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 발달을 위한 인지적 도제 기반의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Cognitive Apprenticeship for the Enhancement of Metacogni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8 no.2, 2014년, pp.225 - 234  

연혜진 (아산남성초등학교) ,  조미헌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로봇 프로그래밍은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계획하고, 그 알고리즘을 구현하며, 그 결과를 로봇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쉽게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로봇 프로그래밍은 반성적 사고에 기반을 둔 문제해결의 과정이며,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밀접히 관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메타인지 발달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의 단계를 '학습과제 탐구', '교사의 모델링', '과제 수행 계획 및 시각화', '과제 수행', '자기 평가 및 강화' 등과 같은 5가지로 나누고, 각 단계의 활동들을 메타인지 주요 전략들(계획, 모니터링, 조절, 평가)와 연계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활동과 메타인지 전략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지적 도제를 기반으로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과 같은 전략들을 교수 학습 모델과 연계하여 명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메타인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자기질문법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의 각 단계별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기질문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bot programming allows students to plan an algorithm in order to solve a task, implement the algorithm, easily confirm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with a robot, and correct errors. Thus, robot programming is a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and is closely related to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로봇 프로그래밍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면서 프로그래밍 문제해결의 주요 변인이자 학셍들의 고둥 사고 능력 신장에 기반이 될 수 있는 네타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 . 학습모형은 개발하였나.
  • 본 연구는 체제적 고수 설계 . 개발은 위한 ADDIE 모형[22]을 기반으로 하이 진행되었으며 각 난계별 연구 수행 절차는 (그림 1)과 같다.
  • 힌펀 Browne W] 타인지 (metacognition)란 자신의 지식 상태를 자문하는 것으로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하였다[3〕.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사고로, 자신의 문제 해결 방법을 계획하고, 수행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더 나은 인지 상태로 조절하고, 수행 과정과 인지 상태의 번화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 이때 교사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자기 질문을 스스로 사용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러한 교사의 모습을 보면서 학생들은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래밍 방법을 관찰하고, 이해한다.
  •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인지적 도제 방 用은 기반으로 하이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의 핵심 목표의 하나인 학셍의 메타인지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 . 학슈모형은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Y. K. (2006). Robot programming education model in ubiquitous environment for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octoral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Baek. S. S. (2006). Verification of Effect on a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Model in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Brown. A.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mechanisms. In F. E. Weinert & R. H. Kluwe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 Brown, A. C., Bransford. J. D., Ferrara, R. A., & Campion, J. C. (1983). Learning,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5. Choi. Y. H. (2003). Development of the program model for educational ROBO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6(3), 75-90. 

  6. Collins, A., Brown, J. S., & Newman, S. E. (1989), Cognitive apprenticeship: Teaching the crafts of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In L. B. Resnick (Ed.)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Dennen, V. P., & Bumer, K. J. (2008).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in educational practice. In J. M. Spector, M. D. Merrill. J. V. Merrienboer, & M. P. Driscoll (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3rd edition.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Dick, W., Carey. L., & Carey, J. O. (2011).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9.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10. Garofalo, T. & Lester. F. K. (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11. Hussain, S., Lindh, J, & Shukur, G. (2006). The effect of LEGO training on pupils' school performance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 Swedish data.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3), 182-194. 

  12. Jo, M. H., & Lee, Y. H. (1994),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dopting cognitive apprenticeshi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9(1), 147-162. 

  13. Kim, T. H., & Moon. S. K. (2010).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introductory programming using LEGO mindstorms robo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Internet Information. 11(4), 169-173. 

  14. Lee, E. J. (2010). A Study of Direct Teaching Strategy of Inquiry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5. Lee, Y. J., & Seo, Y. M. (2013). The effects of programming learning using robot based on school-wide enrichment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otentia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4), 47-54. 

  16. Lin, X. (2001). Designing metacognitive activities. ETR&D, 49(2), 23-40. 

  17. Livingston, J. A. (1997). Metacognition: An Overoiew. http://gse.buffalo.edu/fas/shuell/cep564/metacog.htm,Retrieved on May 10, 2014. 

  18. Montague, M. (1992).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5(4), 230-248. 

  19. Moon, W. S. (2008). Influential error factor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skil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2), 195-202. 

  20. Park, E. S., & Moon, S. H.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obot education program for logical thinking ability in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Fducation, 22(1), 175-198. 

  21. Polya, G. (2004).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P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Rothwell, W. J., & Kazanas, H. C. (2004). Maste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San Francisco, CA: Pfeiffer. 

  23. Song, J. B.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assroom- Friendly Robot-Education Model and Program for the STEM Integration Education. Doctoral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2).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25. Yoo, I. H., & Chae, J. H. (2008). A study on the programming education using robots for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3), 293-3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