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atient with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who wa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h...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atient with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who wa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Coding result, Numeric rating scale(NRS) and digital grip dynamometer were used to evaluate the wrist drop, numbness of fingers and grip power. Results : The patient showed the first sign of recovery after 6 weeks from onset. After 9 weeks from onset, the patient could perform delicate manual activity. Grip power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as well as coding result and NR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Korean medical treatments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is a good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fracture.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atient with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who wa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Coding result, Numeric rating scale(NRS) and digital grip dynamometer were used to evaluate the wrist drop, numbness of fingers and grip power. Results : The patient showed the first sign of recovery after 6 weeks from onset. After 9 weeks from onset, the patient could perform delicate manual activity. Grip power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as well as coding result and NR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Korean medical treatments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is a good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fractu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저자는 다양한 임상증례의 보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상완골 간부 골절 후에 동반된 요골신경마비 환자 1례를 대상으로 침치료, 약침 치료, 한약치료 등 한방치료를 병행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아래와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EST는 근위축 발생을 예방하고 진행속도를 낮추며, 신장성 감소의 방지 및 근육이 마비되어 있는 기간동안 근육의 수축감각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물리치료이다16). 본 증례에서는 환측의 手陽明經筋 부위에 EST를 통한 자극을 가하여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신전근의 약화 및 위축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3) 비증 : 좌 1-2지 사이 물갈퀴 부위 비감이 아침 기상시 우심하며 큰 차이 없음.
제안 방법
1) 손목관절의 하수(wrist drop) 및 수지관절의 근력 약화에 대한 치료 성적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관절의 운동 범위를 나타내는 coding result(Table Ⅰ)를 근력검사에 따라 평가하였다. 근력은 건측과 비교하여 능동저항검사11)를 통해 정상을 10으로 하여 그 상대적인 지수(point of muscle power)를 평가하였다(Table Ⅱ).
1) 손목관절의 하수(wrist drop) 및 수지관절의 근력 약화에 대한 치료 성적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관절의 운동 범위를 나타내는 coding result(Table Ⅰ)를 근력검사에 따라 평가하였다. 근력은 건측과 비교하여 능동저항검사11)를 통해 정상을 10으로 하여 그 상대적인 지수(point of muscle power)를 평가하였다(Table Ⅱ).
3) 악력검사는 악력기(Takei A5401 digital hand grip dynamometer)를 사용하여 환측과 건측의 악력을 비교하였다.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주요기능손실은 완관절, 수지, 수지의 신전장애보다 장악력(grip power)의 약화라 할 수 있다.
침은 우진침구의 0.20×0.30 mm 1회용 stainless steel 호침을 사용하여 1일 1회를 원칙으로 시행하고 15분간 유침하였으며 자침의 심도는 경혈에 따라 2-5 mm로 하였다.
중성어혈(자생원외탕전원, 한국)을 1 ml 일회용주사기(주사침 30G×1/2, 정림, 한국)를 사용하여 5-10 mm 깊이로 한혈자리에 0.1 ml씩 총 0.6 ml의 용량을 주 3회를 원칙으로 시술하였다.
30 mm 1회용 stainless steel 호침을 사용하여 1일 1회를 원칙으로 시행하고 15분간 유침하였으며 자침의 심도는 경혈에 따라 2-5 mm로 하였다. 치료혈은 환측의 合谷(LI4), 外關(TE5), 曲池(LI11), 手三里(LI10), 肩髃(LI15) 등 환자의 마비된 상지를 지배하는 경락인 手陽明經의 경혈과 八邪穴을 중심으로 배혈하였다. 전침(Pointer-F3, ITO co.
치료혈은 환측의 合谷(LI4), 外關(TE5), 曲池(LI11), 手三里(LI10), 肩髃(LI15) 등 환자의 마비된 상지를 지배하는 경락인 手陽明經의 경혈과 八邪穴을 중심으로 배혈하였다. 전침(Pointer-F3, ITO co.)을 合谷(LI4), 曲池(LI11)에 순경취혈로 부착하여 16-50 Hz를 반복사이클로 자극하는 방법으로 15분간 시행하였다.
뜸치료는 자양산업의 자양무연미니뜸을 사용하여 1일 1회를 원칙으로 시행하였으며 침치료와 동일한 혈자리에 치료를 시행하였다.
