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산림환경을 기반으로 한 산사태 발생 위험성의 예측 및 평가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Landslide Hazard Based on Regional Forest Environment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2, 2014년, pp.233 - 239  

마호섭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원석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성재 (서울대학교 학술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산림지역을 중심으로 수량화이론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여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해 산사태 발생 위험성에 대한 예측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평가하였다. 산사태 발생지 붕괴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모암(화성암), 횡단사면(복합), 침엽수림(임상), 사면경사($21{\sim}30^{\circ}$ 이상)이었다. 각 인자의 Range를 추정한 결과, 횡단사면 (0.292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모암(0.2691), 임상(0.2631), 사면경사(0.2312)순으로 나타났다. 산사태 발생 위험도 판정표를 기준으로 4개 인자의 category별 점수를 계산한 추정치 범위는 0 점에서 1.0556 점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앙값은 0.5278 점이었다. I 등급의 점수는 0.7818 이상, II 등급은 0.5279~7917, III 등급은 0.2694~0.5278, IV 등급은 0.2693 이하로 나타났다. 1 등급 및 2 등급에서 산사태 발생 비율이 72%로서 비교적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판정표는 산사태 위험도 판정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criteria for the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through analysis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landslide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산림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산사태 취약지역 선정 및 조기감지시스템 도입에 활용할 목적으로 산사태 발생지를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에 따른 각 환경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하여 산사태 발생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산사태 발생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산림환경을 기반으로 산사태 발생지를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면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도출하고,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산지재해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산지재해 원인은 주로 기압이 불안정한 여름철 장마기간에 생기는 집중호우와 7~9월 한반도를 통과하는 태풍으로 인한 국지성 호우 등을 들 수 있다. 지난 30년간(1971~2000)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1,312 mm이었는데, 최근 2000년대(2000~2009)에는 1,389 mm로 77 mm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추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산지재해 원인은 주로 기압이 불안정한 여름철 장마기간에 생기는 집중호우와 7~9월 한반도를 통과하는 태풍으로 인한 국지성 호우 등을 들 수 있다. 지난 30년간(1971~2000)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1,312 mm이었는데, 최근 2000년대(2000~2009)에는 1,389 mm로 77 mm 증가하였다. 계절별로 보면 여름철에 96 mm 증가하였지만 봄철에는 13 mm 감소하여, 홍수와 가뭄의 상반된 기상현상이 함께 더욱 발생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Cho, 2011).
산지재해 원인 중 산사태 등이 위험한 이유는? 산사태 등 토사재해가 발생되어 생산된 토사, 유목 및 토석은 토석류로 발전하면서 계곡침식과 함께 많은 토사석력들이 유출되고 주택, 도로 및 농경지를 덮치면 인명 및 재산피해가 가중되게 된다(Ma and Jeong, 2007; Korea Forest Service, 2012). 특히, 최근 10년간(‘04-13) 연평균 산사태 발생면적은 456 ha로서 서울의 남산 면적(339 ha) 보다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sugun. 2006. Report of Flood Rehabilitation Propulsion Situation. pp. 1-4. 

  2. Cho, C.H. 2011. The Cause and Prospect of Climate Change. National Foresty Cooperative Federation San. pp. 74-77. 

  3. Choi, E.Y. 2010. Korea landslide interpretation using. Master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4. Choi, K. 1986. Landslides occurrence and its prediction in Korea.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5. Jeong, K.W. 2010. Studies on the caus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and the development of hazard prediction map for landslide in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6. Jo, M.H. and Jo, Y.W. 2009. Developing Forecast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by Integrat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Topographical Data - A Case Study of Uljin Area -.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 1-10. 

  7. Kang, J.T., Jung, S.Y., Ma, H.S., and Chung, Y. G. 1999. Analysis of the Forest-land Conservation Function by the GIS. Research Bulletin of Experiment Fores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9: 63-70. 

  8. Kang, W.P., Hiroshi, M., Hiroshi, O., and Ma, H.S. 1986. On the determination of slope stability to landslide by quantification(II). Journal Korean Forestry Society 75: 32-37. 

  9. Kim, G.H., Won, S.Y., Youn, J.H., and Song, Y.S. 2008. Hazard Risk Assessment for National Roads in Gangneu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 33-39. 

  10. Kim, Y.J., Kim, Y.S., and Jo, W.C. 2010. Landslide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s Construction in Dalsung Area of Daegu. Jo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6(5): 10-18. 

  11. Korea Forest Service. 2012. Spot Manual for Prevention and Response on Landslide. pp. 114. 

  12. Korea Forest Service. 2014. Expert Workshop for Landslide Prevention in Korea. pp. 94. 

  13. Lee, S.H. 2005. Application of physically based hydrologic model to the prediction of shallow landslide potential area using GIS.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Chungbuk University Korea. 

  14. Lee, S.R. 2001. Application of Regional Landslide Susceptibility, Possibility,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GIS.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4(4): 385-394. 

  15. Ma, H.S. 1990. Studies on landslide and debris flow in Mt. Chiri district. Research Bulletin of Experiment Fores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 13-25. 

  16. Ma, H.S. 1992. Studies on Landslides and debris flow in Mt. Chiri district(II). Research Bulletin of Experiment Fores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 17-28. 

  17. Ma, H.S. 1994.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3: 175-190. 

  18. Ma, H.S. 2001.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Direction in Korean National Parks.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7: 17-21. 

  19. Ma, H.S. and Jeong, W.O. 2007. 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6: 611-619. 

  20. Ma, H.S., Jeong, W.O., and Park, J.W. 2008. Development of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7: 326-331. 

  2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6. Developmenet of QRA system and damage mitigation technology of landslides. pp. 360. 

  2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8. Development of Prediction and Reduction Technology in Landslide. 

  23. Oh, C.Y., Jun, K.W., Jang, C.D., and Jun, B.H. 2011. Verifying of Soil Water Index for Sediment Disaster Triggering in Mountainous Area.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7(4): 167-176. 

  24. Toshio Shimizu. 1977. Statistical Analysis on Hazard Stability in Granite area. Journal of Japanese Forestry Society 59: 186-190. 

  25. Toshio Shimizu. 1978. Discrimination of Dangerous Slope in Landslide - Theory and Technology -. Forest Techniques 439: 23-26. 

  26. Woo, C.S., Lee, C.W., and Jeong, Y.H. 2008. Study on Application of Topographic Position Index for Prediction of the Landslide Occurre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nology 11(2):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