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Digital Image Archiving Methodology on the Port of Busan: A Case Study Using an Open-Source Archiving Software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4 no.3, 2014년, pp.127 - 151  

송정숙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허정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  이예린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부산항은 부산의 대표적인 로컬리티 공간이므로 부산항과 인근지역의 경관에 관한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을 중심으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재현방법론을 확산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 즉 사진기록의 특성을 문자 위주의 텍스트 기록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미지 기록의 대중 친화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항에 관한 사진, 엽서 등의 이미지 기록을 수집하여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진의 전시에 적합한 오메카(Omeka)를 이용하여 사진 아카이브를 실험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보면, 먼저 아카이브 구축 목적에 따른 개발 원칙을 세우고, 기록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 관련 기록 소장기관과 개인소장가 등의 저작권 동의를 얻어서 원본 또는 파일을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기록은 더블린코어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컬렉션을 구성하고 기록을 정리하였다. 부산항의 공간적 성격을 교통공간, 역사공간, 산업공간, 생활공간으로 구분하고, 11개 전시주제를 구상하였다. 전시의 보기로 교통공간의 부관연락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hare a methodology for locality reproduction by concretely explaining the theoretical model, procedure, and practice of constructing the Port of Busan Image Digital Archive, based on the photographic and postcard images of the Port of Busan, the representative place of Busan. Am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 분야의 공개 소프트웨어는 무엇이 있는가? 기록관리 분야의 공개 소프트웨어인 에이투엠(AtoM), 오메카(Omeka), 아카이브매티카 (Archivematica)의 세 종류 가운데 오메카는 기록의 전시와 온라인 출판 등 서비스 기능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한다.
부산항은 해방 후 위상이 한층 강화 된 이유는 무엇인가? 부산항은 해방 후 그 위상이 한층 강화되었다. 남북 분단과 중국 공산화, 한국전쟁으로 인한 서해안 교역권의 중심지인 인천항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하락한 반면 태평양 넘어 미국 경제와 연결되면서 부산항의 역할이 보다 증대되었기 때문이었다(배석만, 2014, p. 1).
부산항은 어떤 공간인가? 부산항은 개항 후 현재까지 수많은 사람과 물자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이동의 공간으로서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으므로 부산항은 부산의 로컬리티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공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항을 대상으로 장소 기억을 탐구하고, 확산 모델을 세우기 위해 실험적으로 로컬리티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Kwon, Soon-Myung & Lee, Seung-Hwi (2009). A study on documentation strategy for archiving locality.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41-84.) 

  2. 권용선 (2009). 세계와 역사의 몽타주,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 서울: 그린비출판사.(Kwon, Yongseon (2009). The montage of the world and history: Benjamin's Arcade Project. Seoul: Green Be.) 

  3. 김동철 (2011). 근대 부산의 교통발달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53-271.(Kim, Dong-Chul (2011). Development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f Busan in the modern age and its records: Focused on trains and tr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53-271.) 

  4. 김재승 편저 (2005).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부산항 130년. 부산: 부산광역시 중구청.(Kim, Jae-seung comp (2005). Images of Busan & Port of Busan: 130 Years. Jung-Gu Office Busan Metropolitan City.) 

  5. 김지현 (2010). 교수들의 셀프 아카이빙 저작물의 종류와 저장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53-74.(Kim, Ji-Hyun (2010). A Study on types of content and venues for faculty self-archi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53-74.) 

  6. 김춘선, 김성귀, 이재완, 이성우, 박승기, 이한석, 임영태, 류재영 (2013). 항만과 도시. 서울: 블루앤노트.(Kim, Chunseon, Kim, Seonggwi, Lee, Jaewan, Lee, Seongu, Park, Seunggi, Lee, Hanseok, Lim, Yeongtae, & Ryu, Jaeyeong (2013). Port & City. Seoul: Blue & Note.) 

  7.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Kim, Hwa-Kyoung (2012). Acquisition strategy for constructing local archives: The case of Busan Sanbokdoro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43-161.) 

  8. 마뉴엘 카스텔; 김묵한, 박행웅, 오은주 옮김 (2003).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파주: 한울아카데미.(Castells, Manuel (2003). Rise of the network society. Kim Mookhan et al. trans. Paju: Hanul.) 

  9. 배석만 (2014). 한국전쟁 전후 부산항 연구의 성과와 과제. 港都釜山, 30, 1-35.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Bae, Suk Man (2014).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studies on the Port of Busa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Journal of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Busan, 30, 1-35.) 

