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AM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향 -STEAM 교육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견해를 바탕으로-
Limits of STEAM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Alternative : Based on the Viewpoints of STEAM Expert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5, 2019년, pp.573 - 584  

손미현 (서울대학교) ,  정대홍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부터 시도된 STEAM 교육은 여전히 자생적 확산은 어려운 상태이다. STEAM 교육의 확산이 자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데는 STEAM 교육의 정체성 부족과 이로 인한 교사들의 혼란, 정책의 변화로 인한 현실과의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에 관련된 연구에서 벗어나 주로 전문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STEAM 교육에 대한 본질을 교육 실행의 주체인 교사의 눈에서 바라보고 한계와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 경험과 현장 적용 경험이 모두 풍부한 8인의 초중고 교사로부터 STEAM 교육의 목적, 정의, 준거틀, 변화 등에 대한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형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교육의 목적은 정책적인 목적보다는 교사 개인의 경험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는 STEAM 교사의 실행 당위성을 감소시키므로, STEAM 교육의 목적을 교사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평가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STEAM 교육의 정의에 사용된 '과학기술 기반' 과 '분야' 대한 단어의 수준 정립은 STEAM 교육의 목표가 명확해지고 꾸준하게 실행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과학기술 기반' 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교육과정을 넘어 융합 교육을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야' 또는 '요소' 라는 용어는 정해진 기준 대신 학생들이 하는 활동의 맥락과 수준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변할 수 있다. 교수학습 준거틀은 STEAM 교육이 일관성을 유지시키는 가이드라인일 수 있으나 접근을 어렵게 하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으므로 좀 더 넓은 의미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상황제시의 경우 학생의 흥미와 수업의 안내를 강조하고, 실생활 연계의 의미를 학생 수준에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창의적 설계는 산출물을 강조하는데서 벗어나 그 과정에 방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감성적 체험은 현장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의미와 정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STEAM 교육이 교육과정에 포함되면서 확대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초등에 머물고 있어 중등 교육과정의 편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시도별 연수의 질 관리, 꾸준한 예산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STEAM 교육에 대한 확신이 높아지고 실행이 활성화될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 지속되는 수많은 STEAM 정책들의 피드백 과정이 보완되어야 수요자 중심의 STEAM 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essence of STEAM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teacher who is the subject of education execution. We carry out questionnaires and telephone interviews for the purpose, definition, change, etc. of STEAM education from eight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wh...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STEAM 교육의 준거틀은 STEAM 교육의 독창성과 체계성을 구축하는 받침이 될 수 있으나 STEAM 교육의 문턱을 높일 수 있는 양날의 검과 같다. STEAM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구체화시키면서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며 협동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준거틀에 갇혀 이러한 의미가 부각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를 구현할 수 있도록 준거틀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강조하고, 나머지의 기준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STEAM교육의 자생적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2011년부터 시도된 STEAM 교육은 여전히 자생적 확산은 어려운 상태이다. STEAM 교육의 확산이 자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데는 STEAM 교육의 정체성 부족과 이로 인한 교사들의 혼란, 정책의 변화로 인한 현실과의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에 관련된 연구에서 벗어나 주로 전문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STEAM 교육에 대한 본질을 교육 실행의 주체인 교사의 눈에서 바라보고 한계와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유형적 분석법이란 무엇인가? 수집된 자료는 전반적으로 유형적 분석법(Lecompte & Preissle, 1993)을 활용하였다. 유형적 분석법이란 연구 중인 전체 현상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기 위해 어떤 규준에 근거하여 관찰된 모든 것을 집단 또는 범주로 구분하는 것으로, 각 문항에 해당하는 교사 전문가의 답안을 1차로 분류하였으며 각 답안을 대표할 수 있는 몇 가지 핵심 표현을 기록하였다. 각 문항별로 교사 전문가의 핵심 표현을 모은 후 공통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핵심 개념을 찾아 기록하였으며, 다시 데이터를 확인하며 데이터 속에 이러한 핵심 개념이 내포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hn, J., & Kwon, N. (2012). Investigation on the Feasibility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STEA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25(1), 83-89. 

  2. Baek, Y., Park, H., Kim, Y., Noh, S., Park, J., Lee, J., Jeong, J., Choi, Y. & Han, H.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3. Baek, Y., Park, H. J., Kim, Y. M., Noh, S. G., Park, J. Y., Lee, J. Y., ... & Han, H. (2012). A Study on the Action Plans for STEAM Education. Seoul, Korea: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2-12. 

  4. Bryan, L. A. (2003). Nestedness of beliefs: Examining a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belief system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9), 835-868. 

  5. Cho, E., & Kang, M. (2018). Teacher's Perception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y 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by Comparison to STEA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7(1), 83-111. 

  6. Cho, H., Kim, H., & Hur, J. (2012). Understanding of STEAM education through field application case. KEDI, Issue paper 2. 

