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
Major Metabolites Involved in Skin Blackening of 'Niitaka' Pear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3, 2014년, pp.359 - 365  

이은진 (서울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를 untargeted GC-MS 그리고 targeted HPLC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GC-MS 분석 결과 아미노산, 유기산, 당 관련 총 40개의 대사체를 정성할 수 있었고 건전과는 과피흑변과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대사체 함량을 보였다. 특히 serine,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건전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과피 흑변과에서는 threonine, fumaric acid, gluconic acid 함량이 높았다. 개개의 phenolic compounds 분석 결과 건전과에서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는 ascorbic acid가 과피 흑변과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포 내 비정상적인 호흡 및 에너지 대사과정, 항산화 능력 결여가 신고 배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iental pear (Pyrus communis L. cv 'Niitaka') was stored at $0^{\circ}C$ for 5 months and major metabolites involved in blackening of the peel were analyzed by untargeted GC-MS and targeted HPLC methods. In this study, peels of sound and skin-blackened pea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를 untargeted GC-MS 그리고 targeted HPLC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GC-MS 분석 결과 아미노산, 유기산, 당 관련 총 40개의 대사체를 정성할 수 있었고 건전과는 과피 흑변과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대사체 함량을 보였다.
  • 국내 수확 후 연구 분야에서는 아직 대사체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원예산물 수확 후 진행되는 다양한 생리 현상과 생리 장해 그리고 품질 변화를 대사체 수준에서 연구하고자 처음 시작되었다. 그 첫번째로 우리나라 주요 과실인 신고 배 저온 저장 시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세포 내 주요 대사체 변화를 GC-MS를 이용한 총 대사체 분석(untargeted analysis) 또는 HPLC를 이용한 특정성분 분석(targeted analysis)를 통하여 알아보고 얻어진 정보를 향후 수확 후 대사체 database를 구축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리 장해란? 과실을 수확 후 저장하는 동안 과육 및 과피 변색, 부패, 섬유질화, 연화 등 다양한 품질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저장고 내부의 온도 및 가스 농도, 에틸렌 발생 등에 의하여 세포 내 비정상적인 생리 현상이 유발되고, 이의 결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난 것을 생리 장해(physiological disorders)라 한다. 동양 배(Pyrus communis L.
대사체학 연구가 전 학문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된 예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009). 예를 들어, 미생물 및 식물의 계통 분류, 식물의 대사 경로 규명 및 유용 물질 생산,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 개발, 농산물 원산지 판별 등이다. 수확 후 분야에서의 대사체학 연구는 최근 들어 외국을 중심으로 연구논문이 꾸준하게 발표되고 있다.
신고 배 과육 및 과피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확 후 처리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신고 배 과육 및 과피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진행된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확 후 처리 기술의 예는 저장 전 EDTA-Ca와 열처리(Choi et al., 1995; Kang and Lee, 2003; Kang et al., 2003), controlled atmosphere(CA) 저장(Yang, 1997) 등이며 외국의 경우 polyethylene film을 이용한 modified atmosphere 저장(Furuta et al., 1992), CA 저장(Larrigaudiere et al., 1998; Ma and Chen, 2003; Veltman et al., 2003), 1-methycyclopropene을 이용한 방법(Trinchero et al., 2004)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S.J., Y.P. Hong, and Y.B. Kim. 1995. Prestorage treatments to prevent fruit skin blackening during cold storage of Japanese pear 'Shingo' ('Niitaka'). J. Kor. Sci. Hort. Sci. 36:218-223. 

  2. Coseteng, M.Y. and C.Y. Lee. 1987. Changes in apple polyphenoloxidase and polypheno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degree of browning. J. Food Sci. 52:985-989. 

  3. Dai, J. and R.J. Mumper. 2010. Plant phenolics: Extraction, analysi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Molecules 15:7312-7352. 

  4. Franck, C., J. Lammertyn, Q.T. Ho, P. Verboven, B. Verlinden, and B.M. Nicolai. 2007. Browning disorders in pear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43:1-13. 

  5. Franck, C., M. Baetens, J. Lammertyn, N. Scheerlinck, M.W. Davey, and B.M. Nicolai. 2003. Ascorbic acid mapping to study core breakdown development in 'Conference' pears. Postharvest Biol. Technol. 30:133-142. 

  6. Furuta, M., S. Asano, and S. Imai. 1992. Prevention of browning of the peel of pears by polyethylene film packaging. Packaging Technol. Sci. 5:91-100. 

  7. Hernandez-Sanchez, N., B.P. Hills, P. Barreiro, and N. Marigheto. 2007. An NMR study on internal browning in pears. Postharvest Biol. Technol. 44:260-270. 

