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버지니아주 거주 한국인과 미국인의 건강상태 인식도 및 짠맛 기호도 비교
A Study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s and Americans in Virginia, USA and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4, 2014년, pp.716 - 724  

김미옥 (대구보건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 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염은 식품 자체에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미료나 저장을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되어 식염 섭취는 나라의 문화, 관습, 지역 및 식습관에 따라 좌우된다(Memeely GR 1954)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 대상자 수는 비교적 적었지만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조사 대상자 수를 증가시켜 조리와 영양 자원 활용은 물론이며,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향후 짠 맛 음식에 대한 식생활의 실질적인 개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와 짠맛 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인의 경우, 비만 정도는 정상(79.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소금섭취가 전통음식의 구성상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조리와 영양 자원 활용 및 우리의 식습관 행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생활 중인 한국인들과 한국인과 비교적 친밀감이 높은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상태 인식과 짠맛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7 g), 영국인(11 g)과 비교했을 때도 훨씬 높은 수치다. 알려진 바와 같이 소금은 염소(Cl)와 나트륨(Na)으로 이뤄졌는데, 특히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Knorpp & Kroke 2010)하고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 위암(Lee 등 2011) 등을 악화시킨다. 또한, 짜게 먹으면 비만일 가능성도 크다(Han 등 2010).
소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는가? 7 g), 영국인(11 g)과 비교했을 때도 훨씬 높은 수치다. 알려진 바와 같이 소금은 염소(Cl)와 나트륨(Na)으로 이뤄졌는데, 특히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Knorpp & Kroke 2010)하고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 위암(Lee 등 2011) 등을 악화시킨다. 또한, 짜게 먹으면 비만일 가능성도 크다(Han 등 2010).
1969년 미국에서 나트륨 적게 먹기 캠페인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미국 하버드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인이 모두 금연하면 8만 1천 명이 살 수 있는데, 소금을 3 g 줄이면 8만 명이 살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금연은 쉽지 않지만 소금 3 g을 줄이는 것은 가능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News Medical 2014). 또한 미국은 1969년 미국 백악관에서 대규모 식품영양건강회의가 열려, 나트륨 과다 섭취에 대한 경고가 공식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를 계기로 나트륨 적게 먹기 캠페인이 시작되었지만, 나트륨 섭취는 더욱 증가하여 현재 미국인은 WHO(세계보건기구) 하루 나트륨 권장량 2,300 mg(소금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DC. 201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from www.cdc.gov. [cited 2014 May 28] 

  2. Cnang UJ, Jo J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 sodium intake and satiety rate and the methods of consuming soup.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5:397-404 

  3. Gu BK. 2008. When the Americans choose a healthy snack, taste, convenience, promotion of health. th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KOTRA) 

  4. Han JS, Zhoh CK, Lee A. 2010.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odium int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stetics & Cosmeceutics 5:13-21 

  5. Institute of Medicine. 2013. www.iom.edu. [cited 2014 May 28] 

  6. Joins Life. 2012.02.08. Available from http://living.joins.com/healthcare/article [cited 2014 July 11] 

  7. Kim MO, Chang U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Korean J Food & Nutr 22:110-122 

  8. Kim MO. 2012. Lifestyle patterns and self-reported health perception of residents in Daegu. Korean J Food & Nutr 25:169-180 

  9. Knorpp L, Kroke A. 2010. Salt reduction as population-based preventive measure. Need for Action in Germany. Ernahrungs Umschau 57:294-300 

  10. Lee CY. 2008. 현대 미국인의 과대비만 건강상태가 한국인에게 주는 경고. Food Science and Industry 4:63-67 

  11. Lee KA, Kim BR, Choe E, Kim JI. 2013.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angpyeongchae by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9:301-308 

  12. Lee SY, Shin MH, Sung MK, Paik HY, Park YK, Kim JS, Sohn JW, Kim WG, Jung Ahn HJ. 2011. Establishment of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cancer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129-143 

  13. Memeely GR. 1954. Salt. Am J Med 16:1-10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 Seoul 

  15. News Medical. 2014. 07. 02. Available from http://www.newsmedical.net/news/20111020/ [cited 2014 July 11] 

  16. Park HJ, Kwak EJ, Cho MH and Lee KH. 2009.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on salinity among the Northeast Asians. J East Soc Dietary Life 19:525-532 

  17. Song YJ. 2013. 05. 19. http://globalwindow.org/gw/overmarket/ [cited 2014 May 28] 

  18.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Available from www.dietitian. or.kr [cited 2014 May 28]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Reducing salt intake in populations. Report of a WHO Forum and Technical Meeting. Geneva. pp.23 

  20. Yonhap News. 2014. 06. 18.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 [cited 2014 July 11] 

  21. Yoon JS. 2011.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reducing sodium intake and evaluation. Keimyung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