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창녕에서 출토된 5-6세기 토기의 암석광물학적 특성 연구 및 소성온도 추정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ring Temperature of Pottery in the 5-6th Century from Changnyeong,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2, 2014년, pp.63 - 72  

우현동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김옥순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고분군 일대에서 발견된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물학적 동정과 미세조직관찰, 화학성분 분석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편광현미경 하에서 토기 시료들을 관찰한 결과 석영, 장석류가 주구성 광물이었으며, 그 외에도 규장질 화산암(felsic volcanics), 비짐(temper), 저급점토에 주로 함유되는 불투명광물 등이 관찰되었다. XRD와 FTIR을 통해 현미경으로 볼 수 없었던 멀라이트, 적철석, 스피넬 등이 관찰되었다. 조사된 토기시편에서 보이는 흐름선과 색이 다른 기질이 혼재는 두 가지 이상의 점토를 사용하였거나 반죽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소성온도가 $1,200-1,300^{\circ}C$로 제작된 토기에서 관찰되는 일반적인 석기의 특징은 보이지 않으나 다소의 기공이 존재하고 석영을 비롯한 특정 광물들의 결정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소성온도는 $1,000^{\circ}C$ 정도에서 소성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고온광물인 멀라이트가 토기의 내부보다는 외곽부나 균열 부근에서 주로 관찰되며 토기 내외부의 산화정도가 다른 것은 균질한 소성환경이 조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규장질 화산암편이 관찰되고 일부 시료에서 크리스토발라이트가 관찰되는데, 크리스토발라이트의 형성온도가 일반적으로 1,470^{\circ}C$ 이상임을 감안하면 소성 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태토 내에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e firing temperature and condition of earthenwares in the 5-6th Century which are found at ancient tombs in Gyo-dong, Gyo-ri, Changnyeong-eup,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TKorea by applying petrological method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창녕지역에서 출토된 경질 토기편들을 대상으로 첫째, 토기의 구성광물과 산출지에 관한 자연과학적인 분석기법을 적용하고 둘째, 구성광물과 조직의 분석특성을 기반으로 창녕토기의 소성환경에 대한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무엇을 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고분군 일대에서 발견된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물학적 동정과 미세조직관찰, 화학성분 분석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는 어디서 발견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고분군 일대에서 발견된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물학적 동정과 미세조직관찰, 화학성분 분석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기 위해 무엇을 시행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고분군 일대에서 발견된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물학적 동정과 미세조직관찰, 화학성분 분석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편광현미경 하에서 토기 시료들을 관찰한 결과 석영, 장석류가 주구성 광물이었으며, 그 외에도 규장질 화산암(felsic volcanics), 비짐(temper), 저급점토에 주로 함유되는 불투명광물 등이 관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bott, D.R., Lack, A.D., and Hackbarth, M.R. (2008) Provenance and Microprobe Assays of Phyllite- Tempered Ceramics from the Uplands of Central Arizona. Geoarchaeology. Geoarchaeology, 23, 213-242. 

  2. Choi, M.L. (1981) Analysis of Plain Coarse Pottery from Cholla Province, and the Implication for Ceramic Technology and so-called Yeongsan River Valley Culture Area.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10-11, 261-276. 

  3. Choi, M.L., Shin, S.J., and Lee, D.Y. (1996) Archaeology and Nature Science - Pott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504p. 

  4. Gim, R.H., Lee, S.M., Jang, S.Y., and Lee, C.H. (2009)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Nongseori Site in Giheu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255-271. 

  5. Jang, S.Y., Moon, E.J., Lee, C.H., and Lee, G.G. (2012)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Post-depositional Influence of Iron Age Pottery from Chipyeongdong Site in Gwangju,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5, 157-167. 

  6. Jang, S.Y., Lee, G.G., Moon, H.S., and Lee, C.H. (2009) Interpretation of Material Provenanc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Pottery and Kilns from Gundong and Majeon Sites in the 3rd Century at Yeonggwa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101-114. 

  7. Kim, J.Y., Park, J.Y., Park, D.S., and Lee, C.H. (2010)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Crucible in Baekje Kingdom Excavated from the Ssangbukri Site in Buyeo,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1. 

  8. Kim, K.W. and Lee, Y.J. (1969) Geologic map of Korea, Changnye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9. Kim, N.J. and Lee, H.K. (1964) Geologic map of Korea, Yeongsa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0. Kim, R.H., Lee, S.M., Jang, S.Y., and Lee, C.H. (2009) Interper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Nongseori Site in Gigeu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255-271. 

  11. Lee, H.M., Yang, D.Y., Koo, J.J., Kim, J.Y., Han, C.H., and Choi, S.W. (2004)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of Earthen Wares in Daecheonri Prehistory Site of Okcheon Countr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8, 1-20. 

  12. Lee, M.S., Lee, G.J., and Lee, C.H. (2005) Archae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Pottery from the Jagaeri Prehistoric Site, Dangj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66-171. 

  13. Lee, W.E., Souza, G.P., McConville, C.J., Tarvornpanich, T., and Iqbal, Y. (2007) Mullite formation in clays and clay-derived vitreous ceramic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28, 465-471. 

  14. Palanivel, R. and Kumar, U.R. (2009) Therm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of Ancient Potteries. Romanian Journal of Physics, 56, 195-208. 

  15. Palanivel, R. and Kumar, U.R. (2011) The minera logical and fabric analysis of ancient pottery artifacts. Ceramica, 57, 56-62. 

  16. Ravisankar, R., Kiruba, S., Eswaran, G., and Chandrasekaran, A. (2010)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Studies of Ancient Potteries of Tamilnadu, India by FT-IR Spectroscopic Technique. E-Journal of Chemistry, 7, 185-190. 

  17. Rice, P.M. (1996) Recent Ceramic Analysis: 1. Function, Style, and Origins. Jounal of Archaeological Research, 4, 133-163. 

  18. Rutherford, J.S., Almond, M.J., and Nunn, P.D. (2012) Analysis of pottery samples from Bourewa, the earliest known Lapita site in Fiji.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85, 155-159. 

  19. Schiffer, M.B. and Skido, J.M. (1987) Theory and Experiment in the Study of Technological Change. Current Anthropology, 28, 595-622. 

  20. Velraj, G. et al. (2008) Estimation of firing temperature of some archaeological pottery shreds excavated recently in Tamilnadu, India,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72, 730-733. 

  21. Yu, H.J. and Yun, Y.Y. (2001) Easy History of Korean Pottery. Hakgojae, 76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