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실 공기 중 미생물 분포 조사연구
Assessment of Bioaerosols in Public Restroom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4, 2014년, pp.304 - 312  

김종규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김아혁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bioaerosols in indoor air in public restrooms, as well as to assess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bioaerosol level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performed in ten male and ten female restrooms. An air sampler (Ander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9-31) 이러한 주장들은 본 연구에서 화장실의 온도 또는 습도가 총부유세균과 총부유진균에 미친 영향을 뒷받침해준다. 화장실에 대한 조사는 아니나 아파트 실내 공기 중 총부유세균 및 기회감염균 농도가 봄철보다는 여름철에 높게 측정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 10-13) 그렇지만 화장실 내 공기 중 미생물 오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에서 바이오에어로졸로서 세균, 진균,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포도상구균 등의 분포를 조사하고 주요 온열요소와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화장실의 미생물학적 오염으로 인한 위해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화장실의 실내 공기 중 바이오에어로졸수준을 조사하고 온도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일 대도시 지역에서 20개 화장실을 선정하고관성충돌방식 에어샘플러를 사용하여 공기 시료를 포집하였으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장실의 바이오에어로졸 분포를 알아보고 주요 온열요소인 온도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 화장실에서 측정된 총부유세균은 102-103 CFU/m3 , 총부유진균은 10-102 CFU/m3 수준이었다.

가설 설정

  • 4%였다는 보고가 있었다.16) 본 연구에서 측정된 온도는 이보다 낮으며 습도는 비슷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화장실의 온도 및 습도는 보건학적으로 비교적 양호하다고 보이며, 이는 10월 중 일기가 비교적 쾌적한 조건에서 측정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포집한 공중부유미생물의 종류는 무엇인가? 조사 항목은 온도, 습도(상대습도), 그리고 공중 부유미생물이었다. 공중부유미생물로는 전반적인 공기 유래 세균수를 알 수 있는 총부유세균(TSB), 살모넬라균, 이질균, 장티푸스균, 대장균 등을 포함하는 그람음성균(GNB), 연쇄상구균이나 포도상구균, 폐렴균, 나병균, 디프테리아균, 파상풍균, 탄저균, 방선균 등을 포함하는 그람양성균(GPB), 인체 피부에도 존재하는 포도상구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과 그 중 식중독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A), 황색포도상구균 중 페니실린 항생제인 메티실린 (methicillin) 등에 내성을 보여 치료를 어렵게 하는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노약자 등의 경우 병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 감염균(OP), 그리고 전반적인 진균수를 알 수 있는 총부유진균(TSF) 등을 포집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 1층에 있는 화장실만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곳의 10개 건물에서 각 2개씩 총 20개 화장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건물 높이에 따라 온·습도가 다를 것이며 부유미생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모두 1층에 위치한 화장실을 선정하였다.
공중부유미생물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에 사용된 장비는 무엇인가? 공중부유미생물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는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측정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14) 이에 따라 관성충돌방식의 MAS-100 (Merck, Germany) 에어샘플러(air sampler)를 사용하여 공기시료를 채취하였다. 동 에어샘플러는 공기 흡입구에 설치된 직경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cott E, Bloomfield SF, Barlow CG.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home. J Hyg Lond. 1982; 89(2): 279-293. 

  2. Sabra SMM. Bacterial public health hazard in the public female restrooms at Taif, KSA. Middle-East J Sci Res. 2013; 14(1): 63-68. 

  3. Flores GE, Bates ST, Knights D, Lauber CL, Stombaugh J, Knight R, et al. Microbial biogeography of public restroom surfaces. PloS One. 2011; 6(11): e28132. 

  4. Reynolds KA. Germs in the Home Environment: Microorganisms in the Bathroom. Available: http://learnaboutgerms. arizona.edu/germs_in_the_environment. htm. [accessed 14 April 2014]. 

  5. Gerba CP, Wallis C, Melnick JL. Microbiological hazards of household toilets: droplet production and the fate of residual organisms. Appl Microbiol. 1975; 30(2): 229-237. 

  6. Barker J, Jones M. The potential spread of infection caused by aerosol contamination of surfaces after flushing a domestic toilet. J Appl Microbiol. 2005; 99(2): 339-347. 

  7. Barker J, Bloomfield SF. Survival of Salmonella in bathrooms and toilets in domestic homes following salmonellosis. J Appl Microbiol. 2000; 89(1): 137-144. 

