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품질 공간정보를 이용한 토석류 분석을 통한 산사태위험지도의 갱신방안 -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
An upgrade of Landslide Hazard Map with Analysis of Debris Flow using High-Quality Geo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5년, pp.17 - 24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유영걸 (대원대학교 철도건설과) ,  박건 (강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춘천지역을 대상으로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된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분석을 위해 고해상도 디지털항공사진영상과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고품질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또한 산사태 발생 지역에 대한 기존 산사태 위험등급도와 산사태 관련인자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집중호우에 의해 토석류를 동반한 산사태 피해가 많이 발생된 지역을 대상으로 토석류의 분석결과를 검토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의 산사태 위험지도를 효과적으로 갱신하고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관리에 고품질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tilized high quality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roduced by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and Airborne LiDAR data in order to analyse landslides and debris flows induced by the heavy rainfall in Chuncheon area. Also, this study analysed correlation between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정밀 자료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산사태 관리 및 피해분석에 필요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GIS 분석 방법과 산사태 및 토석류의 발생 예측을 통해 산사태 및 토석류를 분석하였다. 또한 토석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 등급도의 개선, 수정 및 갱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토석류의 특성을 분석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종합적인 산사태 및 토석류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및 토석류의 분석을 위해 항공 LiDAR 데이터, 고해상도 디지털항공사진 등의 고품질 공간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산사태 및 토석류의 현황 분석 및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산사태 위험 등급도의 갱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최대 높이를 고려한 산사태 위험 등급도의 갱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Fig.
  • 산사태 위험 등급도를 개선 및 갱신하기 위해서는 토석류 분석을 통해 계산된 토석류 지도를 중첩 계산하여 갱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등급도의 지형인자들에 판정기준과 연구대상지역의 산사태 및 토석류의 발생 특성이 유사성이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기존 피해 지역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이들 자료로는 기존 산사태 위험등급도, 현황측량 자료, 1:5000 수치지형도 및 항공 LiDAR 자료, 디지털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고정밀 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자료를 활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위험 등급도를 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토석류 분석에서 RAMMS의 입력 자료는 지형자료인 DEM, 마찰정보(건조유형마찰(μ), 점성유형마찰(ζ)), 수문자료(유출량, 시간)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DEM의 격자크기는 5m로 설정하여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값은 흐름 높이, 흐름 속도, 3D & 2D 지도 및 단면 그래프 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석류는 강우와 관련하여 어떻게 피해를 발생시키는가? 토석류는 산지나 급경사지에 짧은 시간동안에 강우가 집중되어 높은 수위의 홍수파를 형성시켜 흙, 자갈, 나무 등이 함께 유동되어 하류지역에 하천범람, 배수시 설 역류, 도로유실 및 주택침수 등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토석류의 발생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토석류의 발생원인은 지질구조, 지형, 토질 등의 내적요인과 강우, 지진 등의 자연적 요인, 절토사면, 벌목 등의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신뢰성 높은 예측 및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Yoo et al., 2008).
기존의 산사태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적 특성에 알맞은 정밀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을 위한 인자 추출 방법 및 평가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어떤 분석이 필요한가? 따라서 지역적 특성에 알맞은 정밀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을 위한 인자 추출 방법 및 평가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최신기술과 고품질, 고정밀의 항공 LiDAR 자료와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 등의 공간정보에 대한 활용 가능성 및 활용방안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erger C. McArdell B.W. and Schlunegger F., 2011, Direct measurement of channel erosion by debris flows, Illgraben, Switzerland. J. Geophys. Res., 116. 

  2. Christen M., Bartelt P. and Kowalski J. (2010a). Back calculation of the In den Arelen avalanche with RAMMS: interpretation. Ann. Glaciol., Vol. 51, No. 54, pp. 161-168. 

  3. Graf C. and McArdell B., 2008. Simulation of debris flow runout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mitigation measures: an example from the Swiss Alps. Proc.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BRIS FLOWS: Disasters, Risk, Forecast, Protection. Pyatigorsk, Russia, 22-29 September 2008, pp. 233-236. 

  4. Park, J. K., Yang, I. T., Kim, T. H., Park, H. G., 2008, Extraction of landslide risk area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6, No. 1, pp. 27-39. 

  5. Scheuner T., Schwab S., McArdell B., 2011.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in risk and hazard assessment in Switzerland. In 5th DFHM, Padua, Italy. 

  6. Yang, I. T., Chun, K. S., Park, J. K., Lee, S. Y., 2007,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5, No. 1, pp. 39-46. 

  7. Yoo, N.J., Cheon, S. H., and Park, N. S., 2008, Research for debris-flow and landslide characteristics in Gangwon,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Vol. 26, No. A, pp. 3-10. 

  8. Yoo, N. J., and others, 2012,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3, No. 9, pp. 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