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학(易學)의 의학적(醫學的) 적용(適用)에 대한 소고(小考) - 괘상(卦象)에서 명문학설(命門學說)까지 -
A Study on The Applicatin of IChing to Medicine - From Trigram to Myeongmun Theor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7 no.3, 2014년, pp.87 - 100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article, an analysis of some documents about medical thought of change in medical history explains how the concept of it has been established and expanded, and through that, we can find the fusion of tradition between medicine and the study of IChing. Methods : Through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趙獻可는 命門을 인체에서 君主의 지위까지 격상시켰으며, 공간적으로는 坎卦의 象과 동일하게 陰인 두 개의 콩팥 가운데 陽인 命門이 위치한다고 주장하였다. 張景岳은 나아가 命門이 陽의속성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陰인 精이 갈무리 되는 장소로까지 인식하여 궁극적으로 陰陽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온전한 太極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인체에서 陰陽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기는 하였으나 命門의 개념이 근본적으로 太極의 本體에서 나오는 原氣에서 출발하였으므로, 原氣를 회복하고 운행시키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治方이 치우칠 수밖에 없었으며, 주로 사용된 약물들의 치우진 性味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이들은 후대에 이른바 溫補派로 불리워지게 되었다.
  • )”31)라고 하여 이러한 생각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張景岳은 命門이 君主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陰에 속하는 精을 갈무리하는 장소로 인식하여 궁극적으로 陰陽이 모두 조화를 이루는 太極의 특성을 온전히 드러내고자 하였다32).
  • . 본글에서는 역사적으로 醫易의 개념이 자리 잡고 확장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몇 가지 사례들을 간단히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하여 易學의 醫學的 適用이 어떻게 심화되어 가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여기에서 命門學說 정립을 둘러싼 論爭들을 살펴보는 목적은, 어떠한 學說이 옳은지의 가부를 결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命門學說의 성립과 그에 대한 비판이 醫易學의 역사 속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보는 데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醫易이라는 용어는 누가 처음 사용하였는가? ‘醫易’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明代의 醫家인 張介賓1)으로 그의 易學思想은 『類經附翼』에 포함된 「醫易義」, 「大寶論」, 「眞陰論」 등과 『 類經圖翼』에 포함된 「太極圖論」, 「陰陽體象」 등의 편에 잘 드러나 있다2). 그 가운데 특히 「醫易義」 는 醫易의 의미와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한 대표적인 論說이다.
張介賓의 말에 의하면 醫學과 易學이 서로 그 근원이 같다는 것에 대한 이유는? 張介賓의 말에 의하면 醫學과 易學이 서로 그 근원이 같다는 것은, 陰陽을 우주와 인간 모두의 변화 원리로 인식하며, 陰陽이라는 원리로부터 나타나는 변화 양상도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단지 그 변화의 크기가 『內經』 보다는 『周易』에서 다루는 것이 훨씬 크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醫學을 한다면 易을 반드시 알아야 된다고 하였다.
張介賓의 저서 중 醫易의 의미와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한 것은? ‘醫易’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明代의 醫家인 張介賓1)으로 그의 易學思想은 『類經附翼』에 포함된 「醫易義」, 「大寶論」, 「眞陰論」 등과 『 類經圖翼』에 포함된 「太極圖論」, 「陰陽體象」 등의 편에 잘 드러나 있다2). 그 가운데 특히 「醫易義」 는 醫易의 의미와 내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한 대표적인 論說이다. 우선 그는 「醫易義」에서 醫學과 易學이 근원을 같이 한다는 ‘醫易同原’의 개념을 주장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iao Mingchun, Kang Xuewei, Liang Weixuan. Zhuoyizhexueshi. Seoul. Yemoon. 1994. pp.50-52, p.81, 131, 137. 廖名春, 康學偉, 梁韋弦. 周易哲學史. 서울. 예문서원. 1994. pp.50-52, p.81, 131, 137. 

  2. Xu Dachun. Xu DachunYishuquanji.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8. p.113, 115. 徐大椿. 徐大椿醫書全集.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8. p.113, 115. 

  3. Sun Yikui. Chishuixuanzhuquanji.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6. p.1183, pp.1236-1237. 孫一奎. 赤水玄珠全集.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p.1183, pp.1236-1237. 

