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원위요골에 발생한 골육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치료의 지연으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예의 원위요골 골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 및 치료 지연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 및 병리학적인 인자를 분석하였다. 표준 치료군 6예는 전부 Enneking stage IIB였으며 비표준 치료군 6예는 stage IIB가 5예 III가 1예였다. 결과: 표준 치료군의 5년 실질 및 무병 생존율은 100%, 83%였다. 비표준 치료군의 5년 실질 생존율은 44%였다. 표준치료군과 비표준 치료군은 환자의 평균나이(12세 vs 41세, 종양의 크기(24 ml vs 447 ml), 수술방법(사지구제술 6예 vs 절단술 5예), 치료 전 증상기간(1개월 vs 40개월)이 차이가 있었다. 결론: 표준적인 치료를 받은 원위요골 골육종은 타 부위의 골육종의 평균 생존율에 비해 높았다. 진단 및 치료지연이 있었던 환자는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동일한 조건의 타 부위에 비해서는 사망에 이르는 기간이 길었다. 이 부위의 골육종이 사지 3대 호발보위와 병태생리가 다를 가능성이 있으나 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 of osteosarcoma developed in distal radius and the effect of delayed treatment on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distal radius osteosarcoma were analysed. We categorized patients into two groups of standard treatment or non-standar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원발성 원위요골 골육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이 부위 골육종의 생존율이 사지 3대 장관골에 생긴 골육종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진단 또는 치료가 잘못 되어졌던 환자에 대해서 표준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육종의 예후인자 중 진단 시 예후인자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5) 골육종의 예후인자는 진단 시 예후인자와 치료와 관련된 예후인자로 나눌 수 있다. 진단 시 예후인자는 환자의 연령, 병리학적 아분류, 초진 시 혈액 내 진단 검사학적 지표, 병적골절 유무, 진단 시 종양의 크기, 단순 방사선 양상, 종양 성장 양상, 및 원발부위가 있다.6-13)
골육종의 예후인자는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골육종은 장관골의 골 간단부에 호발하며 사지에 발생하는 골육종의 경우 완치율이 60% 전후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1-5) 골육종의 예후인자는 진단 시 예후인자와 치료와 관련된 예후인자로 나눌 수 있다. 진단 시 예후인자는 환자의 연령, 병리학적 아분류, 초진 시 혈액 내 진단 검사학적 지표, 병적골절 유무, 진단 시 종양의 크기, 단순 방사선 양상, 종양 성장 양상, 및 원발부위가 있다.
사지 골육종의 호발부위는 어디인가? 사지 골육종의 호발부위가 슬관절 주위 및 상완골 근위부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7,14) 보고자에 따라 다르나 슬관절 근위부가 가장 좋은 예후를,7,15,16) 상완골 근위부가 가장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cci G, Forni C, Longhi A, et al. Local recurrence and local control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 of the extremities: a 27-year experience in a single institution. J Surg Oncol. 2007;96:118-23. 

  2. Damron TA, Ward WG, Stewart A. Osteosarcoma, chondrosarcoma, and Ewing's sarcoma: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Clin Orthop Relat Res. 2007;459:40-7. 

  3. Le Deley MC, Guinebretiere JM, Gentet JC, et al. Societe Francaise d'Oncologie Pediatrique (SFOP). SFOP OS94: a randomised trial comparing preoperative high-dose methotrexate plus doxorubicin to high-dose methotrexate plus etoposide and ifosfamide in osteosarcoma patients. Eur J Cancer. 2007;43:752-61. 

  4. Lewis IJ, Nooij MA, Whelan J, et al. MRC BO06 and EORTC 80931 collaborators; European Osteosarcoma Intergroup. Improvement in histologic response but not survival in osteosarcoma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fied chemotherapy: a randomized phase III trial of the European Osteosarcoma Intergroup. J Natl Cancer Inst. 2007;99:112-28. 

  5. Petrilli AS, de Camargo B, Filho VO, et al Brazilian Osteosarcoma Treatment Group studies III and IV. Results of the Brazilian Osteosarcoma Treatment Group studies III and IV: prognostic factors and impact on survival. J Clin Oncol. 2006;24:1161-8. 

