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팥의 유용기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을 목표로 무처리한 생팥 분말과 1차 자숙 후 고온 증자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식용 팥 분말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각각의 유용성분 및 항산화, 항균,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추출효율의 경우 생팥보다 증자팥이 약 1.2배 증가되었으며,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도 증자팥이 1.2배 증가되었다. 그러나, 증자팥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팥 대비 3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총당 및 환원당 함량 역시 생팥 대비 27.9% 및 30.8%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생팥 및 증자팥에서 모두 우수한 음이온양이온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생팥이 증자팥보다 강력하였으며, 환원력nitrite 소거능에서도 생팥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한편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생팥에서 우수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증자팥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가장 특이한 활성은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 확인되었으며, 생팥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프로트롬빈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낸 반면 증자팥 추출물에서는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생팥의 증자과정 중 유용성분의 소실 및 유용활성의 손실이 나타남을 의미하며, 향후 생팥의 적합한 삶기 공정, 열처리 및 건조공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현재까지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증자팥 제조단계의 팥 자숙액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기능성 팥 음료 및 양갱 제조 등을 위한 팥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 기본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urse of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using red beans (azuki beans, Phaseolus radiatus L.), the ethanol extracts from raw-red bean (RRB) and boiled-red bean (BRB) were prepared, and the components an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of both were compared. It was observed tha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팥의 유용기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을 목표로 무처리한 생팥 분말과 1차 자숙 후 고온 증자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식용 팥 분말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각각의 유용성분 및 항산화, 항균,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생팥 및 증자 팥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팥이 가진 소화효소 저해인자와 적혈구 응집인자들[10, 11] 로 인해 반드시 삶아서 섭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 팥을 대조구로 하여 증자팥의 유용성분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에탄올 추출효율 및 성분 분석결과는 Table 1 에 나타내었다. 추출효율의 경우 생팥보다 증자팥이 약 1.
  • 본 연구에서는, 팥의 유용기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을 목표로 무처리한 생팥 분말과 1차 자숙 후 고온 증자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식용 팥 분말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각각의 유용성분 및 항산화, 항균,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생팥 및 증자 팥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팥의 유용기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을 목표로 무처리한 생팥 분말과 1차 자숙 후 고온 증자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식용 팥 분말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각각의 유용성분 및 항산화, 항균,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생팥 및 증자 팥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팥 섭취 시 아린 맛이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방에서는 팥을 적소두로 불리며 설사, 이질, 수종, 비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12], 팥 삶은 물을 민간에서는 이뇨 및 배변 촉진작용을 통한 붓기 제거용 및 다이어트 음료로 애용하여 왔다[16]. 팥의 껍질에는 아린 맛을 내는 시아니딘 배당체와 사포닌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trypsin inhibitor와 같은 생육억제인자를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10, 11] 아린 맛을 제거하고 비영양 인자들을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90°C 정도의 고온에서 10-20분간 자숙하고 1차 자숙액을 버린 후, 팥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고온 고압 증자하여 삶은 팥을 제조하고 이를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팥앙금 및 팥분말로 제조하며, 이때 2차로 고온에서 삶은 물을 음료로 이용하고 있다[8, 16].
팥은 무엇인가? 팥(Phaseolus radiatus L.)은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두류이다[6]. 팥알은 그 형태와 구조는 콩과 비슷하나, 적색 광택을 나타내며 중앙에 흰색 띠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8-9%의 수분, 68%의 탄수화물 및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하다[23].
팥알의 특징은 무엇인가? )은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두류이다[6]. 팥알은 그 형태와 구조는 콩과 비슷하나, 적색 광택을 나타내며 중앙에 흰색 띠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8-9%의 수분, 68%의 탄수화물 및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하다[23]. 특히 팥은 비타민 B1을 포함한 각종 비타민, 칼 륨, 칼슘, 인 등의 미네랄 및 쌀에 부족한 라이신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각기병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으며[16], 아미노산 부족을 해소하여 단백질 생산에 도움을 주며, 탄수화물 대사 촉진의 유익한 기능을 나타내어 영양보충용 식품소재로 이용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u-Ghannam N. 1998. Modelling textural changes during the hydration process of red beans. J. Food Eng. 38: 341-352. 

