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점의 공기 중 부유미생물 분포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A Pilot Study on the Assessment of Bioaerosols in Restaurant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2, 2016년, pp.133 - 140  

김종규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공중보건학전공)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pilo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bioaerosol levels in restaurants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ations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movement on these levels. It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kitchens and dining areas, as well as between summer and win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수가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실내공기질관리법 및 공중위생관리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음식점에서 공기 중 부유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고 주방과 홀의 차이, 여름과 겨울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 주요 부유미생물과 온열요소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규모의 파일럿 스터디(pilot study)로서, 이 연구를 통해서 이제까지 관심밖에 있었던 음식점의 공기 중 미생물 오염 정도를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001)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음식점별로 공기 중 부유미생물 농도는 변이가 크지만, 음식물의 조리가 공기 중 부유미생물 농도를 높이는 바를 제시한다. 또 계절에 관계없이 주방과 홀에서 식중독성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본 연구는 다수가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실내공기질관리법 및 공중위생관리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음식점에서 공기 중 부유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고 주방과 홀의 차이, 여름과 겨울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 주요 부유미생물과 온열요소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불특정다수가 이용함에도 실내공기질관리법과 공중위생관리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음식점의 홀과 주방에서 공기 중 부유미생물을 측정하고 주방과 홀의 차이, 여름철과 겨울철의 차이, 그리고 주요 온열요소인 온도, 습도 및 기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 지역에서 개방형 주방을 설치한 6개 업소의 협조 하에 관성충돌방식의 air sampler를 사용하여 공기 시료를 포집하였으며, 온도, 습도 및 기류를 측정하였다.
  • 공기 중의 미생물은 온도, 습도, 기류 등과 광선, 가스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여러 연구들에서 공기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온열 요소로서 온도 및 습도의 영향만을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온도 및 습도와 더불어 기류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내 기류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이동과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각 음식점에서 측정된 부유미생물을 여름과 겨울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전체적으로 여름에 겨울보다 높은 수준으로 부유미생물이 검출되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각종 미생물이 활발하게 증식할 수 있다는 일반적 가정에 부합하였다. MRSA를 제외한 다른 부유미생물은 여름에 겨울보다 평균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이용시설이란 무엇을 일컫는 말인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을 다중이용시설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다중이용시설로는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 중 대합실, 도서관ㆍ박물관 및 미술관, 장례식장, 목욕장, 대규모점포, 영화상영관, 학원, 전시시설, 인터넷컴퓨터 게임시설제공업 영업시설, 의료기관,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실내주차장 등으로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정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을 다중이용시설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다중이용시설로는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 중 대합실, 도서관ㆍ박물관 및 미술관, 장례식장, 목욕장, 대규모점포, 영화상영관, 학원, 전시시설, 인터넷컴퓨터 게임시설제공업 영업시설, 의료기관,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실내주차장 등으로 정하고 있다. 또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의 소유자·점유자·관리자 등 관리책임이 있는 사람은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에 맞게 시설을 관리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동안 행해진 음식점 위생관리에 관련된 연구들은 무엇인가? 그동안 음식점 위생관리에 관련된 보고들이 다수 있었다. 그렇지만 거의 대부분이 제공되는 조리식품이나 조리기구의 위생관리, 조리장 위생실태, 조리용수·음용수 관리, 작업위생관리, 식재료 검수관리, 종사자의 손 씻기나 위생행태 등에 대한 연구였다.7-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use Facilities ect. Act. Available: http://www.law.go.kr/main.html. [accessed 12 January 2016]. 

  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Public Health Control Act. Available: http://www.law.go.kr/main.html. [accessed 12 January 2016]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Food Sanitation Act. Available: http://www.law.go.kr/main.html. [accessed 12 January 2016].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2014. Available: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accessed 12 January 2016]. 

  5. Kim JG, Kim JS. The trend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ssociated with restaurants in Korea: a recent 10-year observation. Bull IIT. 2015; 38(2): 189-194.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accessed 20 October 2015]. 

  7. Park YH, Lee YK. Analysis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large restaurants by restaurant styl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7): 944-954. 

  8. Kim YH, Lee YK. A survey of receiving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Preserv. 2012; 19(4): 611-618. 

  9. Park JY, Kim JS, Kim JG.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 Hlth Sci. 2010; 36(2): 95-107. 

  10. Kim JG, Park JY, Kim JS. A study on the hand hygiene of food handlers of food court and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J Fd Hyg Safety 2010; 25(2): 133-142. 

  11. Cates SC, Muth MK, Karns SA, Penne MA, Stone CN, Harrison JE. Certified kitchen managers: do they improve restaurant inspection outcomes? J Food Prot. 2009; 72(2): 384-391. 

  12. Hedberg CW, Smith SJ, Kirkland E, Radke V, Jones TF, Selman CA, et al. Systematic environmental evaluations to identify food safety differences between outbreak and nonoutbreak restaurants. J Food Prot. 2006; 69(11): 2697-2702. 

  13. Kim JG, Park JY, Kim JS. Assessment of bacterial and fungal aerosols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J Environ Health Sci. 2014; 40(2); 98-104. 

  14. Rajasekar A, Balasubramanian R. Assessment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food courts. Build Environ. 2011; 46(10): 2081-2087.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ampling Method for Microbiological Testing of Indoor Air. Available: http://iaqinfo.nier.go.kr/means/sampling_crowd_facilities.do. [accessed 23 November 2013]. 

  16. Choi HY, Park SG, Gil CM, Yu IK. Laboratory methods for environmental sanitation. Seoul: Shinkwang Publications Press. 2003. p. 37-40. 

  17. WHO. Household Air Pollution and Health. Available: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2/en/(2005) [accessed 12 February 2014]. 

  18. Kim KY, Kim CN. Airborn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public buildings of Korea. Build Environ. 2007; 42(5): 2188-196. 

  19. Nkhebenyane J, Shale K, Venter P, Lues R. Food-borne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aerosols in the food preparation area of HIV/AIDS hospices in central South Africa. Advanced Topics in Environmental Health and Air Pollution Case Studies. 2011; Aug: 353-360.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guide to reduce indoor contaminants during cooking. Available: https://iaqinfo.nier. go.kr/ [accessed 22 December 2015]. 

  2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anual of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Seoul: KFDA Press; 2009. p.17. 

  22. Kim JG. Food hygiene and sanitation. Seoul: Shinkwang Publications Press; 2006. p.505. 

  23. Sprenger RA. Hygiene for management. Doncaster: Highfield Publications Press; 2005. p.164. 

  24. Kim JG.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 J Environ Health 2003; 29(2): 87-93. 

  25. D'Orazio M, Palladini M, Aquilanti L, Clementi F.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growth rate of mould on finishes for indoor housing environments: effects of the 2002/91/EC directive. Build Environ. 2009; 44(8): 1668-16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