  7. Choi, S. (2018). Exploring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Enactments in STEAM Less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8. Guillemin, M., & Heggen, K. (2009). Rapport and respect: Negotiating ethical relations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Medicine. Health Care and Philosophy, 12(3), 291-299. 

  9. Han, H., & Lee, H. (2012).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STEAM Educ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573-603. 

  10. Hong, S. (2008). Science with a human face: Science Culture in the Age of Converg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Ju, E., & Hong, J. (2014). Analysis of Agreement Between STEAM Factors Educational Program Developers Intended and Students Recognized.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301-321. 

  12. Kang, N., Lee, N., Rho, M., & Yoo, J. (2018). Meta Analysis of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Program Effect on Student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6), 875-883. 

  13. Kang, D., Lee, J., & Lee, J. (2014).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Emotional Touch in A-STEAM Programs,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52, 1-32. 

  14. Kim, Y., & Kim, J. (2017). Analysis of Status about Theses and Articles Related to Domestic STEAM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2(1), 140-159. 

  15. Kim, J., Kim, J., & Kim, J. (2015). Analysis of KOFAC STEAM education program.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21(2), 25-44. 

  16. Kim, J., & Won, H. (2016). The effect of creativity in STEAM education by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69-195. 

  17. Kim, Y., Kim, Y., & Kim, K. (2016).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he Advanced STEAM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 51-70. 

  18.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8). Guide book for Teachers: Joyful Class Filled with STEAM Education. MOE. 

  19. LeCompte, M. D., & Preissle, J. (1993).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2. 

  20. Lee, S., & Hwang, S. (2012).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974-990. 

  21. Lee, J., Kim, H., & Kim, J.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22. Lee, J.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lass Expertise.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Lee, J., Lee, T., & Ha, M. (2013). Exploring the Evolution Patterns of Trading Zones Appearing in the Convergence of Teachers' Ideas: The Case Study of a Learning Community of Teaching Volunteers 'STEAM Teacher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1055-1086. 

  24. Lee, J., & Shin, Y.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88-596. 

  25. Lee, K., & Kim, K. (2012). Exploring the Meanings and Practicability of Korea STEAM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3), 55-81. 

  26. Lee, M., & Kwon, S. (2017).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f STEAM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69, 121-161. 

  27. Lim, D., Kim, S., Shin, Y., Son, M., Oh, W., & Km J. (2015). Guide book for Teachers: Visible steam Education. KOFAC 

  28. Lim, S., & Jo, M. (2016).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Policies related to ICT for Futu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2), 121-130. 

  29. Marsh, C. J., & Willis, G. (2003).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NJ: Merrill Prentice Hall. 

  30. McMillan, J. H. (200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6th). 

  31.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10). The 2011 policy report of MEST. Seoul, Korea. 

  33. Ministry of Education (2017). Long-term Plan of STEAM Education (2018-2022). (http://steam.kofac.re.kr). 

  34. Moon, D. (2015). Teacher’s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on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8(1), 35-52. 

  35. Noh, H. & Paik, S. H. (2014). STEAM experience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in secondary educ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375-402. 

  36. Oh, S., & Park, J. (2016). The Effects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im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2(1),1-30. 

  37. Park, H., Byun, S., Sim, J., Baek, W., & Jeong, J. (2016).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4), 669-679. 

  38. Park, H., Kim, Y., Noh, S., Lee, J., Jeong, J., Choi, Y., Han, H., & Baek, Y. (2012). Components of 4C-STEAM Education and a Checklist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533-557. 

  39. Park, H., Sim, J., Kwon, H., & Kim, Y. (2018). A Survey on the Perception Change of Korean Teachers’ STEAM Education: focusing on concern stages, use level,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CB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7(4), 549-562 

  40. Rho, M., & Yoo, J. (2016). A meta-analysis on STEAM programs and science affective domain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9(3), 597-617. 

  41. Ryu, S., Kwak, Y., & Yang, S. (2018). Theoretical Exploration of a Process-centered Assessment Model for STEAM Competency Based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2), 132-147. 

  42. Shin, J. (2013). Survey of Primary &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STEAM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2), 29-53. 

  43. Shin, Y., & Han, S.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ioemat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44. Sim, J., Park, H., & Jeong, J. (2018).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STEAM Education Implementation Using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CB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7(3), 325-340. 

  45. Son, M., & Jeong, D. (201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Integrated Case Analysi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1), 889-916. 

  46. Son, M., Jeong, D., & Choi, W. (2016). Case Study on Teachers’ Difficulty and its Resolution in Developing STEAM Programs Based on Nano-Scienc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10(1), 103-116. 

  47. Son, Y., Jung, S., Kwon, S., Kim, H., & Kim, D. (2012). Analysis of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STEAM Convergent Education.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3(1). 255-284. 

  48. Suh, S. (2011). Exploration of digital textbook adop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2), 265-275. 

  49. Yoo, J., Hwang, S,. & Hahn, I. (2016).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on STEAM Education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0(1), 50-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