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분지 시추 코어시료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및 지구화학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of Drill Cores from the Pohang Basi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3, 2014년, pp.167 - 185  

이태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이기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정창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정연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김남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김명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항분지 374-3390 m 심도에서 채취한 3개 시추공 코어 시료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과 함께 주원소 및 Sr-Nd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원소 분석 결과 총알칼리-규산 도표에서 천부화산암은 유문암으로, 심부심성암은 반려암과 화강암으로 도시되었으며 AFM 다이아그램에서는 칼크-알칼리 계열의 분화경향을 보인다. $K_2O-SiO_2$ 상관도에 따르면 모두 High-K 영역에 속하며 일부 주성분원소들은 $SiO_2$ 함량에 따른 상관성을 보인다.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 한 시추공의 천부화산암에 대해 $66.84{\pm}0.66Ma$ (n=12, MSWD=0.02)와 $66.52{\pm}0.55Ma$ (n=12, MSWD=0.46)의 일치곡선연령 값을 획득하였으며, 다른 시추공의 화산암에 대해서는 $71.34{\pm}0.85Ma$ (n=11, MSWD=0.79)와 $49.40{\pm}0.37Ma$ (n=11, MSWD=1.9)의 일치곡선연령 값과 가중평균 값을 획득하였다. 또 다른 시추공의 화강암에서 추출한 저어콘은 $261.8{\pm}1.5Ma$(n=31, MSWD=1.3)의 가중평균값을 나타내었고 반려암에서 추출한 저어콘은 조직적 특징에 따라 $262.4{\pm}3.6Ma$ (n=21, MSWD=4.5)와 $252.4{\pm}3.6Ma$ (n=8, MSWD=1.9)의 연대를 보였다. 천부화산암 상부 퇴적암의 연대측정 결과 신원생대에서 신생대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21.89{\pm}1.1Ma$ (n=15, MSWD=0.04)와 $21.68{\pm}1.2Ma$ (n=10, MSWD=19)의 가장 젊은 일치곡선연령이 구해졌다. 이 연구 결과는 포항분지 심부가 페름기 후기에서 에오세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된 심성암 및 화산암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위에 아마도 동해확장과 관련되어 마이오세 초기 이후에 퇴적된 지층이 피복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페름기 심부심성암의 전암 $^{87}Sr/^{86}Sr$ 초기치 (0.7034-0.7042)와 ${\varepsilon}_{Nd}$ 초기치 (4.0-5.1)는 비슷한 연대범위를 가지는 영덕 지역의 화강암류와 유사하며 이들 화강암류가 백악기-제3기의 경상분지 화강암 기원물질로 재순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RIMP zircon U-Pb ages and major element and Sr-Nd isotopic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for drill cores (374-3390 m in depth) recovered from three boreholes in the Pohonag basin, southeastern Korea. Shallow-seated volcanic rocks and underlain plutonic rocks were geochemically classified as rhyo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Yun(1986)은 기존에 6개로 분류된 포항분지의 지층을 암상적, 그리고 습곡된 암석의 구조적인 재조사를 통해 하부에서부터 3개의 지층 즉 천북역암층, 학전층 그리고 두호층으로 구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 가운데 Yun(1986)이 층서검토 및 수정을 통해 제시한 포항분지 3기층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퇴적층을 기술하고자 한다(Fig. 1). 포항분지는 전술한 것 처럼 3개의 지층으로 구분가능하며 이들 지층들은 주로 남북 또는 북동-남서방향으로 분포하고 있다.
  • 이와 같이 시추코어를 이용한 포항분지 심부기반암에 대한 연대측정 연구가 몇 차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할 만한 연대측정 데이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포항분지 천부에 분포하는 기반암인 화산암류에 관한 연대측정 및 지구화학 연구 결과는 아직 발표된 바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포항분지 내 3개의 시추공으로부터 획득한 6개의 시추코어 및 2종류의 화성암류 파편시료를 대상으로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과 주원소 및 Sr-Nd 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항분지는 어떤 지층인가? 한반도 동남쪽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포항분지는 신생대 제3기층으로 지열자원 개발 및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주요 후보지층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지층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포항분지를 중심으로 분지생성과 진화, 지질구조, 퇴적계 해석, 탐사자료 수집 그리고 수리학적 특성 등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나 포항분지의 지층모델링을 위한 기반암 연대측정 및 지구화학 분석에 관한 자료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신생대 제3기층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한반도 동남부에는 동해안을 따라 신생대 제3기층이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으며 Kim(1970)은 해성층의 분포에 따라 신생대 제3기층을 울산분지, 어일분지 그리고 포항분지로 구분하였다. 이후 Yoon(1986)은 분지구조발달사 및 분지충전물에 근거하여 이를 다시 양남분지와 포항분지로 분류하였다.
포항분지 374-3390 m 심도에서 채취한 3개 시추공 코어 시료의 주성분 원소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포항분지 374-3390 m 심도에서 채취한 3개 시추공 코어 시료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과 함께 주원소 및 Sr-Nd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원소 분석 결과 총알칼리-규산 도표에서 천부화산암은 유문암으로, 심부심성암은 반려암과 화강암으로 도시되었으며 AFM 다이아그램에서는 칼크-알칼리 계열의 분화경향을 보인다. $K_2O-SiO_2$ 상관도에 따르면 모두 High-K 영역에 속하며 일부 주성분원소들은 $SiO_2$ 함량에 따른 상관성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k, Y.S., Lee, J.D. and Yun, H., 1997, Radiolarian faunas from the Hagjeon Formation(Middle Miocene) in the souther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3, 137-154. 

