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인과 미국인 대상 기호도 조사를 통한 불고기의 표준 레시피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recipe according to preference of Korean, residents foreigner in Korea and America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5, 2013년, pp.463 - 468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  서상희 (한국식품연구원) ,  곽창근 (한국식품연구원) ,  이은정 (신흥대학) ,  위승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표 한식에 대한 품질평가기술개발을 위해 수행하게 되었으며 국내인과 미국 현지인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통한 표준 레시피 설정과정을 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수집한 10개의 레시피를 토대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간장 : 설탕 : 파+마늘의 함량의 비는 7.9% : 4.1% : 5.4%로 조사되었으며 이 비율을 기본 레시피로 선정하였다. 불고기 맛에 대한 조사한 결과 짠맛, 단맛, 고기의 이미 이취로 조사 되어 각각에 항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장, 설탕, 파+마늘을 선정하였으며, 함량에 차이를 두어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인은 간장 : 설탕 : 파+마늘이 6.9% : 5.1% : 5.4(6.4)%의 비율을 선호하였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간장 6.9%, 설탕 4.1%, 파+마늘 6.4%의 함량을 선호하였다. 미국 현지인 불고기 시료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간장 7.9%, 설탕 4.1%, 파+마늘 5.4% 함량을 선호하였으며, 추천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기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그룹 간의 조미성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국 현지인들은 기본 레시피의 조미함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인은 기본 레시피에 설탕을 추가한 불고기를, 국내 거주 외국인은 기본 레시피에 파, 마늘을 추가한 불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현지인의 불고기에 대한 기호특성이 국내인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불고기는 주요 식재료의 현지공급이 가능하다면 현재의 기본적인 레시피를 기준으로도 현지화와 이를 기초로 한 다양한 제품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특징이 반영된 세분시장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되므로 각 세분시장에 적합한 한식 편의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tandard recipe for Bulgogi. For the initial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tandard quality indicators was presented based on surveys with regard to the preferences of the Korean people, American residing in Korea and Americans in USA. A 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표 한식에 대한 품질평가기술개발을 위해 수행하게 되었으며 국내인과 미국 현지인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통한 표준 레시피 설정과정을 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외국인을 표적시장으로 한국전통음식을 개발할 경우에는 외국인들이 수용 가능한 맛과 향미를 고려하여 발효취나 자극적인 향과 매운맛을 지양하고 그들의 기호를 반영한 양념과 소스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Chang HJ 등 2010). 이에 한식에 대한 품질 평가기술 및 시장전략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본지에서는 대표 한식인 불고기의 품질지표 설정을 위한 국내인과 미국 현지인 기호도 조사를 통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국음식의 세계화에 성공한 국가들의 성공요인은? 자국음식의 세계화에 성공한 국가들의 성공요인은 정부의 자국음식 세계화에 대한 노력, 면밀한 자료 분석과 시장조사에 근거한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통해, 자국농수산물의 수출정책과 연동하여 음식상품의 해외진출, 농수산물의 수출 등의 유기적인 연계와 함께 정부의 확산정책이 효과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KFRI 2010). 세계적으로 한식이 과학적,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일부 평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제적 인지도는 미흡한 실정이다(Lee JY 등 2010).
한식의 특징은? 세계적으로 한식이 과학적,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일부 평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제적 인지도는 미흡한 실정이다(Lee JY 등 2010). 한식은 식재료 및 구성, 조리방법, 영양, 상차림과 식사 문화에 있어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Kim JS 2005), 서양의 음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강식이고, 육류 중심에 튀기는 조리법이 대부분인 고칼로리의 서양 음식에 비해 저칼로리, 기능성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Lee YJ 등 2005). 그러나 한식은 조리법이 복잡하고, 섬세한 기술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조리의 대량화 및 조리의 간편성을 위한 과학화와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 등 한식 세계화에 걸림돌로 지적받고 있으므로(Shin SM 2008)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식의 당면과제로서 복잡한 한식의 제조방법을 단순화하고 현지인의 기호에 맞는 메뉴와 구성체계 개발, 조리공정의 효율적 개선 및 표준화 등을 통해 품질관리를 실시하는 등해외 현지에서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한식 모델 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으며(Hong SP 2005), 현시점에서 한국의 대표메뉴를 과학적으로 정확히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현지인에 맞는 메뉴개발이나 제품개발 등에 활용하는 기술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KFRI 2010).
한식 세계화에 걸림돌로 지적받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그러나 한식은 조리법이 복잡하고, 섬세한 기술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조리의 대량화 및 조리의 간편성을 위한 과학화와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 등 한식 세계화에 걸림돌로 지적받고 있으므로(Shin SM 2008)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식의 당면과제로서 복잡한 한식의 제조방법을 단순화하고 현지인의 기호에 맞는 메뉴와 구성체계 개발, 조리공정의 효율적 개선 및 표준화 등을 통해 품질관리를 실시하는 등해외 현지에서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한식 모델 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으며(Hong SP 2005), 현시점에서 한국의 대표메뉴를 과학적으로 정확히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현지인에 맞는 메뉴개발이나 제품개발 등에 활용하는 기술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KFRI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 458-468 

  2. Chang MJ, Cho M.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5(3): 215-223 

  3. Cho SH, Park BY, Yoo YM, Chae HS, Wyi JJ, Ahn CN, Kim JH, Lee JM, Kim YK, Yun SG.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Bulgogi containing ginseng sapon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1): 30-3 

  4. Han GJ, Shin DS, Kim JS, Cho YS, Jeong KS. 2005. Development of meat seasoning sauce using propol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 888-894 

  5. Han JS, Kim JS, Kim SY, Kim MS.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4(2): 188-194 

  6. Hong SP. 2005.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Seoul, pp.309-328 

  7.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 801-807 

  8. Hong SP, Lee MA, Kim YH, Shin DB. 2009. Consumer test of Korean food in Hawaii. Korean J Food culture 24(6): 607-612 

  9. KFRI. 2010. Study on the quality estimation technology and the market strategy to globalize Korean-style food. p.1 

  10. Hwang HS, Han BR, Han BJ. 1995. Korean Traditional food. Gyomun publishing company. Seoul. p.247 

  11. Kang IH. 1996. Korean Taste. Daehan publishing company. Seoul. p.76 

  12. Kheo KI, Rowe SJ, Lim HC. 2007.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i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9(2): 375-397 

  13. Kim EM, Seo SH, Kwon KH, Lee MA, Hong SP, Lee EJ 2010. Dining-out tendencies of foreign residents for meat dishe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5): 568-577 

  14. Kim JS. 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 J Food culture 20(5): 499-507 

  15. Kwak YW, Sun NY, Jeong HS. 2012.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among unma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28(3): 337-347 

  16. Kye SH, In YS. 1988. Food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1): 79-87 

  17.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 J Food culture 25(1): 9-16 

  18. Lee KJ, Cho MS, Lee JM. 2007.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from 1980 to 2005. Korean J Food culture 22(2): 289-298 

  19.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9(2): 283-291 

  20. Lim HJ, Lee IH, Suk WH, Lee JM, Choue RW.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o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6): 671-679 

  21. Park SJ, Kim DJ, Shin WS. 2012.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 with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6): 782-794 

  22. Shin SM.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traditional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Korean J food & Nutr 21(4): 515-522 

  23.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 J Food culture 20(3): 367-373 

  24. (사) 한국전통음식연구소. 2008. 아름다운 한국음식 300선. 한림문화사. 서울. pp.58-60, 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