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4, 2014년, pp.29 - 49  

이연선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견주연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이시은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이소영 (창원문성대학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how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Forest Education. By applying the analysis of conceptual maps, introduced by Novak and Gowin's (1983, 1984),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y and subcategories, char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 모든 과정은 새로운 개념이 떠오를 때마다 포스트잇에 메모를 한 뒤 개념도의 적합한 위치에 적절하게 배열하였으며, 한명의 교사가 작성한 개념의 총수는 제한하지 않았다. 개념도 작성이 끝난 뒤에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관한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또한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 및 재교육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현 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이들의 현 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교육이란? 최근 들어 ‘숲교육’은 ‘숲활동 혹은 ‘숲유치원’이라는 이름으로 혼용되어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숲교육(숲활동)’이라 함은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숲에서의 경험을 통한 실천적인 지식과 이론적 지식을 포괄하는 교육을 말한다. 한국사회에서 숲과 아이들의 만남은 1990년대부터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주고자 하는 움직임인 생태유아교육 라는 이름으로(임재택, 2010) 아이들과 숲으로 산책을 나가는 것이 그 계기가 되었으며, 이명환 (2003)의 ‘독일의 숲유치원’ 연구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많은 유아교육기관이 숲유치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자연의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숲이 우리에게 주는 이점은?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에서 자랐고 자연과 더불어 생존해 왔으며, 자연으로 돌아간다. 자연의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숲은 오래 전부터 인간과 인연을 가지고 왔으며 뭇 생명들이 살아 숨 쉬며 공존하고 상생하는 순환의 생명터이자, 여러 가지 사연과 전설, 이야기, 문화, 미술, 음악 등 예술의 원천이기도 하다(임재택, 하정연, 이소영, 신주연, 2012). 남효창(2004)도 숲이라는 자연이야말로 아이를 아이답게 길러낼 수 있는 가장 훌륭한 공간이고 숲은 우리 내부에 숨겨진 감성을 일깨우고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며, 온갖 생물을 차등 없이 사랑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곳이라 하였다.
숲교육을 위해 국가가 추진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 숲과 아이들의 만남은 1990년대부터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주고자 하는 움직임인 생태유아교육 라는 이름으로(임재택, 2010) 아이들과 숲으로 산책을 나가는 것이 그 계기가 되었으며, 이명환 (2003)의 ‘독일의 숲유치원’ 연구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많은 유아교육기관이 숲유치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2008년 산림청에서 녹색교육의 일환으로 전국의 국유림에 숲유치원을 조성하기 시작하면서 숲유치원이 활성화 되었으며, 2010년부터 (사)한국숲유치원협회에서 매년 2회 국내외 세미나를 개최하여 선진국 숲유치원 운영사례 발표, 외국전문가의 시연 그리고 숲유치원 교육방식에 대한 벤치마킹(benchmarking)의 기회도 갖게 되는(임재택, 이소영, 김은주, 2012) 등 숲유치원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리고 산림청에서도 국민의 숲, 도시 숲 등을 활용하여 운영하던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2010년부터 5개 지방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로 확대 운영(이미라, 2010)하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고제순(2011). 숲의 나라! 생명의 나라! (사)한국숲유치원협회 2011년도 원장연수 : 구두발표 논문. 

  2. 곽노의(2010). 숲유치원의 한국적 적용-숲유치원 도입을 위한 국내 유아교육기관의 대응전략. 제2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3. 김 연(2011). 한국 최초의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경애(2011). 숲체험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과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묘선, 이민선(2013). 매일형 숲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람.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75-113. 

  6. 김성재(2013).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및 어려움과 해결 방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숙(2013). 숲체험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주관적이 태도분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2), 107-131. 

  8. 김현정(2013).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숲 유치원 인식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남효창(2004). 나는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 청림출판. 

  10. 박경희(200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은혜(2011).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연친화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배은주(2013). 숲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한경 친화적 교육태도 및 교사교육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사)한국숲유치원협회(2011a). 한국형 숲유치원 시범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사)한국숲유치원협회 2011년 동계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4. (사)한국숲유치원협회(2011b). 한국형 숲유치원의 바람직한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사)한국숲유치원협회 하계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5. 산림청(2008). 숲속유치원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대전 : 산림청. 

