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에서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고령층이 겪는 온라인 정보활동의 애로사항은 크게 8가지로, 이들이 제안하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은 크게 9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이 온라인 정보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요인은 '정보기기 활용기술 및 능력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는 고령층의 성별, 최종학력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으로 제안한 것으로 '정보기기 사용 환경 개선'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과는 달리,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정보활동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정보교육과 고령층 맞춤형 정보기기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에서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고령층이 겪는 온라인 정보활동의 애로사항은 크게 8가지로, 이들이 제안하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은 크게 9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이 온라인 정보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요인은 '정보기기 활용기술 및 능력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는 고령층의 성별, 최종학력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으로 제안한 것으로 '정보기기 사용 환경 개선'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과는 달리,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정보활동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정보교육과 고령층 맞춤형 정보기기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rriers and the solutions of the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The barriers were categorized into 8 and the solutions into 9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reveale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devices use skill was the most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rriers and the solutions of the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The barriers were categorized into 8 and the solutions into 9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reveale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devices use skill was the most serious barrier in their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careers, and residential area.;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device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solution to resolve the barrier, and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careers, 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contrary to the barrier. To get rid of the digital devide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a customized educ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an elderly-oriented information devices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barr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rriers and the solutions of the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The barriers were categorized into 8 and the solutions into 9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reveale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devices use skill was the most serious barrier in their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careers, and residential area.;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device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solution to resolve the barrier, and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careers, 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contrary to the barrier. To get rid of the digital devide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a customized educ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an elderly-oriented information devices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barri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에 대한 장애요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에 언급하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격차 해결방안을 통하여 그 방안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1유형은 ‘매체접근격차(기회격차) 해소’로 균등한 정보매체 접근성 기회 보장과 기존 시설을 통한 사용자층 확대를 통한 보편적 접근과 서비스 제공하는 것과 제2유형은 ‘정보자원 활용격차 및 정보활용 욕구해소’, 그리고 제3유형인 ‘수용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2].
본 연구는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과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을 조사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령층이 직면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활동의 장애요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이를 위한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과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을 조사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령층이 직면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활동의 장애요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이를 위한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을 8개 항목으로 범주화 하였고, 이들이 제안한 장애요인 해결방안을 9개의 항목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고령층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제안 방법
또한 고령층의 온라인정보활동은 업무, 가사, 여가, 사회생활, 의사소통 및 교제의 다섯 가지 정보활동으로 정의하여 설문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요약하여 에 제시하였다.
고령층이 온라인 정보활동을 하는데 장애요인으로 김희섭, 김판수, 이미숙(2014)이 제시한 (1) 정보기기 미보유, (2) 정보기기활용 기술, 능력 부족, (3) 인터넷 활용 기술, 능력 부족, (4) 정보기기 사용법의 복잡, (5) 정보기기 사용 환경 제약, (6) 유용한 정보 부족, (7) 신체장애, 제약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의 어려움, (8) 정보화 역기능 문제 등 8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고령층이 인지하는 정보활동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3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16]. 이를 성별,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로 분류하여 빈도와 비율을 제시하였으며 각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였다.
고령층이 제안하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김희섭, 김판수, 이미숙(2014)이 제시한 (1) 정보기기 무상 또는 저가 보급, (2) 고령층 전용 정보기기 개발, (3)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정보기기 활용교육 확대, (4)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활용교육 확대, (5) 고령층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정보기기 사용법 개선, (6) 고령층 정보기기 사용환경(인터넷, Wi-Fi 등) 개선, (7)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유용한 정보 확충, (8) 신체장애나 제약(시력·거동불편 등)이 있는 고령층을 위한 정보기기 개발 및 보급, (9) 정보기기 보안강화를 통한 안전한 정보활동 환경 구축 등 9가지로 범주화하였다[16]. 이들 해결방안에 대하여 이들의 성별,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로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을 8개 항목으로 범주화 하였고, 이들이 제안한 장애요인 해결방안을 9개의 항목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고령층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였고, 데이터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노인복지 기관을 통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였고, 데이터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노인복지 기관을 통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은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실시하여 총 490부를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 중 응답에 부적절한 결측치 응답 자료 118부를 제외한 37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정보기기는 고령층들이 정보를 얻고 온라인 정보활동을 할 수 있는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아이패드를 포함하였다. 또한 고령층의 온라인정보활동은 업무, 가사, 여가, 사회생활, 의사소통 및 교제의 다섯 가지 정보활동으로 정의하여 설문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요약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데이터처리
설문은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실시하여 총 490부를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 중 응답에 부적절한 결측치 응답 자료 118부를 제외한 37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보활동의 장애요인과 정보활동의 장애요인 해결방안을 성별, 최종학력, 경제상태, 거주 지역(광역시, 시, 군)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채택하였다.
