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 단기 모니터링
Two years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Torrential Stream Restoration Sit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2, 2014년, pp.240 - 247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주형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기영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장지욱 (구미시청 산림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복원기법 및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수질정화습지와 월류보, 수생식물 복원지에서 복원 전, 후 식생변화를 2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복원 1년 후 월류보에서 초본류 증가와 수질정화습지에서 줄풀의 피복도 증가가 조사되었다. 식생 피복률은 복원직후 10~30% 감소되었고, 복원 1년 후 복원 전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는 복원 후 1년 경과시점부터 서식종수, 귀화률, 피복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toration research in a mountain stream of hydrologic cycle system, which is a type of microsites purposely changing vegetation. The status of vegetation in the three experimental sites, water purification site, small dammed pole site, and aquatic plant restoration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는 복원기술의 타당성과 복원계획에 대한 검증이 될 수 있으며, 복원사업 대상지의 생태계 변화에 대하여 유연하고 순응적인 관리방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폐 계류에서의 복원 전과 후의 식생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복원 공법의 적용이 식생발달과 종다양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계류복원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황폐 계류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5개월간 수질정화습지와 월류보, 수생식물 복원지를 조성하고, 이에 나타난 복원 효과를 복원전, 복원 직후, 복원 1년 후로 각각 구분하여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복원 1년 후 식생은 수질 정화습지에서 8종 감소하였고, 월류보는 12종 증가하였으며, 수생식물 복원지는 6종 감소, 대조구는 7종으로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폐화된 계류의 발생이 산림생태계에 좋지 않은 이유는? 최근 기상이변으로 여름철 집중호우가 증가됨에 따라 산지재해의 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산지 물순환 체계에도 영향을 주어 산지계류의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황폐화된 계류는 주변에 있는 식생의 서식공간을 변화시켜 종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등 산림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이처럼 계류를 보호하고 보존하는 것은 산림생태계유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Lee, 2009).
황폐화된 계류 발생을 가속하는 요인은? 최근 기상이변으로 여름철 집중호우가 증가됨에 따라 산지재해의 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산지 물순환 체계에도 영향을 주어 산지계류의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황폐화된 계류는 주변에 있는 식생의 서식공간을 변화시켜 종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등 산림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최근 산지재해 발생 빈도가 늘어나는 이유는? 최근 기상이변으로 여름철 집중호우가 증가됨에 따라 산지재해의 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산지 물순환 체계에도 영향을 주어 산지계류의 황폐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황폐화된 계류는 주변에 있는 식생의 서식공간을 변화시켜 종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등 산림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rnhardt, E.S., Palmer, M.A., Allan, J.D., Alexander, G., Barnas, K., Brooks, S., Carr, S., Clayton, S., Dahm, C., Follstad-Shah, J., Galat, D., Gloss, S., Goodwin, P., Hart, D., Hassett, B., Jenkinson, R., Katz, S., Kondolf, G.M., Lake, P.S., Lave, R., Meyer, J.L., O'Donnell, T.K., Pagano, L., Powell, B., Sudduth, E. 2005. Synthesizing U.S. river restoration efforts. Science 308: 636-637.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Drit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pp. 865. 

  3. Choi, H.T., Jeong, Y.H., Kim, K.H., Youn, H.J., and Yoo, J.Y. 2008. [Ecological Restoration of Mountain Streams II - Ecological Restoration Plan and Analysi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30 (In Korean). 

  4. Choung, Y.S. and Roh, C.H. 2002. Application of Macrophytes for the Treatment of Drained Water from a Freshwater Fish-Farm.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5(1): 45-50. 

  5. Chun, S.H., Hyun, J.Y., and Choi, J.K. 199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2): 58-68. 

  6. Kim, J.J. 2009. A Study on the Method of the Riparian Revegetation Techniques for the Riparian Areas Restoration : Focused on the Han-River Riparian Areas. Ph. D. Thesis. Dankook University pp. 118. 

  7. Kim, T.G. and Park, M.A. 2000. Instability and Adjustment of Point Bar with Phragmites Japonica. Journal of Jinju National University 39: 21-28. 

  8. Lee, H.H., Lee, D.H., Suk, S.I., and Joo, J.D. 2004. Developing of artificial wetland model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the small-stream.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2: 341-343. 

  9. Lee, M.G. 2009.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Wetlands. M. Sc. Thesis. Chonbuk University. pp. 144. 

  10. Markoff, D. 2004. The river doctor-profile Dave Rosgen. Science 305: 937-939. 

  11. Min, K.S., Kwak, Y.S., and Kim, J.H. 2005. Changes in Form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Sediment by Growth of Zizania Latifoli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8(2): 93-98. 

  12. Ministry of Environment. 1997. Development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pp. 31.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Stream restoration guidelin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pp. 255. 

  14. Macoto, N. 1975. [Naturalized Plant. Environmental Science Library]. Dainippon Tosho. p 160 (In Japanese). 

  15. Park, J.C. and Lee, H.H. 2000. At a Watershed in Mt. Palgong Variations of Stream Water Quality Caused by Discharge Chang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9(3): 342-355. 

  16. Park, J.H. 2002. Special Issues : Consideration on Environmentally Friendly Erosion Control Strategy for Conservation of Stream Valley Ecosystem (1).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storation Technology 5(5): 67-25. 

  17.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rendon Press. Oxford. pp. 632. 

  18. U, H.S. and Kim, S.T. 2000. A Review and Understanding of Stream Corridor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3: 126-144. 

  19. Woo, B.M. 1997. Development of Forest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ique. Annual Report of Research i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1: 160-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