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Explor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4, 2014년, pp.483 - 507  

최규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의 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 개발의 후속연구로서 선행연구 고찰과 과학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조사 및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중등영재교사 4인과 함께 리더십 교육, 과학탐구 교육, 융합 교육, 문제중심 교육의 4개 차원에 대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각각 단위학교 중심 영재학급과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후에는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수업 산출물 등을 함께 분석하여 창의 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follow up study to develop an education model focu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model that was developed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ience-gifted 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과학영재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성을 갖춘 창의적 과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라면 우선적으로는 이에 부합할 수 있는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더욱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의 실천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이 모형에 따라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목표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과학기술인재 육성 계획이 아니더라도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된 이후 우리나라에서의 영재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2003~2007) 시기에는 영재교육분야의 확대와 더불어 목표하였던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인성 및 리더십 교육 강화를 목표로 한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08~2012) 시기에서도 단위학교 중심 영재학급 운영과 사이버 영재교육, 캠프 중심 영재교육 등 영재교육 기관의 특성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시에 교원 인력풀 및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부족 등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고, 교육시간과 자료의 부족 등을 문제로 인성 및 리더십 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도 나타났다.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한계점은 무엇이었는가?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2003~2007) 시기에는 영재교육분야의 확대와 더불어 목표하였던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인성 및 리더십 교육 강화를 목표로 한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08~2012) 시기에서도 단위학교 중심 영재학급 운영과 사이버 영재교육, 캠프 중심 영재교육 등 영재교육 기관의 특성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시에 교원 인력풀 및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부족 등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고, 교육시간과 자료의 부족 등을 문제로 인성 및 리더십 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도 나타났다. 이에 대해 서예원 외(2011)는 영재교육 현장에서는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시대 흐름에 맞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실시와 교사의 수업 향상을 위해 기본 연수뿐 아니라 영재수업 모형 연수를 통한 수업역량 강화가 시급함을 지적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강민지(2011). 중학교 영재교육원의 인성교육 현황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탐색.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기본계획('11-'15)".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29385 (검색일: 2014. 5. 20). 

  4. 김병길(2011). 인성교육 및 창의성교육의 현실과 과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53, 3-14. 

  5. 김선경, 민희정, 방은정, 백성혜(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 교사의 PCK 요소의 특징과 관련성. 영재교육연구, 21(4), 801-828. 

  6. 김선경, 백성혜(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7. 김소연, 이신동(2009).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63-88. 

  8. 김소연, 이신동(2011). 초등과학영재교육과정의 합의적 평정기법에 의한 실태 분석과 개발방향. 영재와 영재교육, 10(2), 31-54. 

  9. 김영채(200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 수업을 위한 코칭 가이드. 경기: 교육과학사. 

  10. 노태희, 이주석, 강훈식(2012). 멘토링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87-1203. 

  11. 노희진, 김동욱, 백성혜(2008). 과학고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수업의 관련성. 대한화학회지, 52(2), 169-178. 

  12. 박경희, 서혜애(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13. 박영태(2002). 창의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방교육경영, 7, 235-264. 

  14. 박종원, 김본경, 최재혁, 지경준(2010).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숍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17-1030. 

  15. 박지은, 이봉우(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16. 박지은, 이봉우(2012). 동료간 상호작용이 강조된 연수 프로그램에서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상호작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31(2), 135-145. 

  17. 배미정, 김희백(2010).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12-428. 

  18. 백성혜, 김정은(2013).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영재교육연구, 23(2), 133-160. 

  19.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박지은, 이경숙(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12-37. 

  20. 서혜애(2011).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효율성 분석. 과학교육연구보, 38, 17-33. 

  21. 서혜애, 박경희(2007).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영재교육연구, 17(3), 421-442. 

  22.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23. 여상인, 진현숙(2012). 과학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6(1), 94-105. 

  24. 오미진, 이성태, 하동수, 조현욱(2010).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중등생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2(2), 19-38. 

  25. 윤경희(2009). 과학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지능 및 인성의 관계. 인문논총, 24, 223-256. 

  26. 이경희, 박종원(2012). 교사 연수를 통한 과제수행형 과학적 창의성 평가도구(TATSC) 현장활용 가능성 탐색. 교사교육연구, 51(1), 1-15. 

  27. 이연주, 전영석, 신영준, 홍준의, 이인호, 최정훈(2008). ERIC 검색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45-52. 

  28. 이항로(2011). 과학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2(3), 294-305. 

  29. 전혜린, 여상인(2011). 초등과학 영재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5(2), 240-249. 

  30. 정진영, 강충열(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간학문적 통합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설계 모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373-391. 

  31. 조연순(2008).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2. 최규리(2012a).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69-1186. 

  33. 최규리(2012b).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영재교육연구, 22(2), 167-190. 

  34. 최규리(2013).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 개발. 2013년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5. 최규리, 김세현, 최경희(2013).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창의.인성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2(1), 131-162. 

  36. 최미정(2010).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01-526. 

  37. 최원호,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정훈(2009). 과학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서 '교수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28(1), 9-23. 

  38.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 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39. 하주현, 유경재, 한윤영(2011). KEDI 창의적 인성검사 3종 개발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CR2011-43. 

  40. 한기순, 황현경(2012). 무엇이 영재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방해하는가?: 영재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 운영 장애요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1(2), 147-170. 

  41. Betts, G. T., & Kercher, J. K. (1999). Autonomous learner model: Optimizing ability. Hawker Brownlow Education. 

  42. Jacobs, H. H., & Borland, J. H. (1986). The interdisciplinary concept model: Theory and practice. Gifted Child Quarterly, 30(4), 159-163. 

  43. Kaplan, S. N. (2009). The grid: A model to construct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nd ed.(pp.235-252).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4. Karnes, F. A., & Stephens, K. R.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45. Lennick, D., & Kiel, F. (2005). Moral intelligence: Enhancing business performance and leadership success. Upper Saddle River, NJ: Wharton School Publishing. 

  46.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 book (2nd ed.). ThousandOaks, CA: Sage. 

  47. Moon, D. M., Kolloff, P., Robinson, A., Dixon, F. & Feldhusen, J. F. (2009). The Purdue three-stage model.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nd ed., pp. 289-321).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8. Patton, M (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9.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0. Sawyer, R. K. (2004). Creative teaching: Collaborative discussion as disciplined improvisation. Educational Researcher, 33(2), 12-20. 

  51. Sawyer, R. K. (2006). Group creativity: Musical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Psychology of Music, 34(2), 148-165. 

  52. Torrance, E. P. (1978). Giftedness in solving future problem.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2), 75-86. 

  53. Treffinger, D. J., Isaksen, S. G., & Stead-Dorval, K. B. (2005).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4th ed.). Waco, TX: Prufrock Press Inc. 

  54. Van Tassel-Baska, J. (1995). The development of talent through curriculum. Roeper Review, 18(2), 98-102. 

  55. Yakman, G.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In M. J. de Vries (Ed.), Research on technology, innovation, design and engineering (TIDE) teaching (pp. 335-385). Proceedings of PATT on 19th ITEEA conference. Reston, VA: ITEEA (2008, April).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http://www.steamedu.com/2088_PATT_Publicatio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