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에 대한 치험 1례
A case study of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23 no.1, 2014년, pp.157 - 166  

이재은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이정민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오민석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atient with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who wa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다양한 임상증례의 보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상완골 간부 골절 후에 동반된 요골신경마비 환자 1례를 대상으로 침치료, 약침 치료, 한약치료 등 한방치료를 병행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아래와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 EST는 근위축 발생을 예방하고 진행속도를 낮추며, 신장성 감소의 방지 및 근육이 마비되어 있는 기간동안 근육의 수축감각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물리치료이다16). 본 증례에서는 환측의 手陽明經筋 부위에 EST를 통한 자극을 가하여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신전근의 약화 및 위축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비증 : 좌 1-2지 사이 물갈퀴 부위 비감이 아침 기상시 우심하며 큰 차이 없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골신경이란 무엇인가? 요골신경은 팔에서 가장 큰 신경으로, 외상으로 인한 손상이 포착신경병증에 비해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신경이다. 요골신경은 상완신경총에서 기원하며 표층은 감각신경을 지배하고 심층은 운동신경을 지배한다.
심층의 요골신경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표층의 요골신경은 상완의 후방과 전완 그리고 수부의 피부감각을 지배한다. 심층의 요골신경은 주관절, 수근관절, 수지관절의 신전운동에 주 작용을 하며, 주관절 굴곡, 전완회외 그리고 엄지손가락의 신전과 같은 움직임에 보조작용을 한다1). 요골신경 손상은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흔히 동반되는 중요한 문제로, 완관절 및 수지관절 신전 기능이 약화되며 수배부의 지각소실 있을 수 있다.
요골신경이 주관절 상위에서 손상되는 경우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이러한 요골신경의 유주에 따라서 요골신경손상의 위치를 구분하게되며, 위치에 따라서 구분되는 운동기능의 장애를 보인다. 주관절 상위에서 손상되는 경우 완하수가 특징적이며, 엄지와 신전의 약화를 초래한다. 주관절 하위에서 심부 분지만 손상을 받으면 완관절 신전력은 보존되어 완하수는 발생하지 않고, 중수의 수지관절의 신전력 약화만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셋째판, 서울, 군자출판사, p.975. 2011. 

  2. Robert K. Sinder MD. Essentials of Mucoskeletal care. 서울, 도서출판 한우리, pp.147-150. 2009. 

  3. 이문호, 김경식. 요골신경마비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침구학회지. 11(1):451-564, 1994. 

  4. 권영달, 박용헌, 이종덕, 송용선. 요골신경마비의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회지. 8(2) :372-37, 1998.. 

  5. 김은미, 박영수, 허윤경, 송현근, 최가원, 김정호, 김영일, 홍권의, 이현, 임윤경. 內經의 獨取陽明理論으로 치료한 요골신경마비 환자 7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2(5):167-174, 2005. 

  6. 이세연, 이경민, 정태영, 서정철, 한상원. 요골신경마비의 치험 1례. 대한 침구학회지. 20(1): 236-243, 2003. 

  7. 서정철, 이윤경,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오공 약침을 병행한 요골신경마비 치험 1례. 대한약침학회지. 8(2):91-95, 2005. 

  8. 임청산, 유영진, 권기록. 침치료와 효소제거 봉독요법 집중치료의 압박성 요골신경마비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6(6):241-249, 2005. 

  9. 최은희, 천혜선, 이주희, 류혜선, 양동선, 홍석. 중성어혈 약침치료를 병행한 요골신경바미 환자 치험 4례. 대한약침학회지. 14(4):63-70, 2011. 

  10. 황욱, 김정신, 배기태, 남상수, 김용석. 침과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으로 치료한 요골신경마비에 대한 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1(6):249-257, 2004. 

  11. 한영길, 나수균, 최창욱. 요골신경마비 및 수지신전건 손상 환자의 건전이술에 의한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7(1):287-306, 1997. 

  12. Ruth E. M. Bowden and J. R. Napier. The assessment of hand function afetr peripheral nerve injury.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3(B):481-492, 1961. 

  13. 정운규, 김민영, 김진수, 최영일, 최희승, 조태영. 금출도담탕을 투여한 어깨 충돌증후군 환자 치험 3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7(1):85-94, 2012. 

  14. Arthur Holstein and Gwilym B. Lewis. Fractures of the humerus with radial-nerve paralysis.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5(A):1382-1388, 1963. 

  15. 김효수, 김일환, 위통순. 봉약침요법을 이용한 요골신경마비 치험 3례. 대한약침학회. 7(2):75-81, 2004. 

  16.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정형외과학. 제 6판, 서울, 최신의학사, pp.874-875. 2006. 

  17.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 3판, 서울 군자출판사, pp.155-157. 2011. 

  18. 김성준, 김태승, 이광현, 이도경, 김병석. 상완골 간부골절에 동반된 요골 신경마비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7(1):382-390,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