  4. Written by Yang ShangShan, Proofread by Qian Chaochen. Bejing. China Academic Press. 2006. p.393. 楊上善著, 錢超塵校. 黃帝內經太素新校正. 北京. 學苑出版社. 2006. p.393. 

  5. Wang Dao. Waitaibiyaofang. Beijing. Huaxiachubanshe. 1993. pp.205-206. 王燾. 外臺秘要方. 北京. 華夏出版社. 1993. pp.205-206. 

  6. Li Junchuan, Xiao Hanming. Yiyihuitongjingyi. Beijing. Huaxiachubanshe. 1991. pp.61-70. 李浚川, 蕭漢明. 醫易會通精義.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1. pp.61-70. 

  7. Zhang Jiebin. Jingyuequanshu.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1991. p.53. 張介賓. 景岳全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1. p.53. 

  8. Zhang Jiebin. Leijingtuyi. Seoul. Sungbosa. 1982. pp.391-393, pp.399-400, 439, 446. 張介賓. 類經圖翼(附.類經附翼). 서울. 成輔社. 1982. pp.391-393, pp.399-400, 439, 446. 

  9. KS Jang, YK Kwon, NI Kim. The Thought of medical Iching-study. Seoul. Bubin Publishers. 2000. pp.126-139. 張敬善, 權寧奎, 金南一. 醫易學思想. 서울. 法仁文化社. 2000. pp.126-139. 

  10. Zhang Nan. Yimenbanghe. Seoul. DSprint. 1989. pp.179-180, p.183, 186, 188, 190. 章楠. 醫門棒喝(上). 서울. 大星文化社. 1989. pp.179-180, p.183, 186, 188, 190. 

  11. Zhang Haicen. Rumenshicinjiaozhu. Henan. Henan Keshejishuchubanshe. 1984. pp.136-137. 張海岑 外. 儒門事親校註. 河南. 河南科學技術出版社. 1984. pp.136-137. 

  12. Zhao Xianke. Yigaun. Be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2. p.4. 趙獻可. 醫貫.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4. 

  13. Chen Nianzu. Jingyuexinfangbian. Beijing. Quanguo tushuguan wenxiansuoweifuzhi zhongxin. 2004. pp.329-544. 陳念祖. 景岳新方?(中國古代醫方眞本秘本.淸代卷四). 北京. 全國圖書館文獻縮微復制中心. 2004. pp.329-544. 

  14. WS Hong. Chinese Medical History.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4. p.245. 洪元植. 中國醫學史.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4. p.245. 

  15. Hua Shuo. Nanjingbenyi. Tainan. Shiyishuju. 1981. p.82, p.129. 滑壽. 難經本義. 臺南. 世一書局. 1981. p.82, p.129. 

  16. KW KIM, HK Park. The Study of Tang Zong Hai's Medical-change Thought.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9. 12(2). pp.55-71. 金基郁, 朴炫局. 唐宗海의 醫易思想에 관한 硏究. 大韓原典醫史學會誌. 1999. 12(2). pp.55-71. 

  17. JS KIM, WS Hong. The Study of Zhang Nan's Medical Iching-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5. 9. pp.303-379. 金圭烈, 洪元植. 章楠의 醫易思想 硏究. 大韓原典醫史學會誌. 1995. 9. pp.303-379. 

  18. NI KIM. The Study of Wang Bing's practical utilization of Theory of Medical Iching-study.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 1994. pp.1-91. 金南一. 王? 素問註釋의 易學理論 활용에 관한 硏究. 慶熙大學校大學院. 1994. pp.1-91. 

  19. H KIm. Study on the Thought of the Relation between Medicine and I-ching study in 'Donguibogam'.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 2011. pp.1-79. 金憲. 東醫寶鑑의 醫易思想 硏究. 慶熙大學校大學院. 2011. pp.1-79. 

  20. YS Baik. A Study on The Changes of Yeongwieumyang Theory.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1). pp.36-42. 白裕相. 營衛陰陽論의 변천에 대한 小考.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1. 24(1). pp.36-42. 

  21. CY Yoon. Study of Zhang Jie Bin's Medical Iching-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3. 16(1). pp.135-147. 尹暢烈. 張介賓의 醫易思想.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3. 16(1). pp.135-147. 

  22. SM Eun. Historical Study of Myungmunsanghwa Theory.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9. 22(4). pp.204-208. 殷晳玟. 命門相火學說에 대한 의사학적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9. 22(4). pp.204-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