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지역 직장여성들의 변비 관련 생활습관 요인
A Study on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Correlated with Constipation of Working Women in Kangwon Provicn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4, 2014년, pp.581 - 587  

이정실 (경동대학교 호텔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cluded 298 working women in Kangwon province to investigate the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related to constip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Roman II criteria as follows : normal, mild constipation and constipation groups. For the result, 48.4%, 42.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도 내에 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인원 35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9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또한 성인기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학생들과 달리 불규칙한 식사, 결식, 편식, 외식기회의 증가 등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을 하기 쉽다. 국내에서 아동에서 청소년, 대학생 및 노인 등을 대상으로 변비 실태와 관련요인을 분석한 보고는 많으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사무직에 종사하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변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직장에 다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변비를 유발하는 요인과 관련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조사하기 위하여 변비군, 경증변비군 및 변비군으로 분류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50대 사이의 주로 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으로, 정상군, 경증변비군, 변비군이 각각 93명, 95명 및 110명이었다.

가설 설정

  • Rome Ⅱ 기준(Thompsom 등 1999)의 여섯 가지 중 2가지 이상인 경우 변비군으로, 1가지에 해당하면 경증 변비군으로, 하나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Rome Ⅱ 기준의 여섯 가지는 지난 12개월 혹은 3개월 동안 1/4 이상 기간에 있었던 증상인 1) 주당 배변횟수가 3회 미만이다, 2) 대변 덩어리가 단단하다, 3) 배변 후 잔변감이 남아있다, 4) 배변 시에 항문이 막힌 느낌이 있다, 5) 배변을 돕기 위해 수조작이 필요하다, 6) 배변 시에 과도하게 항문에 힘을 준다 등이다.
  • 2)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Rome Ⅱ 기준(Thompsom 등 1999)의 여섯 가지 중 2가지 이상인 경우 변비군으로, 1가지에 해당하면 경증 변비군으로, 하나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Rome Ⅱ 기준의 여섯 가지는 지난 12개월 혹은 3개월 동안 1/4 이상 기간에 있었던 증상인 1) 주당 배변횟수가 3회 미만이다, 2) 대변 덩어리가 단단하다, 3) 배변 후 잔변감이 남아있다, 4) 배변 시에 항문이 막힌 느낌이 있다, 5) 배변을 돕기 위해 수조작이 필요하다, 6) 배변 시에 과도하게 항문에 힘을 준다 등이다.
  • Rome Ⅱ 기준(Thompsom 등 1999)의 여섯 가지 중 2가지 이상인 경우 변비군으로, 1가지에 해당하면 경증 변비군으로, 하나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Rome Ⅱ 기준의 여섯 가지는 지난 12개월 혹은 3개월 동안 1/4 이상 기간에 있었던 증상인 1) 주당 배변횟수가 3회 미만이다, 2) 대변 덩어리가 단단하다, 3) 배변 후 잔변감이 남아있다, 4) 배변 시에 항문이 막힌 느낌이 있다, 5) 배변을 돕기 위해 수조작이 필요하다, 6) 배변 시에 과도하게 항문에 힘을 준다 등이다.
  • Rome Ⅱ 기준(Thompsom 등 1999)의 여섯 가지 중 2가지 이상인 경우 변비군으로, 1가지에 해당하면 경증 변비군으로, 하나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Rome Ⅱ 기준의 여섯 가지는 지난 12개월 혹은 3개월 동안 1/4 이상 기간에 있었던 증상인 1) 주당 배변횟수가 3회 미만이다, 2) 대변 덩어리가 단단하다, 3) 배변 후 잔변감이 남아있다, 4) 배변 시에 항문이 막힌 느낌이 있다, 5) 배변을 돕기 위해 수조작이 필요하다, 6) 배변 시에 과도하게 항문에 힘을 준다 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비란? 변비는 진단명이 아니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위장관증상으로 배변 횟수가 적으며 단단하여 용변을 보기 힘든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변비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불편을 주는 정도를 지나 정신적인 고통까지 준다.
변비의 발생률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변비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불편을 주는 정도를 지나 정신적인 고통까지 준다. 변비의 발생률은 다양한 문화적, 환경적, 유전적 및 사회․경제적 요소에 기인하고 있어서 매우 다양하며(Inan 등 2007), 문화수준이 높은 나라에 많이 발생하고, 특히 여성과 사무직 종사자들이 변비로 인하여 많은 고통을 받고 있다. 변비는 증세이기 때문에 정의나 기준에 논란이 많은데, Rome Ⅱ criteria가 만성변비의 정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Thompson 등 1999).
고등학생의 변비 유병률은 여학생이 63.0%로 남학생의 50.6%보다 높은데 이 중 여고생의 변비 원인은? 6%보다 높았다. 여고생의 경우, 과중한 학업에 아침식사를 거르고 불규칙한 식사를 하며, 체중조절을 위한 식사 제한 등으로 위장관 문제를 호소하는데, Byeon & Lee(2003)은 여고생의 51.7%가 3일 이상 장운동이 없는 변비이며, 스트레스가 높으면 변비가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yeon YS, Lee JI. 2003. Stress and constipat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Funda Nurs 10:23-29 

