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걷기프로그램이 폐절제술 환자의 신체활동량, 운동능력, 회복력 및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ogressive Walking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Tolerance, Recover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 Lung Rese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381 - 390  

김인아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Progressive Walking program (PW) 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tolerance, recover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patients with a lung resec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tiliz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폐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으로 걷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술 전 교육, 운동 목표량 설정과 피드백을 포함한 점진적 걷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절제술을 시행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걷기프로그램이 수술 후 신체활동량, 운동능력, 회복정도와 폐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 본 연구는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걷기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운동능력, 폐합병증, 회복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 연구이다. 점진적 걷기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재군의 수술 1개월 후 신체활동량, 6분 걷기로 측정한 운동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호흡곤란, 흉관 삽입기간, 입원 기간이 감소하여 회복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제공된 점진적 걷기 프로그램이 환자의 수술 후 신체활동량, 운동능력, 회복정도(호흡곤란, 흉관삽입기간, 재원일수) 및 폐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것이다.
  • 본연구의 의의는 수술후 관리가 중요한 폐절제술 환자에게 제공된 비교적 이행하기 쉬운 걷기운동에 기초한 중재프로그램이 수술후 환자의 흉관보유기간, 재원일수, 호흡곤란정도를 포함한 회복에 효과를 보인 점이다. 제안된 프로그램으로 중재군 모두가 미국심장협회에서 권장한 충분한 신체활동량을 달성하여, 실무에서 환자의 운동량증가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폐절제술 환자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은 무엇을 중심으로 시도되었는가? 국내의 폐절제술 환자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은 호흡강화운동 중심으로 시도되었으며[13,14], Seo와 Kang[13]은 호흡운동과 기침, 진동과 타진으로 구성된 흉부 물리요법, 흉부가동운동을 수술 후 7일 간 매일 지속하여 수면의 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고하였고, Jung과 Lee[14]는 호흡운동법에 대한 소책자를 배부하고 1회 교육과 일지 작성을 포함한 중재를 시행하여 수술 후 5일 째 폐기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폐합병증 발생과 흉관 삽입기간의 단축에는 두 연구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폐암 치료에 주로 선택되는 폐절제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6%인 16,654명이 폐암으로 인해 사망하여, 당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 1위를 차지하였다[1]. 폐암 치료에 주로 선택되는 폐절제술은 수술 후 환자의 폐포 환기와 폐활량을 감소시키며 극심한 통증과 운동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2]. 수술 후 폐합병증은 다른 신체부위 수술에서 보다 복부수술이나 폐절제술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3-5], 방광절제술 환자의 3.
폐절제술 환자의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의 감소, 운동능력증가, 입원기간단축을 위해서는 특정강도이상의 유산소 운동이 필요한 이유는? 9일 단축시킨 것으로 나타났다[10]. 그러나 운동을 하더라도 운동의 강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운동능력과 폐합병증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듯 하다[11,12]. 퇴원시까지 하루 1.5-2분의 걷기와 심호흡, 어깨운동을 제공한 중재는 폐합병증 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11], 수술 후 첫째 날부터 12주동안 5-15분 동안의 걷기 운동과 실내 자전거 타기, 다리근육 운동을시행한 연구에서도 다리의 근육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운동능력과 폐합병증 발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12]. 그러므로 폐절제술 환자의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의 감소, 운동능력증가, 입원기간단축을 위해서는 특정강도이상의 유산소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2010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Author 2011 [cited 2012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52533. 

  2. Win T, Groves AM, Ritchie AJ, Wells FC, Cafferty F, Laroche CM. The effect of lung resection on 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apacity in lung cancer patients. Respiratory Care. 2007;52(6):720-726. 

  3. Johar RS, Hayn MH, Stegemann AP, Ahmed K, Agarwal P, Balbay MD, et al. Complications after robot-assisted radical cystectomy: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Robotic Cystectomy Consortium. European Urology. 2013;64(1):52-57. http://dx.doi.org/10.1016/j.eururo.2013.01.010 

  4. Scholes RL, Browning L, Sztendur EM, Denehy L. Duration of anaesthesia, type of surgery, respiratory co-morbidity, predicted VO2max and smoking predict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An observational study.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9;55(3):191-198. 

  5. Agostini P, Cieslik H, Rathinam S, Bishay E, Kalkat MS, Rajesh PB, et al.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following thoracic surgery: Are there any modifiable risk factors? Thorax. 2010;65(9):815-818. http://dx.doi.org/10.1136/thx.2009.123083 

  6. Varela G, Ballesteros E, Jimenez MF, Novoa N, Aranda JL.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prophylactic respiratory physiotherapy in pulmonary lobectomy.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006;29(2):216-220. http://dx.doi.org/10.1016/j.ejcts.2005.11.002 

  7. Novoa N, Ballesteros E, Jimenez MF, Aranda JL, Varela G. Chest physiotherapy revisited: Evaluation of its influence on the pulmonary morbidity after pulmonary resection.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011;40(1):130-134. http://dx.doi.org/10.1016/j.ejcts.2010.11.028 

