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 유도 및 초기생활사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legant Blenny, Omobranchus elegans (Pisces: Blenni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1, 2014년, pp.25 - 33  

박재민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한경호 (전남대학교 양식생물학전공) ,  김나리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오성재 (전남대학교 양식생물학전공) ,  손맹현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김경민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전민지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김재명 (전남대학교 양식생물학전공) ,  박상희 (여수고등학교) ,  조재권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행동은 수컷이 속이 비어 있는 굴 또는 따개비 패각을 선택하여 내면을 입으로 깨끗이 청소해주었고, 수컷은 지속적인 구애행동으로 암컷을 산란장소로 유인하였으며, 패각 내면에 한 층으로 산란하였다. 산란이 끝난 암컷은 패각을 떠났고, 수컷은 혼자 남아 알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으로 점성이 강한 부착란이었고, 평균 장경은 $1.06{\pm}0.03mm$ 였다. 사육수온은 부화 시까지 $25.5{\sim}28.5^{\circ}C$ (평균 $27.0^{\circ}C$), 염분 32.5~33.5 ‰ (평균 33.0 ‰) 범위를 유지하였다. 수정란은 배반이 난황의 2/3 이상을 덮어 내려와 낭배기에 달하였고, 낭배기 후 2시간에는 난황을 따라 자라나면서 배체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39시간에는 뇌가 분화하였고, 꼬리가 난황과 분리되면서 막지느러미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203시간에는 머리가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전장 $3.06{\pm}0.02mm$로 입과 항문은 열려있었고, 난황은 흡수된 상태였다. 부화 후 1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6.42{\pm}0.02mm$로 꼬리지느러미는 원기모양으로 발달하였다. 부화 후 60일째 치어는 전장 $21.8{\pm}0.24mm$로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는 주둥이 끝에서부터 등지느러미 12번째 줄기까지 9개로 증가하였고, 눈 아랫부분의 가로줄무늬 4개는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와 합쳐졌다. 항문은 37.2~39.5%로 몸의 정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roy of elegant blenny, Omobranchus elegans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elegant blenny were caught at Dolsan lsland, Yeosu-si, Jeollanamdo from June in 2012. As a result of observeation, male fish attracted female continu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행동은 수컷이 속이 비어 있는 굴 또는 따개비 패각을 선택하여 내면을 입으로 깨끗이 청소해주었고, 수컷은 지속적인 구애행동으로 암컷을 산란장소로 유인하였으며, 패각 내면에 한 층으로 산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앞동갈베도라치와 같은 과에 속하는 어류에 대한 기존 연구의 부족한 점은 무엇인가? 청베도라치과 어류는 국내에서 초기 생활사가 밝혀진 종이 적고, 종 간의 유연종이 많으며,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분류형질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앞동갈베도라치란 무엇인가?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는 농어목 (Perciformes) 청베도라치과(Blenniidae) 앞동갈베도라치속(Genus Omobranchus)에 속하는 어류로 같은 과에는 노랑꼬리베도 라치(Ecsenius namiyei), 저울베도라치(Entomacrodus stellifer stellifer), 대강베도라치(Istiblennius enosimae), 골베도라치(O. punctatus),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두줄베도라치(Petroscirtes breviceps), 개베도라치(P.
청베도라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무엇이 있는가?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는 농어목 (Perciformes) 청베도라치과(Blenniidae) 앞동갈베도라치속(Genus Omobranchus)에 속하는 어류로 같은 과에는 노랑꼬리베도 라치(Ecsenius namiyei), 저울베도라치(Entomacrodus stellifer stellifer), 대강베도라치(Istiblennius enosimae), 골베도라치(O. punctatus),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두줄베도라치(Petroscirtes breviceps), 개베도라치(P. variabilis), 청줄베도라치(Plagiotremus rhinorhynchos) 등 총 7속 9종이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용억. 1979.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의 자치어기 형태. 한국수산학회지, 12: 297-303. 

