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기 노인 입원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1, 2014년, pp.52 - 59  

박병남 (아주대학교의료원 외래파트) ,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Methods: A sample of 157 subjects aged 65 and over was selec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급성기 노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된 연구로 인구사회학 특성을 통제한 후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우울 점수를 보면 평균 17.
  • 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급성기 치료를 위하여 입원한 노인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치료를 위하여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급성기 치료를 위하여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기 질환으로 입원한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는 중재를 통하여 정서적인 안위를 돕는 지지적 분위기가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노인의 우울과 질병상태는 일관되게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데 질병유무와 건강수준은 우울을 유발하는 주요요인이 된다(Lee & Kim, 2010). 노인의 경우 보통 2-3개의 만성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생리적인 문제로 우울이 가려지거나 스스로 인식하기 어렵다. 또한 우울을 야기할 수 있는 약물복용의 기회가 많으며, 만성질환으로 인한 능력감소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저하되어 무기력 등을 경험하기 쉬워지기 때문에(Yoon, 2009) 만성질환으로 인한 급성기 치료를 위해 입원한 노인들은 우울의 고위험군이 된다(Schmall & Bowman, 2004). 우울이 입원 노인의 입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처치의 효과를 저해시키는 요인이라는 점(Dennis et al.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 전망은 어떻게 되는가? 현대의학의 발달과 질병의 조기 발견,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인구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은 2000년에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2년 현재 11.8%이며, 2030년 24.3%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가족지지의 기능은 무엇인가? 가족지지는 스트레스 또는 위기상황에서 우울, 좌절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경감시켜주는 중요한 사회적 지지체계이다(Arora, Finney Rutten, Guestafson, Moser & Hawkin, 2007).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인 가족 간에 강한 유대관계는 노인을 지지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Kim, 2007), 노인 스스로 인지하는 가족지지 정도가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ae, 2010; Ja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o, S., Park, M. H., Jo, I., Ryu. S. H., & Han, C. (2007). Usefulnes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3), 218-223. 

  2. Arora, N. K., Finney Rutten, L. J., Gustafson, D. H., Moser, R., & Hawkins, R. P. (2007). Perceived helpfulness and impact of social support provided by family, friends, and health care providers to women newly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6(5), 474-486. 

  3. Bae, K. H. (2010). The Relationship of Health Perceptio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4. Barua, A., Ghosh, M. K., Kar, N., & Basilio, M. A. (2011).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in the elderly. Annals of Saudi Medicine, 31(6), 620-624. doi: 10.4103/0256-4947.7100. 

  5.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Manual for the BDI-II.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6. Blazer, D. G. (2002).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late life: A primary prevention proposal. Aging & Mental Health, 6(4), 315-324. 

  7.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8. Dennis, M., Kadri, A., & Coffey, J. (2012). Depression in older people in the general hospital: A systematic review of screening instruments. Age Aging, 41(2), 148-154. doi: 10.1093/ageing/afr169. 

  9. Gould R. L., Coulson M. C., & Howard R. J. (2012).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in older people: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0(10), 1817-1830. doi: 10.1111/j.1532-5415.2012.04166.x 

  10. Jang, S. Y. (2011).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Kang, H. S.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Kil, S. Y., Oh, W. O., Koo, B. J., & Suk, M. H. (2010).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9-10), 1307-1314. doi: 10.1111/j.1365-2702.2009.03053.x. 

  13. Kim, C. G. (2007).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health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1), 14-21. 

  14. Kim, H. N., & Seo, H. L (2010).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lonely frail eld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59-82. 

  15. Kim, Y. S., Yoo, M. S., & Park, J. H.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low inc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ty, 29(4), 1313-1325. 

  16. Ko, Y. J. (2010).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Statistics of aged. Retrieved October, 2013, from http://www.nso.go.kr. 

  18. Kurlowicz, L., & Greenberg, S. (2007).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Retrieved January, 2014, from http://consultgerirn.org/ploads/File/tryhis/issue04.pdf. 

  19. Lee, G. H. (2007). Depression Tendency of Elderly Inpatients' in One Medical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0. Lee, J. A., & Kim, J. M. (2010).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4), 1311-1327. 

  21. Lee, M. S. (2012).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Aged, 57, 289-314. 

  22. Nam, J. S. (2012).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3. Oh, D. M., Kim, H. C., Ahn S. V., Rhee, Y., & Suh, I. (2012).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bone dens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men and women in Korea. Maturitas, 71(2), 142-146. doi: 10.1016/j.maturitas.2011.1.007 

  24.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617-630. 

  25. Schmall, V. L., & Bowman, S. (2004). Depression in later life: Recognition and treatment. pp 2-3. Corvallis, OR: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26. Seo, E. J (2009). Constructing the Successful Aging Model of the Older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7.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8. Soung, Y. M., & Lee, J. H. (2013). Factors in post stok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2), 85-94. 

  29. Yoon, G. B. (2009).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