2014년 3월 17일부터 4월 8일까지 芩朮導痰湯(半夏 生薑 蒼朮 8g, 南星 麥芽 白芥子 白朮山査 威靈仙 赤茯苓 地殼 陳皮 香附子 黃芩 4g, 甘草 羌活 2g), 2014년 4월 9일부터 4월 0일까지 補中益氣湯(黃芪 9g, 人蔘 白朮 甘草 6g, 當歸 陳皮 3g, 升麻 柴胡 1.5g) 2첩을 1일 3회 수전 식후복으로 투여하였다.
치료 24일째부터는 좌완관절 및 좌수지관절의 부종과 비감이 감소하여, 《東醫寶鑑》에서 虛勞와 倦怠를 주치하는 補中益氣湯을 처방하여 적극적인 운동치료와 함께 운동기능의 빠른 회복을 기대하였다.
통경락요법으로 혈위도전요법(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EST)를 매 침 시술 후 시행하였다. EST는 근위축 발생을 예방하고 진행속도를 낮추며, 신장성 감소의 방지 및 근육이 마비되어 있는 기간동안 근육의 수축감각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물리치료이다16).
관절 강직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 최소한 10회 이상 각방향으로 수동 및 능동 운동을 하였으며, 근육의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근육마사지를 시행하였다.
환자는 발병시점으로부터 약 1달 이상이 지나서 입원하였으며, 2014년 3월 17일부터 2014년 4월 26일까지 치료를 시행하였다. 환자상태의 변화를 기준으로 2-3회의 치료마다 1회 관찰을 통해 관절의 가동범위 및 근력을 기록하였으며, 장악력은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비증은 환자의 기술을 통해 기록하였다.
이 등3)에 따르면, 요골 신경마비의 침구치료에 활용된 경혈 중 曲池(LI11), 手三里(LI10), 合曲(LI4), 肩髃(LI15) 등의 순으로 다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또한 獨取陽明治法에 부합하는 보고이다. 본 증례에서는 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상기 혈자리의 혈위에 침구치료, 약침치료 및 전침치료를 적용하였으며, 手陽明經筋에 해당하는 부위에 EST를 병행 하여 운동능력의 회복을 기대하였다.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內經》의 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內經》의 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대전대학교 부속 천안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에 2014년 3월 17일부터 2014년 4월 26일까지 입원한 좌측 상완골 골절로 인한 요골신경마비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 ml의 용량을 주 3회를 원칙으로 시술하였다. 취혈은 환측의 合谷(LI 4), 外關(TE5), 曲池(LI11), 手三里(LI10), 肩髃(LI15)를 사용하였다. 자생한방병원 원외 탕전원을 통해 제작한 중성어혈 약침의 처방내용은 梔子 19g, 玄胡索 8g, 乳香 8g, 沒藥 8g, 桃仁 5.
5-2 m 높이에서 추락하며 둔부와 주부를 땅에 직접 타박함. 2월 7일 충무병원에서 좌측 견관절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 좌측 상완골 골절로 인한 요골신경 손상을 진단 받은 후 좌측 견관절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하여 관혈 정복술 및 금속판과 나사를 이용한 내고 정술을, 좌측 상완골 골절로 인한 요골신경 손상에 대하여 요골신경 유리술을 받고 2014년 2월 22일까지 충무병원에서 입원치료 후 본원 입원함.
환자는 발병시점으로부터 약 1달 이상이 지나서 입원하였으며, 2014년 3월 17일부터 2014년 4월 26일까지 치료를 시행하였다. 환자상태의 변화를 기준으로 2-3회의 치료마다 1회 관찰을 통해 관절의 가동범위 및 근력을 기록하였으며, 장악력은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비증은 환자의 기술을 통해 기록하였다.
이와같이 요골신경의 심부 분지가 마비된 경우는 하위 요골 신경마비(low radial nerve palsy), 주관절 이상에서 마비된 경우는 상위 요골신경마비(high radial nerve palsy)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본 증례는 완하수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상위 요골신경마비에 속한다15).
이론/모형
2) 비증의 정도는 자각증상의 경중도를 NRS(Numeric Rating Scale)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사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
(4) 일상생활 : 보행시 좌완관절 및 좌수부의 덜렁거림 감소함. 좌수부 무력감 감소하여 세수및 머리 감는 자세시 양손 사용 가능함.
(1) 완하수 : Fingers FT-MPC 1/9in으로 호전됨. 능동저항검사시 Fingers MP-Ext 및 FT-MPC의 power 증가함.
(4) 일상생활 : 좌측 완관절 및 수배부의 부종감 감소하였으며, 좌측 모지의 운동성 증가함. 얇고 가벼운 사물에 대하여 집게 운동 가능하여 스스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문제 없음.
