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unam Pavilion in Changnyeong(聞巖亭)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2 no.2, 2014년, pp.27 - 41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역사문화적 가치 및 원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집, 기문 등의 문헌분석과, Arc-GIS를 바탕으로 조영실제 및 입지와 공간구성, 경관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암정의 조영자는 문암 신초(辛礎, 1549~1618)로 자연에 귀의하고자하는 조영자의 자연관을 알 수 있었으며, 문암정의 조영시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문암정을 조성하고 소영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나는 1608~1618년도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문암정은 주변 산지에 위요되어 있고, 급경사지에 형성된 성곽과 같은 고립지형 정상부에 문암정을 조성하였다. 문암정은 별서로서 그 지역의 명승으로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암정 주변의 마을진입로의 교량과 계성천의 석축, 보, 주변 농경지의 시설 및 주택 등으로 인하여 과거의 조망경관이 훼손된 상태이다. 셋째, 문암정은 문암정이 위치한 중심공간과 문암정 동 서측에 위치한 진입공간, 영정각을 중심으로 하는 배향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암정의 원형은 문암정과 문암바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현재의 진입동선과는 달리 조성 당시에는 직접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암정의 공간구성요소는 배롱나무 수림, 점경물로서의 각자바위, 그리고 정자 건조물로 구분되어진다. 문암정 일원의 식생은 경내와 경외로 나뉘어, 경내는 매우 제한적인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경외는 전면의 배롱나무 수림과 후면의 송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대규모의 배롱나무 군락은 조영자와 결부된 희귀한 역사기록 종 자원으로의 자연유산에 해당한다. 각자바위는 문암정 건조물과 인접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영자와 관련된 경물로 작용하고 있고, 한 가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록행위의 하나로 문암정 전면의 각자바위군(群)은 일정한 방향성과 규범을 가지고 시기별로 조성된 보기 드문 사례이다. 다섯째, '문암팔경'은 방위에 따라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가 4개소, 방위에 따른 경관요소가 4개소로 나타났다.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로는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 문암정 후면 송림, 옥천계곡, 관룡사 대흥사이다. 방위와 관계한 요소 중 절대방위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대흥사, 화왕산, 계성천, 영취산으로 판단되며, 상대방위로는 관룡사, 영취산, 옥천계곡, 공지기고개로 판단된다. 이 중 현존하는 대상은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과 문암정 후면 송림, 계성천 옥천계곡 등이 있으며, 이외의 경관요소는 명확한 장소와 대상의 추정이 불가능한 일반적 팔경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문암정은 문암 신초가 말년에 난세를 피하여 자연에 은거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로, 정자와 관련된 문암집과 문암충의록 등 조영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자의 입지와 각자바위를 통한 기록문화, 대규모의 배롱나무 노거수 군락, 팔경의 경영을 통한 문화경관적 요소가 남아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y, cultural values prototyp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location, space structur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by Arc-GIS on the Munam pavilion(聞巖亭) in Changnyeo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in-cho((辛礎, 1549~161...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의 정자는 어떤 가치를 지니고있는가? 조선시대의 정자는 주로 자연 완상(玩賞)을 목적으로 하여 경치가 좋은 향촌의 계곡과 숲이나, 집 안의 관상점(觀想點)이 가장 좋은 곳에 지어졌다(김은미, 2010). 또한 정자는 그 안에 내포된 의미가 매우 복합적으로, 장소 선택의 의도와 동기, 조영자의 의도 등이 조화되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박숙희, 2013). 조선시대 정자에 관한 기사나 문헌에 관한 것은『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1454)』에 나타난 정자건축기사 60여개소가 기록되어 있으며(김상협과 최경란, 2009),『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530)』에 기록된 이름난 누정의 수가 885개에 이를 정도로 우리나라에는 일찍이 정자문화가 발달해 왔다(유홍준, 1992).
조선시대의 정자는 어디에 지어져왔는가? 조선시대의 정자는 주로 자연 완상(玩賞)을 목적으로 하여 경치가 좋은 향촌의 계곡과 숲이나, 집 안의 관상점(觀想點)이 가장 좋은 곳에 지어졌다(김은미, 2010). 또한 정자는 그 안에 내포된 의미가 매우 복합적으로, 장소 선택의 의도와 동기, 조영자의 의도 등이 조화되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박숙희, 2013).
문암정에 관한 기록의 특징은 무엇인가? 문암정에 관한 기록은 망우정(忘憂亭), 광심정(廣心亭, 경남 문화재자료 제217호)과 함께『여지도서(輿地圖書, 1765)』에서도 나타나는데, ‘문암은 산봉우리가 기이하고, 물과 바위 승경(勝景)이 가장 뛰어난 한 지역이다(峯巒之奇水石之勝甲於一 境).1) ’ 라고 하여 문암정이 명승지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