  2. Cho NH, Ryu BH. 2000. A study on constipa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1:169-180 

  3. Cho SJ, Ahn YJ, Kim EY, Rho YI, Yang ES, Park YB, Moon KR. 2002.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the school-aged children. Korean J Pedatr Gastroenterol Nutr 5:26-32 

  4. Chung HJ, Park HW, Choi EJ, Lee JJ. 2002. A study of the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among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654-663 

  5. Drossman DA, Richter JE, Tally NJ, Thompsom WG, Corazziari EC, Whitehead WE. 1994.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1st ed.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6. Han YH, Yon MY, Hyun TS. 2008. Effect of prune supplementation on dietary fiber intake and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426-438 

  7. Inan M, Aydiner CY, Tokuc B, Aksu B, Ayvaz S, Ayhan S.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constipation.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3:700-706 

  8. Jung SJ, Chae SW, Sohn HS, Kim SB, Rho JO, Baik SH, Kang MH, Kim GH, Kim MH, Kim HS, Park EJ, Heo YR, Cha YS. 2011.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Nutr 44:428-442 

  9. Kil SY, Oh WO, Suk MH. 2004.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stress and constip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600-606 

  10. Kim HJ,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9-67 

  11. Kim JY, Kim OY, Yoo HJ, Kim TI, Kim WH, Yoon YD, Lee JH. 2006. Effects on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ation. Korean J of Nutrition 39:35-43 

  12. Kim MS, Hong JY, Lee MS, Na BJ, Lee JY, Hwang JH. 2010.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3. Kye SK. 1996. Water binding capacity of vegetable fiber. Korean J Food & Nutr 9:231-235 

  14. Lee CR, Kim SK. 2011.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constipation groups by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23-36 

  15. Lee HR, Shin YJ, Kim YH. 2012. Nutritional status and constipation rat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practicing weight contr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734-1739 

  16. Lee KA, Kim HJ, Yoon HS. 2009. Constipation prevalence and lifestyl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Gimhae area. J Korean Diet Assoc 15:419-432 

  17. Lee MR, Lee KA, LY SY. 2003. Improving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tooligosaccharide contained in sponge cakes on the constip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21-626 

  18. Lee SR, Kim WY, Choi SS, Suing CJ, Oh MS, Kim DJ. 1996.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yogurt toward the constip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J Nutr 29:634-641 

  19. Na HJ, Kim YN. 2000.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 33:675-683 

  20. Park HW, Chung HJ, Choi EJ, Lee JJ. 2002. The development of high fiber food for constipa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715-723 

  21. Park JH, Son JT. 2013. Prevalence and factors influencing constipation in school age childre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333-344 

  22. Park MH, Kwon CJ, Lim SH, Kim KH, Heo NK, Jang HK, Park IJ, Lee KJ. 2011. Effects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Synurus deltoides on constipation in lopermaide-induc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715-1719 

  23. Park SJ, Kim B, Kim MJ, Kim YE, Park SH, Park TG. 2013. Effects of Agarum cribrosum on the improvements in treating constipation and plasma lipid profil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185-192 

  24. Shim HW. 2004. Constip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 Kor Acad Soc Nurs Edu 10:252-261 

  25. Shin JR, Ly SY. 2003.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675-688 

  26. Thompson WG, Longstret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Lissner S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suppl 2):1143-1147 

  27. You JS, Chin JH, Chang KJ. 2009.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42:702-713 

  28. You JS, Park JY, Chang KJ. 2010. Correlation among dietary habits score, life stress sco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scor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Korean J Nutr 43:620-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