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압파쇄 적용을 위한 셰일의 취성의 개념 고찰 및 취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mparisons of Brittleness Indices of Shale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Hydraulic Fracturing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4 no.4, 2014년, pp.325 - 333  

박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박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민기복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비재래에너지자원인 셰일가스 생산을 위해서는 수압파쇄가 핵심적인 기술이다. 암석의 취성도는 셰일가스 생산을 위한 수압파쇄 효율결정의 가장 중요한 물성 중 하나이며, 셰일의 취성도가 클수록 셰일가스 생산량이 증가하는 관계를 보인다. 암석의 취성은 다양하게 정의되며 표준화된 정의가 없어 혼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취성도의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실내 실험값을 이용하여 취성도를 측정하고 각기 다르게 정의된 취성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일반적으로 일축압축강도와 인장강도의 비율로 나타내는 취성도와, 탄성계수와 포아송비를 이용한 취성도를 비교하였을 때 같은 암석에 대한 취성도 간에 매우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아송비의 경우 취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압파쇄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써 취성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취성도의 개념의 표준화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aulic fracturing is the key technology for production of shale gas, which is one of the major unconventional resources. Brittleness index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cal properties which determine the efficiency of hydraulic fracturing. It was required that the production of shale ga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정의를 적용하는지에 따라 동일한 시료에 대해서 강도특성(압축강도, 인장강도) 혹은 변형특성(탄성계수, 포아송비)과 같은 서로 다른 물성 값으로 암석의 취성도를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정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취성도들 간 상호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셰일가스가 개발 및 상업적인 생산이 지속되지 못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셰일가스는 대표적인 비재래에너지자원(unconventional resources)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매장량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수년간 대규모의 상업적인 생산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셰일가스는 사암과 같은 다공성 저류층으로 이동하여 수직정을 통해 생산되는 재래에너지자원(conventional re- sources)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아 개발 및 상업적인 생산이 지속되지 못하였으나 최근 십여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늘어난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재래에너지자원 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수평시추 및 다단계 수압파쇄와 같은 핵심기술의 진보는 공극률과 투수율이 낮은 셰일층에서의 천연가스 회수율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Zoback et al., 2010).
수압파쇄란 무엇인가? 수압파쇄는 고압의 유체를 주입하여 지하암반을 파쇄함으로써 셰일층의 낮은 공극률 및 투수율을 증진시키는 회수기법으로 수압파쇄의 효율은 암반역학적 영향인자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압파쇄 연구에서는 암반역학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수압파쇄시 균열전파방향은 현지주응력의 상대적인 크기 및 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균열의 전파 효율 및 파쇄대의 규모는 고압의 유체주입을 통해 발생하는 인장파괴와 기존 셰일층에 존재하는 절리나 층리를 따라 발생하는 전단파괴 및 전단팽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암반역학적 연구가 중요하다(Dusseault and McLennan, 2011).
본 논문에서 수행한, 셰일 시료 48개에 대하여 대표적인 취성도에 대한 상관분석의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 셰일의 취성도에 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았고, 국내 8개 지역에서 채취한 셰일 시료 48개에 대하여 대표적인 취성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암석의 물성인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와 각각의 취성도 B1, B2, B3 간의 관계를 비교해보았다. 세 취성도 모두 탄성계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포아송비와는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일축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이용해서 구한 B1과 B2의 경우에는 포아송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포아송비가 실제로 취성도를 산정하는데 영향인자로 포함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강도특성을 기반으로 구한 두 가지 취성도(B1과 B2)와 변형특성을 기반으로 한 취성도(B3) 간의 선형적 관계에 대한 상관계수는 각각 0.118과 -0.262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암석의 균열전파 생성 및 속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취성도에 산정에 영향을 주는 강도특성 및 변형특성을 보다 명확히 하여 표준화 된 수식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이는 향후 셰일가스정에서 수압파쇄의 효율에 미치는 암석역학적 특성 규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tindag, R., 2002, The evaluation of rock brittleness concept on rotary blast hole drills, The Journal of the South African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61-66. 

  2. Baron, L., Loguntwov, B., Pozin, E., 1962, Determination of the properties of rocks, Gosgortekhizdat, Moscow. 

  3. Bieniawski, Z.T., 1967, Mechanism of brittle fracture of rock-PART I, II, III, Int. J. Rock Mech. Min. Sci. 4(4), 395-430. 