  8. Hong, Y.P., S.K. Lee, Y.M. Park, and H.S. Park. 2008. Developmental anatomy and features of the exocarp as related with fruit skin disorders in 'Niitaka' pear fruit. J. Japan. Soc. Hort. Sci. 77:382-387. 

  9. Kang, H.K. and S.K. Lee. 2003. Effects of prestorage treatment by EDTA-Ca and heating on skin blackening and quality during cold storage in 'Niitaka' pear fruits. J. Kor. Soc. Hort. Sci. 44:52-56. 

  10. Kang, H.K., Y.K. Yoo, and S.K. Lee. 2003. Effects of prestorage heat treatment on changes of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incidence of skin blackening in 'Niitaka' pear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Kor. Soc. Hort. Sci. 44:197-200. 

  11. Kim, S.H., S.O. Yang, K.H. Kim, Y.S. Kim, K.H. Liu, Y.R. Yoon, D.H. Lee, C.H. Lee, G.S. Hwang, M.W. Chung, K.H. Choi, and H.K. Choi. 2009. Research trends, applications, and domestic research promotion stratigies of metabolomics. Kor. Soc. Biotechnol. Bioenginner. J. 24:113-121. 

  12. Larrigaudiere, C., I. Lentheric, and M. Vendrell. 1998. Relationship between enzymatic browning and internal disorders in controlledatmosphere stored pears. J. Sci. Food Agric. 78:232-236. 

  13. Lau, O.L. 1998. Effect of growing season, harvest maturity, waxing, low $O_{2}$ and elevated $CO_{2}$ on flesh browning disorders in 'Braeburn' apples. Postharvest Biol. Technol. 14:131-141. 

  14. Ma, S.S. and P.M. Chen. 2003. Storage disorder and ripening behavior of 'Doyenne du Comice' pears in relation to storage conditions. Postharvest Biol. Technol. 28:281-294. 

  15. Oms-Oliu, G., M.L.A.T.M. Hertog, B. Van de Poela, J. Ampofo- Asiama, A.H. Geeraerd, and B.M. Nicolai. 2011. Metabolic characterization of tomato fruit during preharvest development, ripening, and postharvest shelf-life. Postharvest Biol. Technol. 62:7-16. 

  16. Park, Y.S. 1999a. Carbon dioxide-induced flesh browning development as related to phenolic metabolism in 'Niitaka' pear during storage. J. Kor. Soc. Hort. Sci. 40:567-570. 

  17. Park, Y.S. 1999b. Changes in the incidence of fruit skin blackening, phenolic acids, and ethanol production of non-astrigent 'Fuyu' persimmon fruits during CA and MAP storage. J. Kor. Soc. Hort. Sci. 40:83-87. 

  18. Pedreschi, R., C. Franck, J. Lammertyn, A. Erban, J. Kopka, M. Hertong, B. Verlinden, and B. Nicolai. 2009. Metabolic profiling of 'Conference' pears under low oxygen stress. Postharvest Biol. Technol. 51:123-130. 

  19. Pesis, E. 2005. The role of the anaerobic metabolites, acetaldehyde and ethanol, in fruit ripening, enhancement of fruit quality and fruit deterioration. Postharvest Biol. Technol. 37:1-19. 

  20. Rudell, D.R. and J.R. Mattheis. 2009. Superficial scald development and related metabolism in modified by postharvest light irradiation. Postharvest Biol. Technol. 51:174-182. 

  21. Seo, J.H., Y.S. Hwang, J.P. Chun, and J.C. Lee. 2001.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occurrence of skin brow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purified polyphenol oxidases in oriental pear fruits. J. Kor. Soc. Hort. Sci. 42:184-188. 

  22. Sweetlove, L.J., J.L. Heazlewood, V. Herald, R. Holtzapffel, D.A. Day, C.J. Leaver, and A.H. Miller. 2002. The impact of oxidative stress in Arabidopsis mitochondria. Plant J. 32:891-904. 

  23. Trinchero, G.D., G.O. Sozzi, F. Covatta, and A.A. Fraschina. 2004. Inhibition of ethylene action by 1-methylcyclopropene extends postharvest life of "Bartlett" pears. Postharvest Biol. Technol. 32:193-204. 

  24. Veltman, R.H., I. Lentheric, L.H.W. Van der Plas, and H.W. Peppelenbos. 2003. Internal browning in pear fruit (Pyrus communis L. cv Conference) may be a result of a limited availability of energy and antioxidants. Postharvest Biol. Technol. 28:295-302. 

  25. Yang, Y.J. 1997. Inhibition of the skin blackening by postharvest factors in 'Niitaka' pear fruit. J. Kor. Soc. Hort. Sci. 38:730-73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