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인식수준과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8, 2014년, pp.277 - 286  

안영창 (한림성심대학교 의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에 대한 인식수준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X^2$검정, 독립표본 T검정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수준과 만족도 관계에서는 국민건강보험의 보장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집단, 자신이 내고 있는 국민건강보험료를 알고 있는 집단, 평소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인 집단, 국민건강보험료 부담이 공평하다고 느끼는 집단이 국민건강보험 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물가인상과 비교한 보험료 인상 수준이 높을수록, 국민건강보험료 부담이 가계에 부담이 더하다고 느낄수록 국민건강보험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세부적인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이와 국민건강보험제도 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건강보험제도를 다수의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insurance perception level and health insurance satisfa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subscrib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WIN (ver.14.0). Research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인식수준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세부적인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이와 국민건강보험제도 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보험제도를 다수의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정부가 건강보험료 인상이나 세금부담의 증가와 같은 정책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극히 어렵기 때문에 건강보험의 불만족 요소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자발적인 태도변화가 선행되어야만 가능하다[17]. 이에 본 연구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전반적 만족도 수준을 점검하고, 현재 건강보험의 인식 수준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전반적 만족도 수준을 점검하고, 현재 건강보험의 인식 수준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문제점 중 가장 취약한 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건강보험의 재정적 불안정성, 제한적인 급여로 인한 과도한 비급여 항목의 상존, 높은 본인부담률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3-5]. 이 중에서 가장 취약한 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미흡한 급여수준이다[6-8].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2009년 65.
국민건강보험이란 무엇인가? 국민건강보험(이하 건강보험)은 질병, 부상, 분만 등으로 짧은 기간에 고액의 진료비를 지불하게 되면서 가계가 어려움에 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가나 사회가 제도적으로 제공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이다[1][2].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1977년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직장의료보험이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어떠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가? 그 이후 지속적으로 적용대상을 확대하여 1988년 농어촌 지역주민, 1989년 도시 자영업자를 적용대상에 포함시켰고, 2000년 직장의료보험과 지역의료보험 조직이 통합되면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 건강보험체제로 재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건강보험의 재정적 불안정성, 제한적인 급여로 인한 과도한 비급여 항목의 상존, 높은 본인부담률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3-5]. 이 중에서 가장 취약한 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미흡한 급여수준이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문옥륜, 건강보장론, 신광출판사, 2009. 

  2. 김병환, 건강보험의 이론과 실제, 계축문화사, 2012. 

  3. 홍백의, 배지영, 박미희, 강준모,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직장?지역 가입자간 보험료 부담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경제, 제19집, 제1호, pp.199-231, 2012. 

  4. 신자은, "건강보험제도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와 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pp.21-45, 2009. 

  5. 김효진, 이재희, "국내 중고령층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83-693, 2012. 

  6. 허순임, "건강보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행정학회 동계 학술 발표 논문집, pp.1-13, 2011. 

  7. 김진현, "건강보장의 과제: 보장성 강화", 건강보험포럼, 제6권, 제2호, pp.37-59, 2007. 

  8. 이용철, 임복희, 박영희,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들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요건 및 가입여부에 따른 건강행태?의료이용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190-204, 2010. 

  9. 국민건강보험 2013년 건강보험 주요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3). 

  10. 이창우,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제3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2010. 

  11. 이용재, "국민보건의료에 대한 민간의료보험의 영향고찰: 의료서비스 이용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00-208, 2012. 

  12. 정영호, 한국의료패널로 본 민간의료보험 가입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3. 서수라, 최인덕, 문성웅, 김진수, 황라일, 2008년 건강보험제도 국민만족도 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14. R. J. Blendon, C. Schoen, C. M. DosRoches, R Osborn, K. L. Scoles, and K. Zapert, "Inequities in health care: a five-country survery," Health Affairs, Vol.21, No.3, pp.182-191, 2002. 

  15. E. van der Schee, B. Braun, M. Calnan, M. Schnee, and P. P. Groenewegen, "Public trust in health care: a comparison of Germany, the Netherlands, and England and Wales," Health Policy, Vol.81, pp.56-57, 2007. 

  16. 허순임, "건강보험 관련 복지인식", 한국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32-42, 2008. 

  17. 박종연, 서남규, 이애경, "국민의 건강보험 인식과 만족에 대한 조사방법의 개발", 보건과 사회과학, 제22집, pp.97-126, 2007. 

  18.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497&bbsINDX_001&clas_divC&rootKey1.48.0 

  19. http://www.nhis.or.kr/portal/site/main/MENU_WBDAE0107?purl/static/html/wbda/e/wbdae0107.html 

  20. 김진수, 김태성, 홍백의, 이준영, 이수연, 정창률, 오수미, 건강보험 부과체계 단순화 및 일원화 방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21. 강희정, 박은철, 이규식, 정우진, 김한중, "건강보험료 부담의 형평성 변화",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1호, pp.107-116, 2005. 

  22. 정채림, 이태진, 문유정, "한국복지패널 종단자료로 살펴본 건강보험 체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p.37-62, 2014. 

  23. 조중근, "보건의료 재원조달의 형평성",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pp.49-66, 2012. 

  24. 이태진, 이혜제, 김윤희, "한국의료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과부담 의료비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pp.97-112, 2012. 

  25. 조중근, "건강보험의 지속가능성과 최근의 보험료 부과체계 논의", 장안논총, 제33권, 제1호, pp.405-425, 2012. 

  26. 김진구, "국민건강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21호, pp.39-6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