.
온도 지도는 무엇인가? ‘온도 지도’는 해당 상황(이미지)에 처하였을 시초기 3~5초 시간 동안 시선이 집중하게 될 확률이 높은(70~100%) 지점을 ‘적색’으로 표출하고, 중간 (40~70%)인 지점은 ‘황색’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40% 미만)은 ‘청색’으로 표출하는 지도이다. 이들 3가지 색상 경계부분의 색상은 점진적으로 변화를 주어 상대적인 시인성 집중도 변화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3M, "3M Visual Attention Service Validation Study", 3M Commercial Graphics Division, 2010. 

  2. Bachman, W.G., T.A. Wingert, and C.J. Bassi, "Driver Contrast Sensitivity and Reaction times as Measured through a Salt-covered Wind Shield", Optometry Journal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Vol.77, No.2, 2006, 67-70. 

  3. Choi, I.S. and D.W. Jun, "Study on Current Statues of Illegal Vehicle Stops and Parki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2013. (최인수, 전대욱, "불법 주정차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4. Green Transport, "The Citizen's Systematic Driven Yellow Carpet Devices", 2016, Available at http://www.greentransport.org/453 (Accessed July 19. 2016). 

  5. Jang, W.J., "Preliminary Planning of Local and Area-wide Public Transit in the SaeJoung Metropolitan Area",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3. (장원재, "세종특별지구에서 지역과 지구 전체 대중교통의 예비 계획", 한국교통연구원, 2013.) 

  6. Kim, J.T., "Study on Supplemental Devices for Pedestrian Crossings Areas in School-safety Zon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013. (김진태, "학교 안전 구역 내 보행자 횡단 구간을 위한 보조 장치 연구", 국립한국교통대학교, 2013.) 

  7. Kim, J.T., J.Y. Kim, H.S. Bae, and J.Y. Kim,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ized Technology and Certification of SIL based on RAMS for RPSD,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4. (김진태, 김준용, 배현식, 김주영, "RPSD 용 RAMS 기반의 상용화 기술 개발 및 SIL 인증", 한국교통연구원, 2014.) 

  8. Ko, B.K., "Study on Drivers Eye-sight Blind Situations Due to Illegal Vehicles Stops and Parking", Sam-sung Traffic Safety Research Institute, 2016. (고병곤, "불법 주정차로 인한 운전자의 시각적 장애 상황에 대한 연구",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2016.) 

  9. Ko, S.K., K.J. Choi, S.S. Lee, and I.S. Yun, "A Conspicuity Effect Study of Fluorescent Orange Color Traffic Signs for Work Zone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2, No.5D, 2012, 437-444. (고상근, 최기주, 윤일수, "공사구간 형광주황색 교통안전표지 적용에 따른 주목성 효과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2권, 제5D호, 2012, 437-444.) 

  10. Lee, J.H. and S.K. Lee, "A Framework of the Convergent Service Development Process in the Public Sector : The Smart Transportation Card Service of Seoul City and the Call for Collaboration Case in Singapor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12, No.2, 2013, 387-410. (이진휘, 이석규, "공공분야 융합 서비스 개발 Framework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스마트교통카드 서비스와 싱가포르 CFC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2호, 2013, 387-410.) 

  11. Tseng, P.H., R. Carmi, I.G. Cameron, D.P. Munoz, and L. Itti, "Quantifying Center Bias of Observers in Free Viewing of Dynamic Natural Scenes", Journal of Vision, Vol.9, No. 7, 2009, 1-16. 

  12. Zhang, L., M.H. Tong, T.K. Marks, H. Shan, and G.W. Cottrell, "SUN : A Bayesian Framework for Saliency Using Natural Statistics", Journal of Vision, Vol.8, No.7, 2008,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