  4. Bishop, A.W., 1967, Progressive fail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chanism causing it, In proc. of Geotechnical Conference, Oslo, Norway, 142-50. 

  5. Buller, D., Kwong, S., Spain, D., Miller, M., 2010, A novel approach to shale-gas evaluation using a cased-hole pulsed neutron tool, In proc. of SPWLA 51st Annual Logging Symposium, Perth, Australia, Document ID:SPWLA-2010-87257. 

  6. Cheon, D.-S., Park, C., Synn, J.-H., Jeon, S.-W., 2006, Study of brittle failure, Tunnel & Underground Space, 16(6), 437-450. 

  7. Coates, D., Parsons, R., 1966, Experimental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rock substanc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3(3), 181-89. 

  8. Dusseault, M., McLennan, J., 2011 Massive multi-stage hydraulic fracturing, ARMA(American Rock Mechanics Association) e-Newsletter. 

  9. Fairhurst, C., 2013, Fractures and fracturing: hydraulic fracturing in jointed rock, In Bunger, P., McLennan, J., Jeffrey, R. (ed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Effective and Sustainable Hydraulic Fracturing, Brisbane, Australia, 47-79. 

  10. Goodman, R.E., 1989,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1. Hajiabdolmajid, V., Kaiser, P., 2003, Brittleness of rock and stability assessment in hard rock tunneling,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18, 35-48. 

  12. Hetenyi, M., 1966, Handbook of experimental stress analysis, John Wiley, New York. 

  13. Holt, R.M., Fjaer, E., Nes, O.-M., Alassi, H.T., 2011, A shaly look at brittleness, In proc. of 45th US Rock Mechanics / Geomechanics Symposium, San Francisco, U.S.A.., Paper No:ARMA 11-366. 

  14. Hucka, V., Das, B., 1974, Brittleness determination of rocks by different method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1, 389-92. 

  15. Ingram, G.M., Urai, J.L., 1999, Top-seal leakage through faults and fractures: the role of mudrock propertie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158(1), 125-135. 

  16. Jaeger, J.C., Cook, N.G.W., 1979, Fundamentals of rock mechanics (3rd ed.), Methuen & Co Ltd, London. 

  17. Morley, A., 1944, Strength of materials, Longman, Green, London. 

  18. Mullen, M.J., Roundtree, R., Barree, B., 2007, A composite determination of mechanical rock properties for stimulation design (What to do when you don't have a sonic log), In proc. of 2007 SPE Rocky Mountain Oil & Gas Technology Symposium, Denver, U.S.A., Document ID:SPE-108139-MS. 

  19. Park, H.-I., Park, Y.-J., You, K.-H., Noh, B.-K., Seo, Y.-H., Park, C., 2009, A study on the stability of deep tunnels considering brittle failure characteristic, Tunnel & Underground Space, 19(4), 304-317. 

  20. Park, J.-A., Park, B., Min, K.-B., 2013, Comparison of the definitions of shale brittleness for applying to hydraulic fracturing, In proc.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2013, chuncheon, Korea, 313. 

  21. Rickman, R., Mullen, M., Petre, E., Grieser, B., Kundert, D., 2008, A practical use of shale petrophysics for stimulation design optimization: all shale plays are not clones of the Barnett shale, In proc. of 2008 SPE Annual Technical Conference and Exhibition, Denver, U.S.A., Document ID:SPE-115258-MS. 

  22.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4, Annual energy outlook, U.S.A. 

  23. Yamaguchi, U., Nishimatsu, Y., 1992,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J.S., Yoon, Trans.), Goomiseogwan, Seoul, Original work published 1967. 

  24. Yang, Y., Sone, H., Hows, A., Zoback, M.D., 2013, Comparison of brittleness indices in organic-rich shale formations, In proc. of 47th US Rock Mechanics / Geomechanics Symposium, San Francisco, U.S.A., Paper No:ARMA 13-403. 

  25. Zoback, M.D., Kitasei, S., Copithorne, B., 2010, Addressing the environmental risks from shale gas development, Worldwatch Institute Briefing Paper 1, Natural Gas and Sustainable Energy Initiativ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