  8. Abdullah ASM, Tomlinson B, Cockram CS, Thomas GN. Lessons from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in Hong Kong. Emerg Infect Dis. 2003; 9(9): 1042-1045. 

  9. Li Y, Leung GM, Tang JW, Yang X, Chao CYH, Lin JZ, et al. Role of ventilation in airborne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the built environment - a multidisciplinary systematic review. Indoor Air. 2007; 17(1): 2-18. 

  10. Choi HY, Kwon WO, Lee WS, Lee H. Research on bacterial distribution of public lavatory. J Environ Health Sci. 2012; 38(6): 520-528. 

  11. Kim JG, Kim JS. The load of indicator bacteria of sanitary ware in public restrooms. J Environ Health Sci. 2014; 40(1): 63-70. 

  12. Yeon JW, Chang MW, Kim KH. Detection and isolation of genital Mycoplasmas from public toilet bowls. J Bacteriol Virol. 2002; 32(3): 231-237. 

  13. Kim KH, Yee JJ. Applicability of corrugate type absorption filter for elimination of offensive odor substance in the toilet. J Archit Inst Kor Plan Des. 2010; 26(6): 279-286.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ampling Method for Microbiological Testing of Indoor Air. Available: http://iaqinfo.nier.go.kr/means/sampling _crowd_facilities.do. [accessed 23 November 2013]. 

  15. Kim JG, Park JY, Kim JS. Assessment of bacterial and fungal aerosols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J Environ Health Sci. 2014; 40(2): 98-104. 

  16. Lee BU, Hong IG, Lee DH, Chong ES, Jung JH, Lee JH, et al. Bacterial bioaerosol concentrations in public restroom environments. Aerosol Air Qua Res. 2012; 12(2): 251-255. 

  17. Kalwasinska A, Burkowska A, Wilk I. Microbial air contamination in indoor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Ann Agric Environ Med. 2012; 19(1): 25-29. 

  18. Im MJ, Kim SD. A field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microbes by living space. Proceedings of Kor Soc Odor Res Eng. 2005; 11: 50-53. 

  1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 Use Facilities. Available: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B%8B%A4%EC%A4%91&x0&y0#liBgcolor0. [accessed 12 February 2014]. 

  20. WHO. Household Air Pollution and Health. Available: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2/en/(2005). [accessed 12 February 2014]. 

  21. Park D, Jo K, Yoon C, Han I, Park D. Factors influencing airborne concentration of fungi, bacteria and gram negative bacteria in kindergarten classroom. Kor J Environ Health. 2004; 30(5): 440-448. 

  22. Park D, Yeom J, Lee W, Lee K. Assessment of the levels of airborn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in hospital lobbi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3; 10(2): 541-555. 

  23. Kim S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oaerosol in indoor air of apartm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1. 

  24. Moon KW, Byeon SH, Choi DW, Kim YW, Lee JH, Lee EI. Exposure assessments on biological contaminants in homes of allergy patients - bacteria, fungi, house dust mite allergen and endotoxin. J Environ Health Sci. 2005; 31(2): 120-126. 

  25. Mkrtchyan HV, Russell CA, Wang N, Cutler RR. Could public restrooms be an environment for bacterial resistomes?. PLoS One. 2013; 8(1): e54223. 

  26. Cleaning Industry Research Institute. Enteric Bacterial Contamination of Public Restrooms. Available: http://www.ciriscience.org/a_67-Enteric_Bacterial_Contamination_of_Public_Restrooms [accessed 14 April 2014]. 

  27. Verani M, Biqazzi R, Carducci A. Viral contamination of aerosol and surfaces through toilet use in health care and other settings. Am J Infect Control. 2014; 42(7): 758-762. 

  28. Kwon MH, Choi KH, Seo SY, Ryu JM, Won SR, Lim JH, et al.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II) - Indoor air pollutants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detached and multiplex/terraced house. Inchon: NIER Press; 2010. p.13-19. 

  29. Pasanen AL, Kasane JP, Rautiala S, Ikaheimo M, Rantamaki J, Kaariainen H, et al. Fungal growth and survival in building materials under fluctuating moist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t Biodeter Biodegr. 2000; 46(2): 117-127. 

  30. Kulmala M, Asmi A, Pirjola L. Indoor air aerosol model: the effect of outdoor air, filtration and ventilation on indoor concentrations. Atmos Environ. 1999; 33(14): 2133-2144. 

  31. Mandal J, Brandl H. Bioaerosols in indoor environment - a re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residential and occupational locations. Open Environ Biol Monit J. 2011; 4(1): 83-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