  16. 산림청(2011). 산림청의 숲유치원 활성화 방안.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7. 산림청(2012). 산림교육 활성화 방안. 숲유치원 국제 세미나 : 구두발표논문. 

  18. 산림청(2013). 한국형 숲유치원 정착을 위한 모형 개발 연구와 효과 분석.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국내세미나 : 구두발표논문. 

  19. 소명수(2012). 숲 유치원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송주은(2011). 숲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원섭(2005). 치유의 숲. 서울 : 지성사. 

  22.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2008). 유아문학 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23. 안명숙(2006). 숲과 하천 경험을 통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오소영(2010).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경화(2012). 숲 체험을 포함한 생태중심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광미(2012).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명환(2003). 독일의 숲 유치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23-48. 

  28. 이명환(2011). 유아교육기관에서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75- 200. 

  29. 이미라(2010). 숲유치원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 2010년 제2회 숲유치원 국내세미나 : 구두 발표 논문. 

  30. 이연선(2007). 유아교실담론에 나타난 유아의 지식구성 및 권력관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용수(2013). 숲유치원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인숙(2008).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주연(2011). 한국의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교사교육 요구도 조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현영(2012). 숲유치원 유아들의 사회적 역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효숙(2009). 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 교육 개념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36.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 숲과의 만남.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구두 발표 논문. 

  37.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 양서원. 

  38. 임재택(2011). 숲과 아이들의 만남. 한국형 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원장.교사 연수 : 구두발표 논문. 

  39.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40. 임재택, 하정연, 신주연(2012). 숲유치원 운영 매뉴얼. 경기 : 공동체. 

  41.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2013). 숲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이 탐색. 유아교육연구, 33(2), 343-367. 

  42.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 신주연(2012). 숲활동에서 형성되는 유아들의 관계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119-145. 

  43. 장희정(2011). 숲유치원의 이해: 국내외 숲유치원 운영실제. (사)숲유치원협회 2011년도 교사연수 : 구두발표 논문. 

  44. 조은제(2011).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토박이사전편찬실(2008). 보리국어사전. 서울 : 보리. 

  46. 홍민경, 이경화(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32(3), 241-255. 

  47. 황영철(2012). 새로운 미래 숲으로 가자. 제4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48. 황지애, 김성재(2012).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99-117. 

  49. Beyerbach, B. A. (1988). Developing a technical vocabulary on teacher planing: Preservice teachers' concept map.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4), 339-347. 

  50. Bickel, K. (2001). Der Waldkingergarten. Leipzig: Nodtenmedia. 

  51. Golden, A. (2010). Exploring the forest: Wild places in childhood. Golden Voices of Practitioners, 5(1), 1-11. 

  52. Grey, P. (2011). The special value of children's age-mixed paly. American J ournal of Play, 13(1). 500-522. 

  53. Katz, L. G. (1988).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 50-54. 

  54. Kenny, E. K. (2014). Forest education in usa for child. 제6회 산림교육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55. Knight, S. (2009). Forest school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London : Sage. 

  56. Kollner, S., & Leinert, C. (1998). Waldkindergarten. Augsburg: RIWA Verlag. 

  57. Markham, K. M., Mintzes, J. J., & Jones, M. G. (1994). The concept map as a research and evaluation tool: Further evidence of valid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 91-101. 

  58. Meier, D. R., & Sisk-Hilton, S. (2013). Nature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tegrating inquiry and practice. NY : Routledge. 

  59. Morine-Dershimer, G. (1993).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60.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Patterson, C. H. (1989). Humanistic education. 인간주의 교육(장상호 옮김). 서울 : 박영사(원판 1980). 

  62. Schede, H. G. (2000). Der Waldkingergarten auf einen Blick, Freiburg : Herder. 

  63. Tschan, M. (2012). Naturerfahrung im kindesalter-Inspiration fuers leben waldortpaedagogik im waldkindergarten. 제4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