  2. 김익수.강언종. 1991.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아목 (농어목)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동물학회지, 34: 500-525. 

  3.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주)교학사, 613pp. 

  4. 김진구.김용억.박진우. 2001.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 (Pisces: Pomacentridae)의 산란보호, 난 발생 및 자어의 형태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3: 166-172. 

  5. 박재민.정현호.한경호.조재권.김나리.김재명.백정익.박소현. 2013. 실험실에서 사육한 해포리고기 (Abudefduf vaigiensis)의 산란행동, 난 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한국어류학회지, 25: 82-89. 

  6. 송호복.최신석. 2000.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한국육수학회지, 33: 282-294. 

  7. 유재명.김웅서.김 성.이은경. 1995. 흰베도라치(Enedrias fangi)의 초기생활사에 관하여. 한국어류학회지, 7: 25-32. 

  8.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9. 한경호.김용억.최규정. 1998a. 한국산 밀어 (Rhinogobius brunneus)의 산란습성, 난 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한국수산학회지, 31:114-120. 

  10. 한경호.박준택.정규화. 1998b. 한국산 꺽지(Coreoperca herzi)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양식학회지, 11: 49-58. 

  11. Ditty, J.G., R.F. Shaw and L.A. Fuiman. 2005. Larval development of five species of blenny (Teleostei: Blenniidae) from the western central North Atlantic, with a synopsis of blennioid family characters. Jounal of Fish Biol., 66: 1261-1284. 

  12. Faria, C., F. Gil and V.C. Almada. 2005. Ontogenetic development of Lipophrys trigloides (Pisces: Blenniidae), with some notes on the spawning behaviour. J. Mar. Biol. Ass. U.K., 85: 185-188. 

  13. Faria, C., R. Borges, F. Gil, V.C. Almada and E.J. Goncalves. 2002.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Lipophrys pholis (Pisces: Blenniidae). SCI. MAR., 66: 21-26. 

  14. Fujita, S. 1957. On the egg development and prelarval stageof a damselfish, Chromis notatus. Japan. J. Ichthyol., 6: 87-90. 

  15. Han, K.H. and D.S. Hwang. 2003.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Blenniid Fish, Scartella cristata. Korean J. Ichthyol., 15: 53-60. (in Korean) 

  16. Kawaguchi, T., H. Kohno, K. Fujita and Y. Taki. 1999.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Omobranchus fasciolatoceps and O. punctatus (Blenniidae: Omobranchini) reared in an aquarium. Japan J. Ichthyol. Soc., 46: 163-170. 

  17. Kim, Y.U. and K.H. Han. 1989.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val blenniid fish, Istiblennius stellifer reared in the laboratory. Korean J. Ichthyol., 1: 9-18. (in Korean) 

  18. Kim, Y.U., J.G. Myoung, K.H. Han and C.B. Kang. 1992a. Morphology of larvae, egg development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blenniid fish, Pictiblennius yatabei. Korean J. Ichthyol., 4: 44-54. (in Korean) 

  19. Kim, Y.U., K.H. Han and C.B. Kang. 1992b.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Entomacrodus stellifer lighti. Korean J. Ichthyol., 4: 31-43. (in Korean) 

  20. Ruck, J.G. 1980. Early development of Forsterygion varium, Gilloblennius decemdigitatus, and G. tripennis (Pisces: Tripterygiidae). New Zealand J.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14: 313-326. 

  21. Rusell, F.S. 1976. The Eggs and Planktonic Stages of British Marine Fishes. Academic Press, Inc., London, 524pp. 

  22. Sunobe, T. 1998. Notes on the mating system of Omobranchus elegans and O. fasciolatoceps (Blenniidae) at Maizuru, Japan. Japan J. Ichthyol. Soc., 45: 319-321. 

  23. William, W. 1987. Larval development of the Endemic Hawaiian Blenniid, Enchelyurus brunneolus (Pisces: Blenniidae: Omobranchini). Bull. Marin Science, 41: 856-8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