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행동은 수컷이 속이 비어 있는 굴 또는 따개비패각을 선택하여 내면을 입으로 깨끗이 청소해주었고, 수컷은 지속적인 구애행동으로 암컷을 산란장소로 유인하였으며, 패각 내면에 한 층으로 산란하였다. 산란이 끝난 암컷은 패각을 떠났고, 수컷은 혼자 남아 알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으로 점성이 강한 부착란이었고, 평균 장경은 $1.06{\pm}0.03mm$ 였다. 사육수온은 부화 시까지 $25.5{\sim}28.5^{\circ}C$ (평균 $27.0^{\circ}C$), 염분 32.5~33.5 ‰ (평균 33.0 ‰) 범위를 유지하였다. 수정란은 배반이 난황의 2/3 이상을 덮어 내려와 낭배기에 달하였고, 낭배기 후 2시간에는 난황을 따라 자라나면서 배체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39시간에는 뇌가 분화하였고, 꼬리가 난황과 분리되면서 막지느러미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203시간에는 머리가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전장 $3.06{\pm}0.02mm$로 입과 항문은 열려있었고, 난황은 흡수된 상태였다. 부화 후 1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6.42{\pm}0.02mm$로 꼬리지느러미는 원기모양으로 발달하였다. 부화 후 60일째 치어는 전장 $21.8{\pm}0.24mm$로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는 주둥이 끝에서부터 등지느러미 12번째 줄기까지 9개로 증가하였고, 눈 아랫부분의 가로줄무늬 4개는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와 합쳐졌다. 항문은 37.2~39.5%로 몸의 정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행동은 수컷이 속이 비어 있는 굴 또는 따개비 패각을 선택하여 내면을 입으로 깨끗이 청소해주었고, 수컷은 지속적인 구애행동으로 암컷을 산란장소로 유인하였으며, 패각 내면에 한 층으로 산란하였다. 산란이 끝난 암컷은 패각을 떠났고, 수컷은 혼자 남아 알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으로 점성이 강한 부착란이었고, 평균 장경은 $1.06{\pm}0.03mm$ 였다. 사육수온은 부화 시까지 $25.5{\sim}28.5^{\circ}C$ (평균 $27.0^{\circ}C$), 염분 32.5~33.5 ‰ (평균 33.0 ‰) 범위를 유지하였다. 수정란은 배반이 난황의 2/3 이상을 덮어 내려와 낭배기에 달하였고, 낭배기 후 2시간에는 난황을 따라 자라나면서 배체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39시간에는 뇌가 분화하였고, 꼬리가 난황과 분리되면서 막지느러미가 형성되었다. 낭배기 후 203시간에는 머리가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전장 $3.06{\pm}0.02mm$로 입과 항문은 열려있었고, 난황은 흡수된 상태였다. 부화 후 1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6.42{\pm}0.02mm$로 꼬리지느러미는 원기모양으로 발달하였다. 부화 후 60일째 치어는 전장 $21.8{\pm}0.24mm$로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는 주둥이 끝에서부터 등지느러미 12번째 줄기까지 9개로 증가하였고, 눈 아랫부분의 가로줄무늬 4개는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와 합쳐졌다. 항문은 37.2~39.5%로 몸의 정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roy of elegant blenny, Omobranchus elegans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elegant blenny were caught at Dolsan lsland, Yeosu-si, Jeollanamdo from June in 2012. As a result of observeation, male fish attracted female continu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roy of elegant blenny, Omobranchus elegans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elegant blenny were caught at Dolsan lsland, Yeosu-si, Jeollanamdo from June in 2012. As a result of observeation, male fish attracted female continuously and guide lead to spawning site and clean the surface of inner pant in oyster shell or barnacle shell. Female left after spawning and male protected their eggs until they had hatched out. The fertiliz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mean diameter: 1.06 mm; mean oil globule diameter: 0.24 mm) and transparent. Larvae hatched at 203 hrs 40 mins after fertilization at $25.5{\sim}28.5^{\circ}C$ (mean $27.0^{\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04~3.09mm(mean 3.06 mm, n=10) in total length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ed.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arvae stage. 1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39~6.45mm(mean 6.42 mm, n=10) in total length. 60 days after hatching juvenile was measured 21.5~22.2 mm (mean 21.8 mm, n=10) in total length with dosal fin rays XI-22; ventral fin rays I-2; anal fin rays II-23; caudal fin rays 21; pectoral fin rays 1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roy of elegant blenny, Omobranchus elegans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elegant blenny were caught at Dolsan lsland, Yeosu-si, Jeollanamdo from June in 2012. As a result of observeation, male fish attracted female continuously and guide lead to spawning site and clean the surface of inner pant in oyster shell or barnacle shell. Female left after spawning and male protected their eggs until they had hatched out. The fertiliz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mean diameter: 1.06 mm; mean oil globule diameter: 0.24 mm) and transparent. Larvae hatched at 203 hrs 40 mins after fertilization at $25.5{\sim}28.5^{\circ}C$ (mean $27.0^{\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04~3.09mm(mean 3.06 mm, n=10) in total length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ed.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arvae stage. 1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39~6.45mm(mean 6.42 mm, n=10) in total length. 60 days after hatching juvenile was measured 21.5~22.2 mm (mean 21.8 mm, n=10) in total length with dosal fin rays XI-22; ventral fin rays I-2; anal fin rays II-23; caudal fin rays 21; pectoral fin rays 13.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앞동갈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통해 초기생활사를 밝히고, 다른 유연종과 비교 동정을 위한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행동은 수컷이 속이 비어 있는 굴 또는 따개비 패각을 선택하여 내면을 입으로 깨끗이 청소해주었고, 수컷은 지속적인 구애행동으로 암컷을 산란장소로 유인하였으며, 패각 내면에 한 층으로 산란하였다.