  10. 부산광역시 (2013).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부산: 부산광역시.(Busan Metropolitan City (2013). Collection of Busan photographs housed i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11. 부산시립박물관 (2007). 사진 엽서, 부산의 근대를 이야기하다. 부산: 부산시립박물관 학예연구실.(Busan Museum (2007). Photographs and postcards tell us the Modern Times of Busan. Busan: Curating Lab of Busan Museum.) 

  12. 부산시사편찬위원회 편 (1974). 釜山市誌. 부산: 부산시사편찬위원회.(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Busan ed. (1974). The geography of Busan.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Busan.) 

  13. 송정숙 (2011).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73-298.(Song, Jung-Sook (2011). As an open port, Busan port and related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73-298.) 

  14. 송정숙 (2012).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과 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43-364.(Song, Jung-Sook (2012).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343-364.) 

  15. 손택, 수전; 이재원 옮김 (2005). 사진에 관하여. 서울: 도서출판 이후.(Sontag, Susan (2005). On photography. (Lee Jaewon trans). Seoul: Ewhoo.) 

  16. 양흥숙 (2012). 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 한국민족문화, 44, 211-249.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Yang, Heung-Sook (2012). The people of Choryang after the opening of ports 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space. Journal of Koreanology, 44, 211-249.) 

  17.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구축가능성 연구: ICA AtoM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9, 193-228.(Lee, Bo-Ram, Hwang, Jin-Hyun, Park, Min-Yung, Kim, Hyung-Hee, Choi, Dong-Woon, Choi, Yun-Jin, & Yim, Jin-Hee (2014). A study on usability of open source software for developing records system: A case of ICA AtoM.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193-228.) 

  18. 이인미 (2008). 사진을 통해 재현된 부산 이미지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Lee, Inmi (2008). A study on Busan's images represented by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이종덕, 신규용, 유진철 (2013). 교육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리포지토리 설계 및 구축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6), 95-102.(Lee, Jongdeog, Shin, Kyuyong, & Yoo, Jincheol (2013).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pository for archiving educational resourc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6), 95-102.) 

  20. 일제강점기, 부산의 근대 건물과 거리 (2009. 9. 2). 부산일보. 검색일자: 2011. 4. 23.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90000&newsId20090902000145(Japanese Colonial Era, Modern buildings and streets of Busan (2009. September 2). Busan-Ilbo. Retrieved April 23, 2011, from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90000&newsId20090902000145) 

  21. 정윤희 (2013). 흐름의 공간과 비장소로서의 도시 형상과 세계화: 안드레아스 구르스키의 사진 고찰. 뷔히너와 현대문학, 41, 247-270.(Joung, Yoon Hee (2013). Zusammenfassung: Globalisierung und Urbane Phanomene als "Raum der Strome" und "Nicht-Orte"-In Bezug auf Andreas Gurskys Fotografien. Buechner und Moderne Literatur, 41, 247-270.) 

  22. 조민지 (2014).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기록학연구, 39, 73-100.(Jo, Min-ji (2014). Archival exhibitions and photographs in the age of the imag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73-100.) 

  23. 조성태, 강동진 (2009). 부산항 해안선의 변천과정 분석: 근대기 이후 시계열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4), 249-266.(Cho, Sung-Tae & Kang Dong-Jin (2009). Analysis of change process for coastline of Busan Port: With focus on time-series approach after modern er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0(4), 249-266.) 

  24.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2010).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개정판. 서울: 아세아문화사.(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ed. (2010).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revised edition. Seoul: Asea Munhwasa.) 

  25. 현문수, 김동철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 195-231.(Hyun, Moonsoo & Kim, Dong-Chul (2013).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local historical character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6, 195-231.) 

  26. 홍연진 (2007). 부관연락선과 부산부 일본인. 최영호 외. 부관연락선과 부산. 서울: 논형.(Hong, Yeon-Jin (2007). Busan-Shimonoseki cross-channel liner and the Japanese people in Busan. in Choi Yung-Ho et al. Busan-Shimonoseki Cross-channel Liner and Busan. Seoul: Non-Hyung.) 

  27. 인간과 기억아카이브 omeka. http://omeka.hmarchives.com/ 

  28. 'Bridges NYC Postcards' Archive. http://bridgesnyc.com/postcards/ 

  29. 'Greenwich Village History' Archive. http://gvh.aphdigital.org/ 

  30. 'Mary Washington Images Throughout the Years' Archive. http://projects.umwhistory.org/imag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