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3, 2014년, pp.588 - 596  

이정민 (감정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TEAM class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and discussing solutions. For this research, 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City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write their difficulti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내 초등교사 25명을 대상으로 일화 기록법 형식의 개방형 설문지에 STEAM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STEAM 수업 준비와 실시 과정에서 느낀 많은 갈등, 문제점, 어려움 등을 서술하게 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그 후 STEAM 수업 전문가인 현장교사 1인과 면담을 통해 이들 어려움들을 재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알아보았다. 면담 내용은 전체를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내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할 때 겪는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STEAM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내 초등교사 25명을 대상으로 일화 기록법 형식의 개방형 설문지에 STEAM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STEAM 수업 준비와 실시 과정에서 느낀 많은 갈등, 문제점, 어려움 등을 서술하게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내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할 때 겪는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STEAM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교사의 융합인재교육 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 25명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 수업에서 느낀 어려움을 자유롭게 쓰도록 하는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어려움을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에 의하여 유형화 하였다.
  • 그 다음, 관련 범주들을 모아 공통되는 의미를 찾아 더 큰 범주를 구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동료 연구자 2명과 과학교육 전문가 1명과의 세미나를 통해 3차례 이상 검토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 수업에서 ‘통합 주제 선정’ 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창의성을 중시하고, 전문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중요시하는 STEAM 수업에서 ‘통합 주제 선정’ 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원인을 살펴보면, 통합 주제 아래에 여러 과목의 학습 주제를 연결해야 하는데, 지도시기가 너무 차이가 크거나, 학년이 다른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주제를 정하고 통합할 차시를 정하는데 해당 차시를 빼내어 주제로 묶으면 전체 단원의 흐름에 영향을 줄 때가 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지식은 무엇인가? 현재와 미래 생활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은 과학기술만을 가지고 해결할 수 없으며, 다양한 지식을 동원하여 의사 결정을 해야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지식은 대부분 단일 교과의 지식이라기보다는 특정 교과로 구분하기 어려운 통합된 지식인 것이다. 비록 오늘날의 지식기반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다양한 통합교육 연구가 진행되어오기는 했지만, 현실적으로 기후변화, 에너지, 식량문제, 질병등 인류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분야를 넘나들며,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창의적 융합 역량이 필요하다(Kim, 2011).
STEAM 교수 전략을 통해 가지고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창의적인 설계를 하고, 성공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우리나라 교사들의 경우에도 STEAM과 같은 융합 교육이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 현장에 필요하며, 초등교육에서부터 중등교육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n & Han, 2011). 그러나 STEAM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교육적 요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현장 교사와 학생에게는 STEAM 교육에 대한 개념이 재대로 자리 잡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세부적인 STEAM 교수 전략을 가지고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창의적인 설계를 하고, 성공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ybee, R.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2. DOEQG (Department of Education, Queensland Government) (2011). Towards a 10-year plan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and skills in Queensland. http://education.qld.gov.au/projects/stemplan/docs/stem-discussion-paper.pdf. Accessed Date: Jan 20 2012. 

  3. Gil, Y. S. (2005). Problems faced by the secondary teachers and their reasons.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7(2), 283-309. 

  4. Guem, Y. C. & Bae, S. A. (2012).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tion Association, 37(2), 57-75. 

  5. Hong, J. K. (2001). Study on the effective relationship of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1), 217-238. 

  6. Hudson, P. & Chandra, V. (2010). Fusing curricula: Science, technology and ICT.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9-22. Hualien, Taiwan. 

  7. Kang, D. H. (1996). Assessment of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Kyungsang National University). 

  8. Kang, G. W. (2003). Teaching conflicts and managing strategies: The teaching dilemmas of four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6(2), 185-209. 

  9. Kim, J. S. (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1(2), 124-137. 

  10. Kim. D. H., Go, D. G., Han, M. J. & Hong, S. H. (2014).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applying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interest level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1), 43-54. 

  11. Korea Institute for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4-Analyses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result. KICE Research Report RRE 2005-1-5. 

  12. Kwak, Y. S. & Kim. J. H.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2), 144-154. 

  13. Lee, I. S. (2008). Big Convergence of Knowledge. Seoul: Gozwin. 

  14. Lee, J. W., Park, H. J. & Kim, J. B.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15. Matthews, C. (2007). Science,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Status and issue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for Congress. 

  16.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Commentary primary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2011 Business report; Window to open the creative talent and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uture of republic of Korea. 

  18.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19. Sanders, M., Kwon, H., Park, K. & Lee, H. (2011). Integrativ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RI Journal, 59(3), 729-762. 

  20. Seo, H. Y. (2004). Direction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cientific creativit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4(1), 65-89. 

  21. Shin, Y. J. & Han, S. K.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22. Yakman, G. (2010). What is steam? http://www.steamedu.com/WhatisSTEAM.Aggie.pdf. Acceessed Date: Oct 20. 2011. 

  23. Yang, J. M., Lee, H. J., Oh, C. H., Jeong, J, S., Kwon, Y. J. & Park, G. T. (2007). An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students' preference for groups in science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