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병원을 이용하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 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Diabetic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HbA1c in Diabetic Patients using public hospital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3, 2014년, pp.243 - 252  

이주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abetic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HbA1c of patients with diabetic mellitus in public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287 adult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iabetes in two public hospitals in Seoul. Collected data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병원을 이용하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 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규명하여 공공병원의 당뇨병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당뇨 지식은 20점 만점에 평균 13.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 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추후 공공병원의 당뇨병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공공병원 두 곳에서 당뇨병으로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 중인 20세 이상의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287명이었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 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두 곳의 공공병원 외래에 내원하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 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자가간호행위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예측되는 저소득층 환자와 독거 주민이 주로 방문하는 공공병원 중, 2009년 내과외래 방문환자의 30.7%가 의료급여 대상자로 타 의료기관의 2∼11% 수준(Kim, 2013)에 비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S의료원을 세팅으로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공공병원 이용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당뇨교육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 자료에 의하면 2030년도 까지 전 세계 당뇨병환자는 몇 명 까지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는가? 경제수준의 향상, 인구의 노령화, 생활습관의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 인구의 증가 등은 질병의 만성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당뇨병 환자의 유병률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세계보건기구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현재 3억 6천만명 정도에서 2030년도까지 5억 5천만명 정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2), 국내에서도 현재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당뇨병 유병률 10.1%)이며, 성인 10명 중 2명이 당뇨병 전단계(공복혈당장애 유병률 19.
비만 인구의 증가의 배경은? 경제수준의 향상, 인구의 노령화, 생활습관의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 인구의 증가 등은 질병의 만성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당뇨병 환자의 유병률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세계보건기구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현재 3억 6천만명 정도에서 2030년도까지 5억 5천만명 정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2), 국내에서도 현재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당뇨병 유병률 10.
Park (1985)이 개발한 당뇨병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의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Park (1985)이 개발한 당뇨병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로 Park (2010)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문항구성은 당뇨병의 원인(3문항), 합병증(4문항), 식이요법(3문항), 인슐린치료 및 약물복용(3문항), 혈당변화에 대한 일반적 지식(7문항)을 묻는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한 평가는 정답에 1점, 오답에 0점을 주어 가능한 최고점수는 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Khawaldeh, O. A., Al-Hassan, M. A., & Froelicher, E. S. (2012). Self-efficacy, self-management, and glycemic control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6, 10-16. 

  2. Al-Maskari, F., El-Sadig, M., Al-Kaabi, J. M., Afandi, B., Nagelkerke, N., & Yeatts, K. B.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diabetic patient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PLoS ONE, 8, e52857.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2). Third-party reimbursement for diabetes care,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lies. Diabetes Care, 35, S99-S100.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3).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36, S67-S74. 

  5. Chan, Y. M., & Molassiotis, A.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knowledge and compliance among Chinese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litus in Hong Ko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0, 431-438. 

  6. Choi, G. A., Jang, S. M., & Nam, H. W. (2008).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Journal of Korean Diabetes, 32, 280-289. 

  7. Choi, K. I., & Jung, D. Y.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diabetes, barrier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of diabetic patients. Nursing Science, 22(2), 13-26.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Fitzgerald, J. T., Funnell, M. M., Hess, G. E., Barr P. A., Anderson, R. M., Hiss, R. G., et al. (199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diabetes knowledge test. Diabetes Care, 21, 706-710. 

  10. Funnell, M. M., Brown, T. L., Childs, B. P., Haas, L. B., Hosey, G. M., Jensen, B., et al. (2010).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33, S89-S96. 

  11. Kang, K. J., Yu, S. J., Seo, H. M., Yu, M., Park, M. S., & Jang, H. C. (2012). Factors influencing self management behavio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112-121. 

  12. Kim, C. J. (2013, October 1).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 representing decreasing use of medical aid-eligible patients. Yonhapnews. Retrieved October 1, 2013,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9/30/0200000000AKR2 

  13. Kim, H. S. (2004). A survey of knowledge of diabet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67-73. 

  14. Kim, S. H., & Kang, H. S.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care activity and HbA1c in clients with type-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178-185. 

  15. Kim, Y. O. (1997). A hypothesized model for self-car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Based on stress-coping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Korea. Retrieved October 1, 2013, from http://www.kostat.go.kr/ 

  17. Lee, J. K. (2009). Self-management and its predictors for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447-457. 

  18. Lee, S. H. (2003).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to metabolic level in patients with NIDD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 171-180. 

  19. Lee, Y. R., Kang, M. A., & Kim, P. 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 12-19. 

  2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December 9, 2012, from http://www.mw.go.kr/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2013, August). 2013. Minimum cost of living. Retrieved August 14, 2013, from http://www.mw.go.kr/front_new/sch/index.jsp 

  22. Munir, F., Jones, D., Leka, S., & Griffiths, A. (2005). Work limitations and employer adjustments for employees with chronic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8, 111-117. 

  23. Park, B. S., Jin, G. N., Choi, Y. C., Chung, J. H., Kim, K. H., Lee, M. Y., et al. (2005).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9, 254-261. 

  24. Park, J. Y. (2010). A study on self management, HbA1c,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type II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 106-113. 

  25. Park, O. J. (1985).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Song, M. S., & Cho, Y. I. (2006). A study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response and self-care by gender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 145-152. 

  27. Tahmasebi, R., Noroozi, A., & Tavafian, S. S. (2013). Determinants of self-management among diabetic patients: A path analysis.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1-11. http://dx.doi.org/10.1177/1010539513475652 

  28. Tang, T. S., Brown, M. B., Funnell, M. M., & Anderson, R. M. (2008).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behaviors among African 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ator, 34, 266-276. 

  29. WHO. (2012). Data and statistics (prevalence of diabetes). Retrieved November 14, 2012, from http://www.who.int/ 

  30. Xu, Y., Pan, W., & Liu, H. (2010). Self-management practices of Chinese 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2, 228-234. 

  31. Xu, Y., Toobert, D., Savage, C., Pan, W., & Whitmer, K. (2008). Factors influencing diabetes self-management in Chinese people with type 2 diabet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1, 613-6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