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르만 F. 폰 퓌클러-무스카우(Hermann Fürst von Pückler-Muskau)의 풍경식 정원론의 형성과정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rmann Fürst Pücker-Muskau's landscape gardening theory focused on its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2 no.3, 2014년, pp.69 - 81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는 1834년 '풍경식 정원의 예시'라는 정원이론서를 출간하고, 무스카우와 브라니츠 정원을 조성한 독일 정원사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무스카우 공국의 통치자였으며 작가이자 정원사로서 다면적 활동을 하였다. 그가 영향력을 끼친 독일의 풍경식 정원은 이성으로부터의 해방, 인간 본연의 자유를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당시 지식인들이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가지게 것은 이상화된 자연을 표상하는 정원의 문화적 의미에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퓌클러-무스카우의 풍경식 정원관의 형성과정을 생애와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퓌클러의 풍경식 정원론의 내용과 고유한 설계방식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함축하고 있는 혁신성과 현대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퓌클러가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갖고 자신만의 정원론을 구축하게 된 것은 여러 나라의 경관과 정원 기행에서 비롯하였다. 계몽적 낭만주의로 대표되는 퓌클러가 살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그의 개인적 경험 간의 상호관계는 그의 정원론을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첫째,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실제와 이상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는 낭만주의와 문학적 정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정원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18세기 후반의 표현을 중시하는 영국 풍경식 정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퓌클러의 정원 설계에서는 그의 내면적 성향과 개인 경험이 드러난다. 넷째, 퓌클러가 지역 주민을 위한 정원을 조성하고자한 것은 진보적 사상을 지닌 귀족으로서 모순적 성격의 자기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퓌클러 풍경식 정원론의 가치는 인문학적 정원의 전통과 사회 조건의 개선을 추구하는 실용적 태도와 깊이 관련된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난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이상적 공동체와 윤리적인 건강성을 지향하는 경관론이면서, 지역의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을 담고 있다. 또한 개인적 영역에서 공공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정원의 개념과 의미를 확장하고, 실용과 미를 동시에 추구하는 종합예술을 지향한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은 오늘날 현대 조경이론과 실천에서 회복되어야 할 가치이며 지향점이기도 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man $F{\ddot{u}}rst\;P{\ddot{u}}ckler-Muskau$ is one of important figures in German landscape architecture who designed both Muskau Park and Branitz Park and published garden book Andeutungen ${\ddot{u}}ber$ Landschaftgartenerei (Hints on Landscape Gardening) in 1834. He w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는 누구인가?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Herman Fürst von Pückler-Muskau) 는 독일의 귀족이며 작가이자 조경가로서 19세기 중반 유럽 문화계 전반에 영향력 있는 지성인이었다. 그의 다면적 활동과 독특한 생활방식은 당대에 많은 주목을 받았고 때로는 논란을 불러 일으켰지만, 오늘날에는 조경가로서 그의 업적이 보다 널리 알려졌다.
퓌클러-무스카우는 정원사 서적에서 어떻게 소개되는가? 퓌클러-무스카우는 대부분의 정원사 서적에서 독일에 풍경식 정원을 전파하고 유행시킨 19세기 독일의 조경가로 소개되고 있다. 당대에 기행작가로서 퓌클러에 대한 관심은 뜨거웠다.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는 어떠한 정원을 조성하였는가? 그의 다면적 활동과 독특한 생활방식은 당대에 많은 주목을 받았고 때로는 논란을 불러 일으켰지만, 오늘날에는 조경가로서 그의 업적이 보다 널리 알려졌다. 그는 선친에게 물려받은 영지를 풍경식 정원인무스카우 정원(Muskau Park)으로 조성하는 일에 몰두하였고, 이후 인근에 브라니츠 정원(Branitz Park)을 조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원에 관한 그의 지식과 경험을 집대성한 ‘풍경식 정원의 예시(Andeutungen über Landschaftsgartnerei, 1843)’라는 정원이론서를 출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