  2. Ahn SM, Hong YK, Kwon GS, Sohn HY. 2011.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1: 576-583. 

  3. Ariga T, Koshiyama I, Fukushima D. 198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rocyanidins B-1 and B-3 from azuki beans in aqueous systems. Agr. Biol. Chem. 52: 2717-2722. 

  4. Bae DG, Jung YS. 2010. Colorant extracting and its storage stability from red bean and black bean seed coat. Agric. Rex. Bull. Kyungpook Natl Univ. 28: 31-38. 

  5. Chang KY, Han KS, Park JC. 1968. Studies on the selection in adzuki bean breeding. III.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among some characters in the population of adzuki bean varieties. Res. Bul. Chinju Agr. Col. 7: 39-44. 

  6. Choi SY, Jeong YJ, Lee SJ, Chi OH, Chegal SA. 2002. Food and health for modern people. Dongmyungsa, Seoul, Korea. pp. 244-246. 

  7. Choi YH, Kang MY, Nam SH. 1998. Inhibitory effect of various cereal and bean extracts on carcinogenicity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64-969. 

  8. Hwang CS, Jeong DY, Kim YS, Na JM, Shin DH. 2005. Effects of enzym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red bean perc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89-193. 

  9. Jeong SH, Kim SH, Kim HK, Yun BR, Lee HW, Lim JH, et al. 2012. Effect of Vigna anugularis ethanol extract on papaininduced arthritis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6: 665-671. 

  10. Kang MH. 1985. Growth inhibition of rats fed raw or heated Korean beans and the effect of methionine or protein supplementation. Korean J. Nutr. 18: 126-138. 

  11. Kang MH, Kim YH, Lee SR. 1980. Trypsin inhibitor and hemagglutinating activities of some minor bean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4-33. 

  12. Kang SJ, Han YS. 2012. Studies on the anti oralmicrobial activity and selected functional component of small red bean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41-49. 

  13. Kim CK, Oh BH, Na JM, Sin DH.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red 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51-555. 

  14. Kim JI, Jang HS, Kim JS, Sohn HY.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13-139. 

  15. Kim MS, Ahn SM, Jung IC, Kwon GS, Sohn HY. 2010. Screening of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 from Nepalese plant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183-189. 

  16. Koh KJ, Shin DB, Lee YC.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54-859. 

  17. Koide T, Hashimoto Y, Kamei H, Kojima T, Hasegawa M, Terabe K. 1997. Antitumor effect of anthocyanin fractions extracted from red soybeans and red beans in vitro and in vivo. Cancer Biother. Radio. 12: 277-280. 

  18. Meng GT, Ma CY. 2001. Thermal properties of Phaseolus angularis (red bean) globulin. Food Chem. 73: 453-460. 

  19. Oh HS, Kim JH, Lee MH. 2003.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63-270. 

  20. Park YM, Jeong JB, Seo JH, Lim JH, Jeong HJ, Seo EW. 2011. Inhibitory effect of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hot water extracts on oxidative DNA and cell damage. Korean J. Plant Res. 24: 130-138. 

  21. Rho CW, Son SY, Hong ST, Lee KH, Ryu IM. 2003. Agronomic characters of Korea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Korean J. Plant Res. 16: 147-154. 

  22. Ryszard A, Ronald BP. 2006. Content of proanthocyanidins in selected plant extracts as determined via n-butanol/HCl hydrolysisand a colorimetric assay or by HPLC. Pol. J. Food Nutr. Sci. 56: 319-322. 

  23.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et al.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17-324. 

  24. Song SB, Seo HI, Ko JY, Lee JS, Kang JR, Oh BG, et al.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1-1127. 

  25. Valentina U, Facic J, Stampar F. 2007.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26. Woo KS, Song SB, Ko JY, Seo MC, Lee JS, Kang JR, et al. 2010.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methanolic extract from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93-698. 

  27. Yoon W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doenjang) manufacture with various soybean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8. Yoshida K, Sato Y, Okuno R, Kameda K, Isobe M, Kondo T. 1996. Structur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 from colored seed coats of Vigna, Phaseolus, and Glycine Lugum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589-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