  8. Cesario A, Ferri L, Galetta D, Pasqua F, Bonassi S, Clini E, et al. Post-operative respiratory rehabilitation after lung resection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Lung Cancer. 2007;57(2):175-180. http://dx.doi.org/10.1016/j.lungcan.2007.02.017 

  9. Hirschhorn AD, Richards D, Mungovan SF, Morris NR, Adams L. Supervised moderate intensity exercise improves distance walked at hospital discharge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Heart, Lung & Circulation. 2008;17(2):129-138. http://dx.doi.org/10.1016/j.hlc.2007.09.004 

  10. Souza Possa S, Braga Amador C, Meira Costa A, Takahama Sakamoto E, Seiko Kondo C, Maida Vasconcellos AL, et al. Implementation of a guideline for physical therapy in the postoperative period of upper abdominal surgery reduces the incidence of atelectasi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Revista Portuguesa de Pneumologia. 2014;20(2):69-77. http://dx.doi.org/10.1016/j.rppneu.2013.07.005 

  11. Reeve JC, Nicol K, Stiller K, McPherson KM, Denehy L. Does physiotherapy reduc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following pulmonary resection via thoracotomy? A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008;3:48. http://dx.doi.org/10.1186/1749-8090-3-48 

  12. Arbane G, Tropman D, Jackson D, Garrod R. Evaluation of an early exercise intervention after thoraco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effects on quality of life, muscle strength and exercise toleranc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ung Cancer. 2011;71(2):229-234. http://dx.doi.org/10.1016/j.lungcan.2010.04.025 

  13. Seo YH, Kang HS. The effects of the respiration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ulmonary function, anxiety, and sleep of patients underwent lung surgery.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57-167. 

  14. Jung KJ, Lee YS. The effect of a breathing exercise intervention on pulmonary function after lung lobectom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0;10(1):95-102. 

  15. Hong YL.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al DVD on postoperative self 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lung cancer patien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16. Bourke L, Homer KE, Thaha MA, Steed L, Rosario DJ, Robb KA, et al. Interventions for promoting habitual exercise in people living with and beyond canc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9: CD010192.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10192.pub2 

  17. Lyons EJ, Hatkevich C. Prevalence of behavior changing strategies in fitness video games: Theory-based content analysi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3;15(5):e81. http://dx.doi.org/10.2196/jmir.2403 

  18. Richardson CR, Newton TL, Abraham JJ, Sen A, Jimbo M, Swartz AM. A meta-analysis of pedometer-based walking interventions and weight loss.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8;6(1):69-77. http://dx.doi.org/10.1370/afm.761 

  19. Oh JY, Yang YJ, Kim BS, Kang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7):532-541. 

  20.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116(9):1081-1093.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7.185649 

  21. Rikli RE, Jones 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6-minute walk test as a measure of physical endur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988;6(4):363-375. 

  22. ATS Committee on Proficiency Standards for Clinical Pulmonary Function Laboratories. AT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six-minute walk test.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166(1):111-117. http://dx.doi.org/10.1164/ajrccm.166.1.at1102 

  23. Roh JS. Development of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lobectomy and pneumonectom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24. Chie WC, Yang CH, Hsu C, Yang PC. Quality of life of lung cancer patients: Validation of the Taiwan Chinese version of the EORTC QLQC30 and QLQ-LC13. Quality of Life Research. 2004;13(1):257-262. 

  25. Novoa N, Varela G, Jimenez MF, Aranda JL. Influence of major pulmonary resection on postoperative daily ambulatory activity of the patients. Interactive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2009;9(6):934-938. http://dx.doi.org/10.1510/icvts.2009.212332 

  26. Coups EJ, Park BJ, Feinstein MB, Steingart RM, Egleston BL, Wilson DJ, et 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mong lung cancer survivors. Psycho- Oncology. 2009;18(4):395-404. http://dx.doi.org/10.1002/pon.1520 

  27. Kervio G, Carre F, Ville NS. Reliability and intensity of the six-minute walk test in healthy elderly subjec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3;35(1):169-174. http://dx.doi.org/10.1249/01.mss.0000043545.02712.a7 

  28. Nimmo MA, Leggate M, Viana JL, King JA.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mediators of inflammation. Diabetes, Obesity & Metabolism. 2013;15(Suppl 3):51-60. http://dx.doi.org/10.1111/dom.12156 

  29. Brunelli A, Refai M, Xiume F, Salati M, Sciarra V, Socci L, et al. Performance at symptom-limited stair-climbing tes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mortality, and costs after major lung resection.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2008;86(1):240-247. http://dx.doi.org/10.1016/j.athoracsur.2008.03.025 

  30. Courneya KS, Friedenreich CM. Physical activity and cancer control.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07;23(4):242-252. http://dx.doi.org/10.1016/j.soncn.2007.08.002 

  31. Chung CW, Lee S, Hwang SW, Park EH. Systematic review of exercise effects on health outcom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49-159.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