제안 방법
35 cm)는 2012년 6월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연안의 조수웅덩이에서 뜰채로 채집한 개체를 실험실로 옮긴 후 사각유리 수조(50×30×35 cm)에 암, 수를 각각 5개체씩 넣어 순환여과식으로 사육하였다. 먹이는 배합사료 (Love larva, Japan)와 냉동 장구벌레(Freeze blood warm)를 매일 2회(아침 7시, 오후 18시)에 걸쳐 충분한 양을 공급하였다. 사육수온은 채집 시 자연수온과 같게 하기 위하여 전기히터 (Philgreen PH-300)를 이용, 24.
0‰) 범위를 유지하였다. 사육 수는 1/2씩 매일 3회 환수하였고, 난의 크기는 50개체를 무작위로 추출, 만능 투영기(Nikon JP V-12B)를 사용하여 0.01 mm까지 측정하였으며, 난 발생 과정은 입체 해부현미경(Nikon NM-40) 하에서 디지털카메라(Nikon Coolpix 995)를 사용하여 관찰 및 사진촬영을 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원형수조(100×50×80 cm)에 수용하여 지수식으로 사육하였고, 에어레이션으로 약하게 통기 시켜주었다. 자어의 먹이로는 난황흡수 후부터 31일까지 로티퍼(Brachionus rotundiformis)를 mL당 5~10개체를 공급하였으며, 31일부터 60일까지는 로티퍼와 알테미아(Artemia sp.의 nauplius)를 mL당 각각 10~20개체씩 혼합시켜 공급하였다. 자치어 형태발달 과정은 부화 직후부터 1일마다 10마리씩 마취제(MS-222, Tricaine methane sulfonate: Sandoz)를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어체의 각 부위를 입체 해부현미경과 만능 투영기를 사용하여 0.
의 nauplius)를 mL당 각각 10~20개체씩 혼합시켜 공급하였다. 자치어 형태발달 과정은 부화 직후부터 1일마다 10마리씩 마취제(MS-222, Tricaine methane sulfonate: Sandoz)를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어체의 각 부위를 입체 해부현미경과 만능 투영기를 사용하여 0.01 mm까지 측정 및 관찰하였다. 형태발달 단계는 Rusell(1976)에 따라 구분하였다.
부화 후 55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9.3~19.9 mm (19.6±0.19 mm, n=10)로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는 7개로 증가하였고, 몸 가장자리에 산재된 반점모양의 흑색소포는 더욱 넓게 침착하였으며, 체색은 머리 앞쪽이 갈색을 띠고 뒤쪽이 노란색을 띠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Fig. 6J).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 사용된 어미(전장 6.20~7.25 cm, 평균 6.60±0.35 cm)는 2012년 6월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연안의 조수웅덩이에서 뜰채로 채집한 개체를 실험실로 옮긴 후 사각유리 수조(50×30×35 cm)에 암, 수를 각각 5개체씩 넣어 순환여과식으로 사육하였다.
이론/모형
01 mm까지 측정 및 관찰하였다. 형태발달 단계는 Rusell(1976)에 따라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부화 후 1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6.39~6.45 mm (6.42±0.02 mm, n=10)로 가슴지느러미는 더욱 크게 발달하였고, 줄기 수는 12개로 증가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5.3~16.0 mm (15.6±0.23 mm, n=10)로 꼬리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1개로 증가하였고,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33개로 증가하였으며, 뒷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5개로 증가하였다.
부화 후 4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4.1~14.6 mm (14.4±0.17 mm, n=10)로 가슴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13개로 증가하였고,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2개로 증가하였으며, 뒷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1개로 증가하였다.
부화 후 26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8.80~8.90 mm (8.85±0.01 mm, n=10)로 막으로 된 지느러미는 꼬리자루 부분과 분리되었고, 꼬리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10개로 증가하였다.
02 mm, n=10)로 머리 윗부분은 작은 혹 모양으로 돌출되었고, 아랫턱에는 1쌍의 작은 극이 형성되었다. 꼬리지느러미는 원기모양으로 발달하였고, 7개의 줄기가 형성되었으며, 꼬리자루 부분의 막지느러미는 짧아졌다. 꼬리 기저부분에 침착된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소포는 점차 넓게 침착했다(Fig.
