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4, 2014년, pp.679 - 701  

윤초희 (동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재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 추천의 타당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지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당성의 준거변인으로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와 같은 영역 특수적 변인과 확산적 사고, 창의적 인성, 내재적 동기, 리더십과 같은 영역 일반적 변인이 사용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 영재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교사에 의해 영재로 판단되어 추천된 잠재영재 학생, 그리고 일반학급의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변인인 독창성과 확산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유창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영재학생/추천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영재학생/추천학생은 이들 변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영재학생/추천학생을 일반학생과 유의하게 판별해주는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판별함수에 부하된 변인은 독창성을 제외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과학영재 학생을 추천할 때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력, 과학수행, 그리고 이로 인해 강화되는 과학효능감과 같이 보다 '적응' 지향적인 학문적 탁월성을 고려하는 반면, 다양한 새로운 반응들을 신속하게 생성해내는 '혁신' 지향적인 속성(유창성이나 독창성으로 나타나는)은 덜 고려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교사추천의 기준은 학문적 탁월성을 지향하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도 부합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영재를 판별할 때는 교사추천만으로도 영재판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validity issue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has been raised recently, this study purports to test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selecti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s the criterion variables, domain specific traits such as science creative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별분석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 판별분석은 분산분석과는 다르다. 분산분석이 전체 분산 중에 집단 간 분산이 설명해주는 부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분석방법이라면, 판별분석은 이들 집단을 유의하게 구별해주는 변인들의 선형적 결합(판별함수)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집단을 유의하게 구분해주는 선형함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집단 간에 차이가 없거나 일반학생의 점수가 높은 변인(유창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을 투입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란? 판별분석은 분산분석과는 다르다. 분산분석이 전체 분산 중에 집단 간 분산이 설명해주는 부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분석방법이라면, 판별분석은 이들 집단을 유의하게 구별해주는 변인들의 선형적 결합(판별함수)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집단을 유의하게 구분해주는 선형함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집단 간에 차이가 없거나 일반학생의 점수가 높은 변인(유창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을 투입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추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교사추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교사가 영재학생을 추천할 때 사용하는 평정척도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적절하게 구분하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사평정척도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배치되어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과 일반학급의 학생을 얼마나 잘 구별해주는가에 초점을 둔다. 예컨대, 임상장면에서 사용되는 ‘행동의 임상적 평가척도(Clinical Assessment of Behavior: CAB)’를 사용하여 영재아와 일반아를 비교ㆍ분석한 Bracken과 Brown(2008)의 연구에서 영재집단은 인지능력, 정신집행기능, 영재성 및 재능 요소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임상학적 병리현상에 관련된 변인에서는 일반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영재학생의 판별도구로서 CAB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고민석, 박병태(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1(2), 427-447. 

  2. 고유미, 여상인(2011).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발견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성향, 과학 탐구 능력 비교. 초등과학교육, 30(4), 624-633. 

  3.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4. 김영채(2002). 표준화 창의력 검사: 한국판 TTCT(도형) A형 검사 요강. 창의력 한국 FPSP. 

  5. 류지영, 정현철(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6. 박민정, 전동렬(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서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7. 박춘성(2006). 초등 영재선별을 위한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방미선, 김용권(2012).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초등과학교육, 32(2), 169-184. 

  9.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0. 심재영, 김종득, 김언주(2005).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집단 간의 창의성 비교 연구. 교육심리연구, 19(3), 563-576. 

  11. 윤은정, 박윤배(2012).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929-942. 

  12. 윤초희(2011). 관찰.추천 영재판별에서의 측정학적 쟁점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10(1), 99-122. 

  13. 윤초희, 박희찬(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14. 윤초희, 우성조(2013). 관찰추천 영재선발의 실제에 대한 질적 탐구: 영재교사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2(2), 141-168. 

  15. 이인호, 한기순(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6. 정진영(201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 동기, 창의적 성향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현민, 진석언(2013).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한 관찰.추천 영재판별용 행동특성 평정척도의 유용성 탐색. 영재교육연구, 23(5), 835-855. 

  18.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1999). 한국교육개발원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요강(초등학교용). 한국교육개발원. 

