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입원노인의 가족지지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1 no.1, 2016년, pp.13 - 26  

김정이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종합 병원에 만성 질환으로 입원 한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49.95{\pm}8.68$점, 일상생활 수행능력 $8.65{\pm}2.65$점, 우울 $6.66{\pm}3.78$점이었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64%가 경증 이상의 우울을 가지고 있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포함하여 분석한 Model 1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beta}=2.894$, p<0.001)와 일상생활 수행능력(${\beta}=0.269$, p=0.04)이 노인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가족지지를 포함하여 분석한 Model 2의 경우, 노인 우울은 연령(${\beta}=1.483$, p=0.04), 주관적 건강상태(${\beta}=2.641$, p<0.001)와 가족지지(${\beta}=-0.144$, p<0.001)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가족지지를 포함하여 분석한 Model 3의 결과, 노인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beta}=2.510$, p=0.001), 가족지지(${\beta}=-.135$, p<0.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 입원노인들의 우울은 가족지지가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 환자의 건강관리 방안을 마련할 때 가족지지 강화와 노인의 건강지각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This study subjects were 100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cluding chronic respiratory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임상에서 만성질환 노인이 입원했을 때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가족지지와 우울정도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들 특성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질병치료 외에 우울을 관리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을 가진 입원 노인이 가지는 특징은? 만성질환을 가진 입원 노인의 경우 수면부족, 피곤, 식욕상실, 무기력, 사회적 철회, 흥미의 상실, 활동의 감소, 미래에 대한 비판적 태도 등의 심각한 심리적인 장애와 함께 우울의 발생 정도가 12%-84.7%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노인 우울은 죽는데 대한 두려움을 포함하는 심리적 반응의 형태로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예후가 나쁜 편이며, 자살의 위험이나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문제이다[6].
노인 우울이 간과되는 이유는? 이처럼 노인에서 우울증은 노인의 건강과 안위를 위협하는 정신건강의 중요한 잣대이나, 재가노인이 병원이나 검진센터를 방문하지 않는 한 우울측정에 대한 제도적 마련은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 질환으로 입원할 경우에도 주로 해당 만성 질병 자체의 치료나 응급질환 치료에 집중이 되어 우울증은 거의 간과되고 있다[7]. 입원노인 환자 에서의 우울은 입원기간을 증가시키고, 치료이행을 저하하는 요인으로[8], 입원노인의 우울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는 적극적인 중재가 요구된다.
노인 우울이란? 7%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노인 우울은 죽는데 대한 두려움을 포함하는 심리적 반응의 형태로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예후가 나쁜 편이며, 자살의 위험이나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문제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SIS. The aged Statistics, 2014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5. Jun 25]. Available from: http://kos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349&pageNo2&rowNum10&nav 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Park KH. A study on the factors of influencing on successful aging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6 (Korean) 

  3. Bae KH, Kim SJ. The relationship of health perceptio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2;17(1):139-152 (Korean) 

  4. Kil SY, Oh WO, Koo BJ, Suk MH.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0(9-10):307-1314 

  5. Oh DM, Kim HC, Ahn SV, Rhee Y, Suh I.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men and women in Korea. Maturitas 2012;71(2):142-146 

  6. Park SC.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elder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5 (Korean) 

  7. Lee SA, Lee GM.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J Korean Geriatr Soc 2002;22(1):209-226 (Korean) 

  8. Dennis M, Kadri A, Coffey J. Depression in older people in the general hospital: A systematic review of screening instruments. Age Aging 2012;41(2):148-154 

  9. Kim TH, Kim SJ. A study on the solidarity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three genera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J Korean Geriatr Soc 1996;16(1):110-129 (Korean) 

  10. Yeo YO, Yoo EK.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ADL in the case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6):676-686 (Korean) 

  11. Kim JW, Kim CK.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upon health status in some old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997;14(1):73-95 (Korean) 

  12. Williams LA. Concept of loneliness in the elderly. J Am Geriatr Soc 1978;24:438-445 

  13. Katz S, Ford AB, Moskowitz W, Jackson BA, Jaffe MW.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AMA 1963;185(12):914-919 

  14. Park WK, Lee TY, Jeong YJ, Oh JK, Lee DB, Cho YC.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Chungnam Medical Journal 2002;29(1):71-87 (Korean) 

  15. Shin KR, Kang YH, Jung DY, Choi KA. A study on the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omen in an urban area. J Korean Acad Nurs 2007;37(7): 1131-1138 (Korean) 

  16. Kim Y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residing institution and home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Korean) 

  17. Warshaw GA, Moore JT, Friedman SW, Currie CT, Kennie DC, Kane WJ, Mears PA. Functional disability in the hospitalized elderly. JAMA 1982;248(7):847-850 

  18. Hirsch CH, Sommers L, Olsen A, Mullen L, Winograd CH. The natural history of functional morbidity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J Am Geriatr Soc 1990;38:1296-1303 

  19. Norbeck JS, Lindsy AM, Carrieri VL.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1981:30: 264-269 

  20. Nam KM, Jung EK.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325-348 (Korean) 

  21. Seo HS, Jung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in home dwelling elders. J Korean Gerontol Nurs 2010;12(1):1-9 (Korean) 

  22. Dahlberg L, McKee KJ. Correlates of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in older people: Evidence from an English community study. Aging & Mental Health 2014;18(4):504-514 

  23. Kim DH.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01;13(10):113-144 (Korean) 

  24. Cobb A.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iatric Medicine 1976;38(5):300-314 

  25. Kang HS.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Korean) 

  26. Won JW, Rho YG, Kim SY, Cho BR, Lee Y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scale. J Korean Geriatr Soc 2002;6(2):98-106 (Korean) 

  27.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shorter version. Clini Gerontol 1986;5: 165-173 

  28. Ki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 35(2): 298-307 (Korean) 

  29. Hong JY, Hwang SY. A study 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5):457-465 (Korean) 

  30. Park YO, Hong GR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Nurs 2013;15(20):155-164 (Korean) 

  31. Kim CG.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3):151-160 (Korean) 

  32. Krause N. Chronic strain, locus of control and distress in older adults. Psychol Aging 1995;2:375-382 

  33. Kim JY, Kim KH. Perceived hopelessness and family support among eld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 Korean Gerontol Nurs 2014;16(2):151-159 (Korean) 

  34. Jung JY, Kim JS, Choi HJ, Lee KY, Park TJ.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Fam Med 2009; 30(8):598-609 (Korean) 

  35. Lee JH.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dissertation]. Gyeonggido, Hanbuk University, 2014 (Korean) 

  36. Choi HY, Ryu SY, Kwak GI, Choi CW.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ed the elderly care service in a rural are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4;39(2):81-93 (Korean) 

  37. Lee GH. Depression tendency of elderly inpatients in one medical center [dissertation]. Bu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200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