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Inquiry Teaching Using Concept Sketches on Conceptual Changes about Plate Tectonic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4, 2014년, pp.267 - 276  

권영신 (경기창조고등학교)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성시 소재 K 고등학교 2학년 2개 반이다. 수업 처치 전에, 판구조론에 대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 검사가 실시되었다. 비교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험 집단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을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이 끝난 후에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과학 관련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TOSRA)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처치에 따른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는 비교 집단보다 실험 집단에서 개념 이해도가 더 높게 향상되어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올바른 개념 변화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과학 관련 태도는 실험 집단의 경우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의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inquiry teaching using concept sketches on conceptual changes about plate tectonic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second-year students of K high school located at Anseong in G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고등학생들의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 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지구과학Ⅰ판구조론 단원에서 개념스케치 활용 수업이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 해결 수업이 학생들의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 관련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설정된 후, 문헌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개념스케치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연구하고 지구과학 I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 이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지구과학 I 판구조론 단원에서 교사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에게 개념스케치를 활용하여 탐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집단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후 탐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집단의 판구조론에 대한 개념 이해도와 과학 관련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은 사전 개념 이해도 검사를 통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실험 집단은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탐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고, 비교 집단은 교사의 설명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3. Scientific concept of student about the formation of folded mountains at convergent boundaries between continental plate and continental pla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의 탐구 대상중 많은 부분이 개념화하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인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과학의 탐구 대상 중 많은 부분이 시공간적으로 규모가 크고, 특히 판구조론은 학생들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영역이며, 거대한 공간적 규모로 인해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에 개념화하기에 어렵고 이해하기도 힘든 영역이다(Jeong, 2007). 이에 학생들이 과학 교과 개념에 더욱 충실하면서 과학의 기본 개념을 유기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구조론 단원에서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개념스케치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에 대한 올바른 변화와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내용을 그리기 활동으로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는 다양한 시각 매체의 등장으로 이미지를 자기 표현 및 의사 소통을 위한 전달 매체로 인식하고 있으며,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것보다 이미지로 표현하고 대화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시대이다. 따라서 학습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그리기 활동은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Gobert, 2005).
시각적 정보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따라서 학습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그림 그리기 활동은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Edens and Potter, 2003). 또한 시각적 정보는 학습자의 창의성에 관련된 지성과 감성 발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고(Kang, 2012), 그리기를 활용한 과학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의 과학 개념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Yo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K.S. and Choi, S.C., 2008, A study on the mis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on magma and plate tecton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2, 121-145. (in Korean) 

  2. Ainsworth, S. and Loizou, A.T., 2003, The effects of selfexplaining when learning with text or diagrams. Cognitive Science, 27, 669-681. 

  3. Edens, K.M. and Potter, E.F.,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as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 135-144. 

  4. Fraser, B.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TOSR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 498-518. 

  5. Gobert, J., 2000, A typology of casual models for plate tectonics: Inferential power and barriers to understa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937-977. 

  6. Gobert, J., 2005, The effect of different learning tasks on model-building in plate tectonics: Diagramming versus explain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444-455. 

  7. Gobert, J.D. and Clement, J.J., 1999, Effects of studentgenerated diagrams versus student-generated summarie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ausal and dynamic knowledge in plate tecton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 39-53. 

  8. Hake, R.R., 1998, Interactive-engagement versu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 64-74. 

  9. Jeong, K.J., 2007, Mis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which spread widely among freshmen at high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87 p. (in Korean) 

  10. Kang, N.M., 2012, Analysis of the types of inscriptions and presentation method of supplementary inscriptions in korean high school life science text books II.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9 p. (in Korean) 

  11. Kim, E.H., 2010,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concept mapping on the conceptual formation about earth's structure and scientific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7 p. (in Korean) 

  12. Kim, S.S., 2009, The effects of lessons with the application of drawing tasks on changes in conception among gifted science student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189 p. (in Korean) 

  13. Kim, Y.G., 2008, The effects of small group discussion lesson using concept sketches in astronomy of earth science for 10th grad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54 p. (in Korean) 

  14. Lee, H.E., 2006, A study for the trend of Interest as students who attend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9 p. (in Korean) 

  15. Libarkin, J., Anderson. S., Science, J., Beilfuss, M., and Boone, W., 2005,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deas about the ear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17-26. 

  16. Moon, B.H., 2006, The effects of small group discussion lesson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learning attitud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80 p. (in Korean) 

  17. Paivio, A., 1986, Mental representation: A dual coding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322 p. 

  18. Park, M.Y., 2007, The analysis of the scientific learning effects through drawing.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72 p. (in Korean) 

  19. Yoo, J.K., 2010, The effects of drawing-based science discuss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9 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