본 증례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능동저항검사를 통해 정상을 10으로 하였을 때, 환측 완관절을 굴곡하는 상대적 근력지수는 치료 후 10으로 회복되었으나, 환측완관절을 신전하는 상대적 근력지수는 2로 미미한 호전을 보였다. 중수지관절을 굴곡하는 상대적 지수는 치료 후 10으로 회복되 었으며, 중수지 관절을 신전하는 상대적 근력지 수는 2로, 다른 관절에 비하여 신전과 굴곡 모두 미미한 호전도를 보였다(Fig.
본 증례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능동저항검사를 통해 정상을 10으로 하였을 때, 환측 완관절을 굴곡하는 상대적 근력지수는 치료 후 10으로 회복되었으나, 환측완관절을 신전하는 상대적 근력지수는 2로 미미한 호전을 보였다. 중수지관절을 굴곡하는 상대적 지수는 치료 후 10으로 회복되 었으며, 중수지 관절을 신전하는 상대적 근력지 수는 2로, 다른 관절에 비하여 신전과 굴곡 모두 미미한 호전도를 보였다(Fig. 1).
본 증례에서 관절의 가동성의 경우, 엄지손가락수지관절의 신전은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엄지손가락의 굴곡은 5°정도로 호전이 미미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악력측정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악력을 측정한 결과, 입원당시에 비하여 악력이 점진적으로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6주가 소요되었다. 회복완료 시기는 조기탐색술의 경우 평균 21.8주, 지연탐색술의 경우 평균 35.2주가 소요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발병일(2014년 2월 6일)로부터 약 6주째가 되는 2014년 3월 18일경부터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일로부터 약 11.
2주가 소요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발병일(2014년 2월 6일)로부터 약 6주째가 되는 2014년 3월 18일경부터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일로부터 약 11.5주째가 되는 2014년 4월 26일에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 운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회복되어 퇴원하였다. 이는 3가지 요골신경 손상상태에서의 첫 회복징후가 나타나는 시기들보다 이르게 나타났다.
요골신경은 해부학적 구조상 포착신경병증보다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에 더 취약함1)에도 불구하고, 외상으로 인한 요골신경손상의 한방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마비에 獨取陽明治法을 적용하였으며, 獨取陽明治法이 외상성 요골신경손상의 회복 시작 시기를 앞당기는 데에 좋은 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사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內經》의 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內經》의 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골신경이란 무엇인가?
요골신경은 팔에서 가장 큰 신경으로, 외상으로 인한 손상이 포착신경병증에 비해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신경이다. 요골신경은 상완신경총에서 기원하며 표층은 감각신경을 지배하고 심층은 운동신경을 지배한다.
심층의 요골신경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표층의 요골신경은 상완의 후방과 전완 그리고 수부의 피부감각을 지배한다. 심층의 요골신경은 주관절, 수근관절, 수지관절의 신전운동에 주 작용을 하며, 주관절 굴곡, 전완회외 그리고 엄지손가락의 신전과 같은 움직임에 보조작용을 한다1). 요골신경 손상은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흔히 동반되는 중요한 문제로, 완관절 및 수지관절 신전 기능이 약화되며 수배부의 지각소실 있을 수 있다.
요골신경이 주관절 상위에서 손상되는 경우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이러한 요골신경의 유주에 따라서 요골신경손상의 위치를 구분하게되며, 위치에 따라서 구분되는 운동기능의 장애를 보인다. 주관절 상위에서 손상되는 경우 완하수가 특징적이며, 엄지와 신전의 약화를 초래한다. 주관절 하위에서 심부 분지만 손상을 받으면 완관절 신전력은 보존되어 완하수는 발생하지 않고, 중수의 수지관절의 신전력 약화만 초래한다.
참고문헌 (18)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셋째판, 서울, 군자출판사, p.975. 2011.
Robert K. Sinder MD. Essentials of Mucoskeletal care. 서울, 도서출판 한우리, pp.147-150. 2009.
이문호, 김경식. 요골신경마비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침구학회지. 11(1):451-564, 1994.
한영길, 나수균, 최창욱. 요골신경마비 및 수지신전건 손상 환자의 건전이술에 의한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7(1):287-306, 1997.
Ruth E. M. Bowden and J. R. Napier. The assessment of hand function afetr peripheral nerve injury.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3(B):481-492, 1961.
Arthur Holstein and Gwilym B. Lewis. Fractures of the humerus with radial-nerve paralysis.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5(A):1382-1388, 196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