성능/효과
우리 정부는 고령층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중요한 사업으로 고령층 정보화 지원 교육, 고령층 맞춤형 콘텐츠 개발 및 보급, 고령층의 사회 참여 기회, 정보기기의 개발 및 보급, 정보역기능 방지 등의 정부 사업 활성화 방향을 선정한 결과, 2012년도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 조사 보고서에서 65세 이상의 고령층은 일반국민 대비 2012년 71.2%로 나타나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의 정보 이용률의 접근, 역량 및 활용의 정보격차지수는 점차 매년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다른 계층보다 정보격차가 심화되고 있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4].
즉, 여성고령층이 남성고령층보다 ‘정보기기 활용 기술능력’이 더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고령층이 여성고령층보다 ‘유용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기활용 기술 및 능력 부족’과 ‘유용한 정보부족’으로 인해 온라인 정보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에서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유의수준 0.01에서)가 나타났으며, ‘정보기기 사용 환경 제약’과 ‘정보화 역기능 문제’로 인해 정보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에서 유의한 차이(유의수준 0.05에서)가 나타났다.
즉, ‘고령층 대상 인터넷 활용교육 확대’와 ‘고령층 정보기기 사용환경 개선’, ‘신체장애나 제약이 있는 고령층을 위한 정보기기 개발 및 보급’, ‘정보기기 보안강화를 통한 안전한 정보활동 환경 구축’에서 거주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석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으로는 ‘정보기기 사용 환경상의 제약’에서 성별,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로 차이가 났으며, ‘유용한 정보부족’에서는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로 차이가 났고, ‘정보기기 활용 기술 및 능력부족’에서는 성별, 최종학력별, 거주지역별 차이가 났다.
둘째, 고령층이 제안하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 요인 해결방안으로 ‘정보기기 사용환경 개선’에서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 차이가 났으며, ‘인터넷 활용교육확대’에서는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로 차이가 났다.
후속연구
즉, 여성고령층이 남성고령층보다 ‘정보기기 활용 기술능력’이 더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고령층이 여성고령층보다 ‘유용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고령층과 여성고령층의 이러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보기기활용 기술 교육 뿐만 아니라 고령층 모두에게 유익한 정보제공을 위한 콘텐츠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기술의 발달의 단점은 무엇인가?
지식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 중인 한국사회는 이미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참여·공유·개방적이면서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 사회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편 의학기술의 발달은 평균 수명의 연장과 생활환경 개선에 따른 삶의 질은 향상시켰지만, 정보사회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특정집단에게만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켜 사회적 위기를 높이는 요인인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 (Digital Divide)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1].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에서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분석한 결과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고령층이 겪는 온라인 정보활동의 애로사항은 크게 8가지로, 이들이 제안하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은 크게 9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이 온라인 정보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요인은 '정보기기 활용기술 및 능력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는 고령층의 성별, 최종학력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의 해결방안으로 제안한 것으로 '정보기기 사용 환경 개선'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과는 달리, 최종학력별, 경제상태별, 거주지역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정보활동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정보교육과 고령층 맞춤형 정보기기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의학기술의 발달은 무엇을 향상 시켰는가?
지식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 중인 한국사회는 이미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참여·공유·개방적이면서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 사회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편 의학기술의 발달은 평균 수명의 연장과 생활환경 개선에 따른 삶의 질은 향상시켰지만, 정보사회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특정집단에게만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켜 사회적 위기를 높이는 요인인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 (Digital Divide)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