  2. Cheong, C.S., Kwon, S.T., Kim J.M. and Chang, B.U., 1998,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y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Comparison with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ic rocks in the other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7, 77-97. 

  3. Cheong, C.-S., Kwon, S-T. and Sagong, H., 2002, Geochemical and Sr-Nd-Pb isotopic investigation of Triassic granitoids and basement rocks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young basement in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Island Arc, 11, 25-44. 

  4. Cheong, C.-s., Yi, K., Kim, N., Lee, T.-H., Lee, S.R., Geng, J.-z. and Li, H.-k., 2013, Tracking source materials of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by zircon Hf isotopes. Terra Nova, 25, 228-235. 

  5. Claoue-Long, J.C., Compston, W., Roberts, J. and Fanning, C.M., 1995, Two Carboniferous ages: A comparison of SHRIMP zircon dating with conventional zircon ages and $^{40}Ar/^{39}Ar$ analysis. Special Publications of Society for Sedimentary Geology, 54, 1-27 

  6.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George, Allen and Unwin, London. 

  7. Dunham, R.J., 1962, Classification of carbonate rocks according to depositional texture, in W.E. Hamm, ed., Classification of Carbonate Rocks.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Memoir 1, 108-121. 

  8. Hong, Y.K., 1991, Petrogenetic Modelling of the Vertically Zoned Cretaceous Pohang Epizonal Intrusive rocks, S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64-86. 

  9.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8, 523-548. 

  10. Kim, B.K., 1965, The stratigraphic and paleontologic studies on the Tertiary (Miocene) of the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cience and Technical Series, 15, 32-121. 

  11. Kim, B.K., 1970,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in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 77-96. 

  12. Kim, C.-S. and Kim, G.-S., 1997, Petrogenesis of the early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e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 Journal, 2, 99-107. 

  13. Lee, J. I., Kagami, H. and Nagao, K., 1995, Rb-Sr and KAr age determination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 for cooling history and evolution of granitic magmatism during late Cretaceous. Geochemical Journal, 29, 363-376. 

  14. Lee, S.-G., Cho, D.-L., Lee, C.B., Kim, T.G., Song, Y.H. and Lee, J.S., 2007, U-Th zircon age determinations of granodiorite cores from 2300 borehole at Heunghae, Pohang: Study on formation ages of basement of Pohang basin, Korea(abstract),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0. 

  15. Lee, S.-G., Lee, T.J. and Shin, H.J., 2008, Rb-Sr age and its geochemical implication of granitoids cores from deep borehole at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4, 409-423. 

  16.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Berkeley, 4. 77p. 

  17. Ludwig, K.R., 2009, SQUID 2: a user's manua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Berkeley, 2. 104p. 

  18. Middlemost, E.A.K., 1994, Naming materials in magma/ igneous rock system. Earth Science Review, 37, 215-224. 

  19. Naeser, C.W., 1979, Fission-track dating and geologic annealing of fission-tracks. In: Lectrues in Isotope Geology (eds. E. Jger and J.C. Hunziker), Springer-Verlag, 154-169. 

  20. Paces, J.B. and Miller, J.D., 1993, Precise U-Pb ages of the Duluth Complex and related mafic intrusions, northeastern Minnesota: geochronological insights to physical, petrogenetic, paleomagnetic, and tectonomagmatic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1.1 Ga midcontinent rift system. Journal of Geophygical Reserch., 98, 13997-14013. 

  21. Peccerillo, A. and Taylor, S.R., 1976, Geochemistry of Eocene calc-alkaline volcanic rocks from the Kastamanonu area, Northern Turkey.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58, 63-81. 

  22. Shibata, K., Uchiumi, S. and Nakagawa, T., 1979, K-Ar age results-1.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30-12, 678-686. 

  23. Shin, S.-C., 2013, Revised fission-track ages and chronostratigraphies of the Miocene basin-fill volcanics and basements, SE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83-115. 

  24. Shin, S-C. and Nishimura, S., 1994, Thermotectonic and sedementation history of the Pohang Basin, Korea assessed by fission track thermochronolgy of a deep vorehole granit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2, 9-17. 

  25. Um, S.H., Lee, D.W. and Park, B.S., 1964, Geological report of the Poh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21. 

  26. Yi, K., Cheong, C.-S., Kim, J., Kim, N., Jeong, Y.-J. and Cho, M., 2012, Late Paleozoic to Early Mesozoic arcrelated magmatism in southeastern Korea: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Lithos, 153, 129-141. 

  27. Yi, S. and Yun, H., 1995,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Korea, Palaeontographica Abteilung B, 237, 113-158. 

  28.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I.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87-214. 

  29. Yoon, S., 1979, Neogene molluscan fauna of Korea. Memoir of Geological Society of China, 3, 125-130. 

  30. Yoon, S., 1986,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Pohang and Yangnam basins, Korea. In: Nakagawa, H., Kotaka, T., and Takayanagi, Y.(eds.), Essays in Geology, Professor Nobu Kitamura Commemorative Volume. Professor Nobu Kitamura Taikan Kinenjigyo-Kai, Tohoku University, Sendai, 637-644. 

  31. Yoon, S., 2010,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95-110. 

  32. Yun, H.S., 1986, A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 54-69. 

  33. Yun, S.-H., Koh, J.-S., Park, K.-S., Ahn, H.-C., Kim, Y.-I., Yoo, S.-H., Lee, D.-H. and Yun, G.-Y., 2005, Rb-Sr whole-rock isochron age and petrology of the Mt. Geumjeong granit, Busan.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61-72. 

  34. Zaun, P.E. and Wagner, G.A., 1985, Fission-track stability in zircons under geological conditions. 10, 303-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