  19. 조선미(2011). 영재교육대상자 교사추천과정에서의 영재행동평정척도의 활용. 영재와 영재교육, 10(2), 5-30. 

  20. 최호성, 박후회, 김일(2011). 교사 관찰.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영재교육연구, 21(2), 407-426. 

  21.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22. 한국교육개발원(2010).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 교사추천 선발시스템 매뉴얼. 

  23. 한기순, 배미란(2004).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24. Balchin, T. (2008). Teacher nominations of giftedness: Investigating the beliefs of British G&T co-ordinator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2, 34-45. 

  25. Barron, F.,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 439-476. 

  26. Borland, J. H. (1978). Teache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 new look.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 22-32. 

  27. Borland, J. H., & Wright, L.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 164-171. 

  28. Bracken, A. B., & Brown, E. F. (2006). Behavioral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4(2), 112-122. 

  29. Elhoweirs, H. (2008). Teacher judgment in identifying gifted/talented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pring, 35-38. 

  30.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TOSRA). Melbourn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31. Frazier, M. M., Garcia, J. H., & Passow, A. H. (1995). A review of assessment issues in gifted educ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gifted minority students (Research Monograph No. RM95204). Storr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University of Connecticut. 

  32. Gagne, F. (1994). Are teachers really poor detectors? Comments on Pegnato and Birch's (1959)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various identification techniques. Gifted Child Quarterly, 38, 124-126. 

  33. Gear, G. H. (1978). Effects of training on teachers' accuracy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2, 90-97. 

  34. Guskin, S. L., Peng, C. J., & Simon, M. (1992). Do teachers react to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s of teachers' stereotypes on judgments and expectancies for students with diverse patterns of giftedness/talent. Gifted Child Quarterly, 36, 78-84. 

  35. Harter, S. (1980). A scale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orientation in the classroom (Available from Susan Harter,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Denver, Denver, CO 80208). 

  36. Hany, E. A. (1995). Teachers'' cognitive processes of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M. K. Katzko & F. J. Monks (Eds.), Nurturing talent: Individual needs and social ability (pp. 184-198). Assen, The Netherlands, Van Gorcum. 

  37. Hoge, R. D., & Cudmore, L. (1986). The use of teacher-judgment measure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upi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 181-196. 

  38. Hunsaker, S. L., Finley, V. S., & Frank, E. L. (1997). An analysis of teacher nominations and student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1, 19-24. 

  39. Kaufman, A. S., & Harrison, P. L. (1986). Intelligence tests and gifted assessment: What are the positives? Roeper Review, 8, 154-159. 

  40. Kim, K. (2006). Is creativity unidimensional or multidimensional? Analyses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3), 251-259. 

  41. Kirton, M. J. (1976). Adaptors and innovators: A description and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1, 622-629. 

  42. Kirton, M. J. (1989). Adaptors and innovators at work. In M. J. Kirton (Ed.), Adaptors and innovators: Styl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pp. 56-78). London: Routledge. 

  43. Neber, J. (2004). Teacher identification of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Nominations to a summer school for highly-gifted students. Psychology Science, 46, 348-362. 

  44. Pegnato, C. W., & Birch, J. W. (1959). Locating gifted children in junior high schools: A comparison of methods. Exceptional Children, 25, 300-304. 

  45.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46. Renzulli, J. S., & Westberg, K. (1991). Scale for Rat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oc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47. Renzulli, J. S., & Delcourt, M. A. B. (1986). The legacy and logic of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ersons. Gifted Child Quarterly, 30, 20-23. 

  48.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9.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199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0. Shore, B. M., Cornell, D. G., Robinson, A., & Ward, V. S. (1991). Recommende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1. Siegle, D., Moroe, M., Mann, R. L., & Wilson, H. E. (2010). Factors that influenc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nominations of students for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3(3), 337-360. 

  52. Torrance, E. P. (1972a). Career patterns and peak creative experiences of creative high school students 12 years later. Gifted Child Quarterly, 17, 75-88. 

  53. Torrance, E. P. (1972b).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 236-252. 

  54. Torrance, E. P. (1981). Predict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1958-1980) - and the teacher who made a "difference." Gifted Child Quarterly, 25, 55-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