17 mm, n=10)로 가슴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13개로 증가하였고,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2개로 증가하였으며, 뒷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21개로 증가하였다. 가슴지느러미 아랫부분에는 양쪽으로 1개의 배지느러미가 형성되었고, 꼬리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13개로 증가하였으며, 이 시기의 근절 수는 32개로 증가하였다(Fig. 6G).
부화 후 5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7.1~17.5 mm (17.3±0.05 mm, n=10)로 아랫턱에 형성된 1쌍의 극은 완전히 사라졌고, 배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3개로 증가하였다.
24 mm로 치어기의 형태를 갖추었다. 성장은 부화 직후부터 18일까지 완만한 성장을 보이다가 26일부터 성장속도가 빨라졌고, 31일 이후부터는 다시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부화 후 1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6.42±0.02 mm로 꼬리지느러미는 원기모양으로 발달하였다.
부화 후 60일째 치어는 전장 21.8±0.24 mm로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는 주둥이 끝에서부터 등지느러미 12번째 줄기까지 9개로 증가하였고, 눈 아랫부분의 가로줄무늬 4개는 머리 윗부분의 가로줄무늬와 합쳐졌다.
후속연구
, 1992a), 갈기베도라치(Han and Hwang, 2003)와는 달리 피질돌기가 없고, 흑색소포 형성시기, 형태 및 근절 수의 차이에서 다른 종들과의 구별이 쉽다. 그러나 최근 청베도라치과 어류 미기록종이 출현함에 따라 국내에 서식하는 종을 동정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앞동갈베도라치와 같은 과에 속하는 어류에 대한 기존 연구의 부족한 점은 무엇인가?
청베도라치과 어류는 국내에서 초기 생활사가 밝혀진 종이 적고, 종 간의 유연종이 많으며,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분류형질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는 농어목 (Perciformes) 청베도라치과(Blenniidae) 앞동갈베도라치속(Genus Omobranchus)에 속하는 어류로 같은 과에는 노랑꼬리베도 라치(Ecsenius namiyei), 저울베도라치(Entomacrodus stellifer stellifer), 대강베도라치(Istiblennius enosimae), 골베도라치(O. punctatus),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두줄베도라치(Petroscirtes breviceps), 개베도라치(P. variabilis), 청줄베도라치(Plagiotremus rhinorhynchos) 등 총 7속 9종이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참고문헌 (23)
김용억. 1979.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의 자치어기 형태. 한국수산학회지, 12: 297-303.
Ditty, J.G., R.F. Shaw and L.A. Fuiman. 2005. Larval development of five species of blenny (Teleostei: Blenniidae) from the western central North Atlantic, with a synopsis of blennioid family characters. Jounal of Fish Biol., 66: 1261-1284.
Faria, C., F. Gil and V.C. Almada. 2005. Ontogenetic development of Lipophrys trigloides (Pisces: Blenniidae), with some notes on the spawning behaviour. J. Mar. Biol. Ass. U.K., 85: 185-188.
Faria, C., R. Borges, F. Gil, V.C. Almada and E.J. Goncalves. 2002.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Lipophrys pholis (Pisces: Blenniidae). SCI. MAR., 66: 21-26.
Fujita, S. 1957. On the egg development and prelarval stageof a damselfish, Chromis notatus. Japan. J. Ichthyol., 6: 87-90.
Han, K.H. and D.S. Hwang. 2003.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Blenniid Fish, Scartella cristata. Korean J. Ichthyol., 15: 53-60. (in Korean)
Kawaguchi, T., H. Kohno, K. Fujita and Y. Taki. 1999.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Omobranchus fasciolatoceps and O. punctatus (Blenniidae: Omobranchini) reared in an aquarium. Japan J. Ichthyol. Soc., 46: 163-170.
Kim, Y.U. and K.H. Han. 1989.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val blenniid fish, Istiblennius stellifer reared in the laboratory. Korean J. Ichthyol., 1: 9-18. (in Korean)
Kim, Y.U., J.G. Myoung, K.H. Han and C.B. Kang. 1992a. Morphology of larvae, egg development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blenniid fish, Pictiblennius yatabei. Korean J. Ichthyol., 4: 44-54. (in Korean)
Kim, Y.U., K.H. Han and C.B. Kang. 1992b.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Entomacrodus stellifer lighti. Korean J. Ichthyol., 4: 31-43. (in Korean)
Ruck, J.G. 1980. Early development of Forsterygion varium, Gilloblennius decemdigitatus, and G. tripennis (Pisces: Tripterygiidae). New Zealand J.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14: 313-326.
Rusell, F.S. 1976. The Eggs and Planktonic Stages of British Marine Fishes. Academic Press, Inc., London, 524pp.
Sunobe, T. 1998. Notes on the mating system of Omobranchus elegans and O. fasciolatoceps (Blenniidae) at Maizuru, Japan. Japan J. Ichthyol. Soc., 45: 319-321.
William, W. 1987. Larval development of the Endemic Hawaiian Blenniid, Enchelyurus brunneolus (Pisces: Blenniidae: Omobranchini). Bull. Marin Science, 41: 856-888.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