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상동나무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식생조사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Sageretia thea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2 no.4, 2014년, pp.301 - 305  

송상철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  송창길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  김주성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Sageretia thea which is distributed in Jeju island, Korea. Sageretia thea were mainly distributed to the west area in Jeju island. Soil pH and EC of Sageretia thea habitat were 5.8 and $0.34dS{\cdot}m^{-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제주의 경우 곶자왈이나 중산간지에 방치되거나 일부 지역주민들이 열매를 채취하여 생과 또는 술을 담아 먹을 뿐 식품으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주지역 향토 유전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용식물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에 자생하는 상동나무의 자생지 환경 및 식생을 파악하고 산업화 및 상동나무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동나무는 어떠한 약에 이용되었는가? C. Johnst)는 예로부터 거풍약 (風藥), 담지해평천약 (痰止咳平喘藥), 이기약 (理氣 藥)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Kim, 2004). 그러나 국내에서 상동나무의 이용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제주에서 상동나무의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나 국내에서 상동나무의 이용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특히 제주의 경우 곶자왈이나 중산간지에 방치되거나 일부 지역주민들이 열매를 채취하여 생과 또는 술을 담아 먹을 뿐 식품으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주지역 향토 유전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용식물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에 자생하는 상동나무의 자생지 환경 및 식생을 파악하고 산업화 및 상동나무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에서 상동나무의 분포는 어떠한가? 2). 상동나무의 분포를 보면, 제주도 전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었으며, 출현면에서 서부지역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자생지에서 상동나무의 분포 빈도수는 해발 200 ~ 400 m 지대에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농경지, 도시화 등에 의한 인위적 행위가 적은 중산간 방목지 및 곶자왈 주변에 많이 자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len SE, Grimshaw HM and Rowland AP. (1986). Chemicalmethods in plant ecology(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sher. Oxford, England. p.285-344. 

  2. Choo GC. (1992). Systematic studies of the family Rhamnaceae in Korea.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p.22-70. 

  3. Jeong JH,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94-700. 

  4. Kim CS, Son SG, Tho JH, Kim JE, Hwang SI and Cheong JH. (2007).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resources in jeju,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424-436. 

  5. Kim DG. (2010).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nce of native trees on the coastal windbreaks in the south-sea,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14-25. 

  6. Kim HJ. (2004). Studies on the medicinal resource plants on Jeju Island. Ph. D.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p.5-25. 

  7. Kim NY, Bae KH, Kim YS, Lee HB and Park WG. (2013). Habitat environment and cutting, seed propagation of rare plant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29:165-172. 

  8. Ko SH, Koh SG, Lee CH, Kim CS and Hyun HN. (2010). Soil properties by major forest types in Mt. Hallasan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20:204-207.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0). http:// www.kma.go.kr. 

  10. Korea National Arboretum Databases(KNAD). (2003). Korea Diversity Informations System. http://www.nature.go.kr/. 

  11. Kwon HJ, Gwon JW, Jeong HR, Lee JH and Song HK. (2011).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5:725-735. 

  12. Lim DO, Choi HW and Jang JJ.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of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on Wando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69-77.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14. Park SJ, Kim JH, Kim SM, Park HD, Woo BJ and Bec KY. (2004).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8:18-41. 

  15. Park SJ and Park SJ. (2004). The flora of Sorok island.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8:392-414. 

  16. Park Y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Master Thesis. Honam University. p.15-71. 

  17. So SK and Song HK. (2012).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210-218. 

  18. Song CK, Park YM, Cho NK, Ko YW and Kang DI. (2000). Growth responses of some medicinal plants in different altitudes of mountain Hall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8:134-145. 

  19. Song G. (2007). The flora and veget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on east-facing and west-facing slopes of Mt. Halla. Ph. D.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p.12-72. 

  20. Song G. (2011).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of plant resources and study on habitate characteristics of rare plants and endangered wild plants an Gotchawal in Jeju island.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187-204. 

  21. Song JM, Kim Y, Sun BY, Kim CH, Do SG and Song G.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Vaccinium bracteatum Thunb. habitat area at a valley of southern slope in Mt. Halla,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589-596. 

  22. Yoo SH and Song KC. (1984).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Cheju island(Variation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altitud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7:1-6. 

  23. Yun KW, Hwang Y, So SK and Kim MY. (2012).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139-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