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드름 치료 한약 처방과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을 위한 특허 자료 분석 연구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 for Acne and that of Functional Cosmetics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7 no.3, 2014년, pp.104 - 115  

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김수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안인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최민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s treating acne is difficult and demands of cosmetic are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new Korea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 and functional cosmetics of acne is required.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discovery and com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Korea traditional herbal for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특허 자료를 분석하여 여드름 치료 효과가 기대되거나 여드름 치료 효과를 적시한 특허 내용에 포함된 한약을 추출하여 여드름의 신규 치료 처방이나 가미 약물 혹은 기능성 화장품 개발의 기초 처방을 구성하는 데 응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이 논문에서는 1996년부터 2014년까지 공개된 한방화장품과 관련된 특허출원 사항을 검색하여 항염증 및 여드름 치료 효과를 적시한 특허 자료를 추출하고 구성 약물을 분석하여 여드름 치료 한약 처방과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은 결과를 공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은 주로 어느 부위에 나타나는가?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발생하는 모피지선(pilosebaceous unit)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면포, 구진, 농포, 낭종 및 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 얼굴이나 목, 등, 가슴 등에 나타난다. 한의학적 병명으로는 痤瘡, 面皰에 해당되며, 기타 面疱, 痤疿, 肺風粉刺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표현되었다.
여드름의 한의학적 병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발생하는 모피지선(pilosebaceous unit)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면포, 구진, 농포, 낭종 및 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 얼굴이나 목, 등, 가슴 등에 나타난다. 한의학적 병명으로는 痤瘡, 面皰에 해당되며, 기타 面疱, 痤疿, 肺風粉刺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표현되었다. 이는 여성의 미용과 관련한 가장 대표적 피부 질환이라 할 수 있으며, 한방 여성의학과 외래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 피부 미용 증상이다5).
여드름이란?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발생하는 모피지선(pilosebaceous unit)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면포, 구진, 농포, 낭종 및 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 얼굴이나 목, 등, 가슴 등에 나타난다. 한의학적 병명으로는 痤瘡, 面皰에 해당되며, 기타 面疱, 痤疿, 肺風粉刺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표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홍균. 특허정보의 특성.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04;15(6):744-49. 

  2. 김도회 등. 방제구성의 표준적 규격-군신좌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11(2):1-18. 

  3. 전국한의과대학공동교육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5:158-583. 

  4. 陳潮祖. 陳潮祖의 중의치법과 방제.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9:154. 

  5.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 서울:의성당. 2012:866-76. 

  6. 변학성 등. 여드름을 중심으로 한 피부질환 환자의 삶의 질.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19(1):65-78. 

  7. 전국 한의과대학 피부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피부외과학. 부산:도서출판 선우. 2007:486-91. 

  8. 손대범 등. 대황, 황금, 황백 복합 추출물의 항균,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1):154-71. 

  9. 김강산 등. 黃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에 관한 소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6):1095-101. 

  10. 기호필 등. 黃連解毒湯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效果.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3;21(1):80-90. 

  11. 서부일. 방제구성에 있어서 사약으로 이용되는 약물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1;9(1):83-103. 

  12. 조진희, 이영종. 약물승강부침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3;25(4):262-9. 

  13. 김동일 등. 한방화장품기획연구. 오산: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2012:5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