  6. Bacci G, Longhi A, Versari M,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osteosarcoma of the extremity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15-year experience in 789 patients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Cancer. 2006;106:1154-61. 

  7. Bielack SS, Kempf-Bielack B, Delling G, et al. Prognostic factors in high-grade osteosarcoma of the extremities or trunk: an analysis of 1,702 patients treated on neoadjuvant cooperative osteosarcoma study group protocols. J Clin Oncol. 2002;20:776-90. 

  8. Bieling P, Rehan N, Winkler P, et al. Tumor size and prognosis in aggressively treated osteosarcoma. J Clin Oncol. 1996;14:848-58. 

  9. Carsi B, Rock MG. Primary osteosarcoma in adults older than 40 years. Clin Orthop Relat Res. 2002;391:53-61. 

  10. Kim MS, Lee SY, Lee TR, et al. Prognostic nomogram for predicting the 5-year probability of developing metastasi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definitive surgery for AJCC stage II extremity osteosarcoma. Ann Oncol. 2009;20:955-60. 

  11. Kim MS, Lee SY, Cho WH, et al. An examination of the efficacy of the 8 cm maximal tumor diameter cutoff for the subdivision of AJCC stage II osteosarcoma patients. J Surg Oncol. 2008;98:427-31. 

  12. Kim MS, Lee SY, Cho WH, et al. Initial tumor size predicts histologic response and survival in localized osteosarcoma patients. J Surg Oncol. 2008;97:456-61. 

  13. Lee JA, Kim MS, Kim DH, et al. Risk stratification based on the clinical factors at diagno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localized osteosarcoma. Pediatr Blood Cancer. 2009; 52:340-5. 

  14. Pakos EE, Nearchoua AD, Grimer RJ, et al.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s for osteosarcoma: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Eur J Cancer. 2009;2367-75. 

  15. Bramer JA, van Linge JH, Grimer RJ, Scholten RJ. Prognostic factors in localized extremity osteosarcoma: a systematic review. Eur J Surg Oncol. 2009;35:1030-6. 

  16. Cho WH, Song WK, Jeon DG, et al. Differential presentations, clinical courses, and survivals of osteosarcomas of the proximal humerus over other extremity locations. Ann Surg Oncol. 2010;17:702-8. 

  17. Daecke W, Bielack S, Martini AK, et al. Osteosarcoma of the hand and forearm: experience of the cooperative osteosarcoma study group. Ann Surg Oncol. 2005;12:322-31. 

  18. Gobel V, Jurgens H, Etspuler G,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volume in localized Ewing's sarcoma of bo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Cancer Res Clin Oncol. 1987;113:187-91. 

  19. Kim MS, Lee SY, Cho WH, et al. Tumor necrosis rate adjusted by tumor volume change is a better predictor of survival of localized osteosarcoma patients. Ann Surg Oncol. 2008;15:906-14. 

  20. Kim MS, Cho WH, Song WS, Lee SY, Jeon DG. Time dependency of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stage II osteosarcomas. Clin Orthop Relat Res. 2007;463:157-65. 

  21. Rosen G, Marcove RC, Huvos AG, et al. Primary osteogenic sarcoma: eight-year experience with adjuvant chemotherapy. J Cancer Res Clin Oncol. 1983;106(Suppl):55-67. 

  22. Bentzen SM, Poulsen HS, Kaae S, et al. Prognostic factors in osteosarcomas. A regression analysis. Cancer. 1988;62:194-202. 

  23. Goorin AM, Perez-Atayde A, Gebhardt M, et al. Weekly highdose methotrexate and doxorubicin for osteosarcoma: The Dana-Farber Cancer Institute/the Children's Hospital-study III. J Clin Oncol. 1987;5:1178-84. 

  24. Provisor AJ, Ettinger LJ, Nachman JB, et al. Treatment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 of the extremities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 report of the Children's Cancer Group. J Clin Oncol. 1997;15: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