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Proposing Ways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연구책임자 김혜숙
참여연구자 이미미 , 안성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22960
과제고유번호 1105009349
사업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DB 구축일자 2018-06-30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2960

초록

본 연구는 교과서 지위를 획득한 최초의 디지털교과서인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변천 과정과 교수 학습 지원 정책 현황을 개괄하였으며, 2014년 디지털 교과서를 분석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조사는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수업 관찰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디지털교과서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2014 digital textbooks, the first digital textbooks that achieved the legal status as textbooks. In this study, we first repor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d 2014 digital textbooks based on survey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proposed the ways to inc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4
  • 연구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6
  • Ⅰ. 서론 ... 20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1
  • 가. 연구의 필요성 ... 21
  • 나. 연구의 목적 ... 23
  • 2. 연구 내용 ... 24
  • 가. 2014년 적용 초・중학교의 사회, 과학 디지털교과서 분석 ... 24
  • 나.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정책 현황 조사 ... 24
  • 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분석 ... 24
  • 라.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모색 ... 24
  • 3. 연구 방법 ... 25
  • 가. 문헌 연구 ... 25
  • 나. 설문 조사 ... 25
  • 다. 전문가 협의회 ... 25
  • 라. 수업 관찰 및 심층 면담 ... 26
  • Ⅱ.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변천 과정과 교수・학습 지원 정책 현황 ... 27
  • 1. 우리나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변천 과정 ... 28
  • 가. 디지털교과서의 도입과 개발 ... 28
  • 나.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 ... 31
  • 2.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정책 현황 ... 35
  • 가.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 35
  • 나. 교원 역량 강화 연수 ... 37
  • 다.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보급 ... 39
  • Ⅲ. 2014년 적용 초・중학교의 사회, 과학 디지털교과서 분석 ... 41
  • 1. 디지털교과서의 분석 방법 ... 42
  • 가. 디지털교과서 구조도의 분석 ... 43
  • 나. 디지털교과서 특성의 양적 분석 ... 44
  • 다. 디지털교과서 특성의 질적 분석 ... 46
  • 2.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분석 결과 ... 48
  • 3. 디지털교과서 특성의 양적 분석 결과 ... 52
  • 가. 사회교과서 분석 결과 ... 52
  • 나. 과학교과서 분석 결과 ... 62
  • 4. 디지털교과서 특성의 질적 분석 결과 ... 73
  • 가. 사회교과서 분석 결과 ... 73
  • 나. 과학교과서 분석 결과 ... 95
  • 5. 디지털교과서 분석 결과를 통한 시사점 ... 112
  • Ⅳ.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조사 결과 ... 116
  • 1. 설문 조사 ... 117
  • 가. 조사 방법 ... 117
  • 나. 조사 결과 ... 124
  • 다.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한 시사점 ... 173
  • 2. 수업 관찰 ... 175
  • 가. 조사 대상의 선정 ... 175
  • 나. 조사 대상 학교 특성 ... 177
  • 다. 수업의 개요 ... 184
  • 라. 수업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분석 ... 218
  • 마. 수업 관찰 분석 결과를 통한 시사점 ... 242
  • Ⅴ.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 253
  • 1.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와 교실생태계의 분석 틀 ... 254
  • 가.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되는 교실생태계의 체계 ... 254
  • 나. 교수・학습 지원 방안 도출을 위한 교실생태계의 분석 틀 ... 255
  • 2.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분석 결과 ... 259
  • 가. ‘부족함’의 분석 결과 ... 259
  • 나. ‘불편함’의 분석 결과 ... 269
  • 다. ‘불안함’의 분석 결과 ... 279
  • 라. ‘기대감’의 분석 결과 ... 287
  • 3.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교수・학습 지원 방안 ... 293
  •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 296
  • 1. 요약 ... 297
  • 가.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297
  • 나. 연구 결과 ... 297
  • 2. 정책 제언 ... 303
  • 가. 디지털교과서 개선 ... 305
  • 나. 연구학교 운영 및 지원 ... 311
  • 다. 교사 역량 강화 ... 315
  • 라. 학생 및 학부모 지원 ... 321
  • 참고문헌 ... 323
  • Abstract ... 328
  • 부록 ... 332
  • 부록1. 교사용 설문지 ... 333
  • 부록2. 학생용 설문지 ... 340
  • 끝페이지 ... 343

표/그림 (19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