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non-randomized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undamentals of Nursing. Methods: A search of non-randomized studies assessing intervention effects was conducted among all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에서 2013년까지 3년 동안 기본간호학회지에서 출판한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MINORS 기준에 따라 질 평가하여 비무작위 실험연구의 방법론적인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동안 기본간호학회지에서 출판한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MINORS 기준에 따라 질 평가하여 비무작위 실험연구의 연구 편향을 줄이고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설계 및 보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 2003). 본 논의에서는 최근 3년 동안 기본 간호학회지에 출판된 비무작위 실험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결과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위주로 서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방법론적 질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기본간호학회지에 출판된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평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기본간호학회지에 출판된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MINORS의 기준에 따라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기본간호학회지의 실험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항목을 살펴보면 연구목적에 적절한 결과인지, 연구결과가 편향 없이 평가되었는지, 추적기간은 적절하였는지, 탈락이 5% 미만인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집이 동시적이었는지에 대한 항목의 개선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서 2013년에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질 평가 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근거로 하여 비무작위 실험연구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도구에 있어서 대조군이 있는 연구와 없는 연구의 평가문항 수가 달라 전체를 비교하는 데는 결과를 해석하는데도 제한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논문의 질 평가를 통해 간호 분야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 , 2012). 또한 연구논문의 질 평가는 추후 질적으로 우수한 중재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방향 안내, 질적으로 우수하게 진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되는 간호실무의 과학적 근거 마련,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적인 수준향상을 가져오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근거중심 간호의 핵심적 과정은 무엇인가? 최근 근거중심 간호가 빠른 속도로 널리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연구논문의 질 평가를 통해 최상의 근거를 파악하는 과정은 근거중심 간호의 핵심적 과정이다(Jeong et al., 2012).
무작위대조 실험연구가 불가능한 경우에 어떤 것을 수행해야 하는가? 실험연구는 외생변수의 통제를 통해 여러 가지 편향을 최소화하여 중재효과를 평가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연구설계이며 그 중 무작위 대조연구는 치료적 중재효과를 평가하는데 가장 믿을만한 연구방법으로 편향(bias)을 최소화 시키는 연구 설계이다. 그러나 경제적, 윤리적 문제, 연구의 특성 등으로 무작위 대조연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수행하여 연구의 실행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Kim & Kim, 2009). 간호학 분야에서는 비무작위 실험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는데 2007년과 2008년도 한국간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연구가 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urns, N., & Grove, S. K. (2009).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Missouri: Saunders. 

  2. Cirrincione, C. T., Lavoie Smith, E. M., & Pang, H. (2014).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inical trial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30, 74-79. doi: 10.1016/j.soncn.2013.12.011 

  3. Downs, S. H., & Black, N. (1998). The feasibility of creating a checklist for the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both of randomised and non-randomised studies of health care interven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2, 377-384. 

  4. Higgins, J. P. T.,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Retrieved April 30, 2014,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5. Jeong, I. S., Jeong, J. S., Hwang, J. I., & Choi, J. E. (2012).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173-184. 

  6. Kim, H. J., & Kim, S. Y. (2009). Quality assessment of non-randomized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129-137. 

  7. Kim, K. H., Kim, J. H., Lim, K. C., Lee, K. S., Jeong, J. S., Choe, M. A., et al. (2012). Quality assessment tools and reporting standards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221-230.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221 

  8. Kim, M. H., Cheon, S. H., Jun, E. M., Kim, S. Song, J. E., Ahn, S. H. et al. (2013). The quality of reporting of intervention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 Based on the TREND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 306-317. 

  9. Kim, S. Y., Ji, S. M., Lee, S. J., Lee, Y. J., Park, J. E., Nam, M. H., et al. (2011). Guidance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Ver 1.0.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10. Lim, S. M., Shin, E. S., Lee, S. H., Seo, K. H., Jung, Y. M., & Jang, J. E. (2011).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 419-429.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419 

  11. Polit, D. F., & Gillespie, B. M. (2009). The use of the intention-to-treat principle in nursing clinical trials. Nursing Research, 58, 391-399. doi:10.1097/NNR.0b013e3181bf1505 

  12.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 Haynes, R. B.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3. Sally, H., & Fiona, C. (1999). What is meant by intention to treat analysis? Survey of publish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319(7211), 670-674. doi:10.1136/bmj.319.7211.670 

  14. Shi, Y. X., Fan, X. Y., Han, H. J., Wu, Q. X., Di, H. J., Hou, Y. H., et al. (2013). Effectiveness of a nurse-led intensive educational programme on chronic kidney failure patients with hyperphosphataemi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 1189-1197. doi: 10.1111/jocn.12159 

  15. Shin, H. S., Hyun, M. S., Ku, M. O., Cho, M. O., Kim, S. Y., Jeong, J. S., et al.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39-149. doi:10.4040/jkan.2010.40.1.139 

  16. Slim, K., Nini, E., Forestier, D., Kwiatkowski, F., Panis, Y., & Chipponi, J. (2003).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 (MINO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nstrument. ANZ Journal of Surgery, 73, 712-716. 

  17. Switula, D. (2006). The concept of quality in clinical research.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12, 147-156. http://dx.doi.org/10.1007/s11948-006-0015-x 

  18. Vedelo, T. W., & Lomborg, K. (2011). Reported challenges in nurse-l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5, 194-200. 

  19. Xing, W. J., Fu, L., He, M. X., Hu, Y., & Ying, J. (2014). A quality evalu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in Mainland China: From 1979 to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ciences, 1, 145-150. doi:10.1016/j.ijnss.2014.05.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