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육종에서 CTGF의 발현과 발암기전에서의 역할
The Role of CTGF in Osteosarcoma Progression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20 no.1, 2014년, pp.1 - 6  

한일규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미라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김한수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골육종에서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에서 수립한 23개의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siRNA를 이용하여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세포침습과 세포 증식에서 CTGF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결과: 17명(74%)의 세포주에서 control 세포인 정상 골모세포보다 CT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CTGF의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관찰하기 위해 불멸화된 골육종 세포주 SaOS-2와 MG63에서 siRNA로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siRNA를 transfection한 세포에서 유의하게 세포침습이 억제되고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이 높았고 세포침습,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바 CTGF가 골육종의 발암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in osteosarcoma and to evaluate its role in osteosarcoma invasion and prolif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mRNA expression of CTGF from 23 patient-derived osteosarcoma cell lines was examined, and the role of CTGF 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그러나 아직 골육종에서 CTGF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TGF의 골육종에서 발현 정도와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란 무엇인가?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단백질의 일종으로 이들은 세포 부착(cell adhesion), 세포 분열, 세포 이동(cell migration) 및 화학주성(chemotaxis), 세포 생존, 세포 분화(differentiation), 혈관생성(angiogenesis), 창상 치유(wound healing) 등의 기능적 pathway에 다양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최근 들어 정상 조직에 비해 여러 암 조직에서 CT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밝혀지면서 CTGF가 암의 진행 과정에 관여할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되었다.
CTGF는 어떤 과정에 관여하는가?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단백질의 일종으로 이들은 세포 부착(cell adhesion), 세포 분열, 세포 이동(cell migration) 및 화학주성(chemotaxis), 세포 생존, 세포 분화(differentiation), 혈관생성(angiogenesis), 창상 치유(wound healing) 등의 기능적 pathway에 다양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최근 들어 정상 조직에 비해 여러 암 조직에서 CT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밝혀지면서 CTGF가 암의 진행 과정에 관여할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되었다.
CTGF 발현은 횡문근육종에서 어떤 관련을 보이는가? 10) 식도암에서는 CTGF의 과발현이 대다수의 예에서 관찰되었고 특히, 예후가 안 좋았던 경우에 발현이 높았다.11) 횡문근육종의 경우에도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암세포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12) 본 연구에서는 CTGF의 발현을 real-time PCR로 확인하였는데 보다 많은 수의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eller DS, Gorlick R. HER-2 targeted treatment of osteosarcoma: the challenges of developing targeted therapy and prognostic factors for rare malignancies. Expert Opin Pharmacother. 2010;11:51-61. 

  2. Janeway KA, Barkauskas DA, Krailo MD, et al. Outcome for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with osteosarcoma: a report from the Children's Oncology Group. Cancer. 2012;118:4597-605. 

  3. Holbourn KP, Acharya KR, Perbal B. The CCN family of proteins: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Trends Biochem Sci. 2008;33:461-73. 

  4. Pan LH, Beppu T, Kurose A, et al. Neoplastic cells and proliferating endothelial cells express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in glioblastoma. Neurol Res. 2002;24:677-83. 

  5. Dhar A, Ray A. The CCN family proteins in carcinogenesis. Exp Oncol. 2010;32:2-9. 

  6. Lin MT, Kuo IH, Chang CC, et al. Involvement of hypoxiainducing factor-1alpha-dependent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up-regulation in Cyr61/CCN1-induced gastric cancer cell invasion. J Biol Chem. 2008;283:15807-15. 

  7. Manara MC, Perbal B, Benini S, et al. The expression of ccn3(nov) gene in musculoskeletal tumors. Am J Pathol. 2002;160:849-59. 

  8. Moritani NH, Kubota S, Sugahara T, Takigawa M. Comparable response of ccn1 with ccn2 genes upon arthritis: An in vitro evaluation with a human chondrocytic cell line stimulated by a set of cytokines. Cell Commun Signal. 2005;3:6. 

  9. Xie D, Nakachi K, Wang H, Elashoff R, Koeffler HP. Elevated levels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WISP-1, and CYR61 in primary breast cancers associated with more advanced features. Cancer Res. 2001;61:8917-23. 

  10. Chen PP, Li WJ, Wang Y, et al. Expression of Cyr61, CTGF, and WISP-1 correlates with clinical features of lung cancer. PLoS One. 2007;2:e534. 

  11. Deng YZ, Chen PP, Wang Y, et al.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is overexpressed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romotes tumorigenicity through beta-catenin-T-cell factor/Lef signaling. J Biol Chem. 2007;282:36571-81. 

  12. Clark JC, Akiyama T, Thomas DM, et al. RECK in osteosarcoma: a novel role in tumour vasculature and inhibition of tumorigenesis in an orthotopic model. Cancer. 2011;117:3517-28. 

  13. Chen CC, Lau LF. Function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CCN matricellular proteins. Int J Biochem Cell Biol. 2009;41:771-83. 

  14. Kubota S, Takigawa M. CCN family proteins and angiogenesis: from embryo to adulthood. Angiogenesis. 2007;10: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