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달래의 특성을 조사하여 농가의 소득증대 및 유전자원확보를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 5월까지 광역단위로 달래를 수집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달래의 특성분석은 달래가 지닌 특유의향기성분을 SPME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와 HaCaT, HepG2, HCT116, PC3 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를 보았으며, 우리나라에 자라는 달래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그 성분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달래에서는 총 42개의 향을 함유하고 있다고 나왔고 특히 탄화수소와 유기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달래의 높은 생리활성효과를 볼 때 향후에는 우리나라 특성화작물로써 달래를 중점적으로 육성시킬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0 to May 2012 to determine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s, biological activity and components of A. monanthum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The flavors of A. monanthum were extracted by SPME methods and it contained forty-two compounds that included mainly hyd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으로 SPME 방법으로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6개 지역에서 야생달래를 수집하여 지역별 품질특성 비교 및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보다 농업관련 산업의 육성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래의 향기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유의 풍미가 있는 천연 향신 채소인 달래의 고품질 화육성을 위하여 실시된 본 실험에서는 SPME 분석법에 의해 달래의 향기를 분석 하고,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과 HaCaT, HepG2, HCT116, PC3 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14개 지역에서 달래를 수집하여 지역별 성분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달래의 향기 성분에서는 탄화수소와 유기산 계열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왔고, 알코올류에서는 강한 휘 발성 향기이며 항산화효능으로 의학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성분인 cis-3-hexanol가 있어, 달래가 생체의 면역계 세포에 영향을 미쳐 면역력 을 높이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분획을 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로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라디컬 소거능과 FRAP value가 가장 높게 나왔고, 총페놀 함량은 물층에서 92.
달래의 효능은? 달래(Allium monanthum)는 백합과(Lillium) 에 속하는 다년생 알뿌리 식물로 독특한 향기와 맛으로 예로부터 널리 이용되어왔으며 살균, 지혈, 신경안정, 해독, 건위, 건뇌 작용으로 식용뿐 만이 아니라 약용으로도 이용 되어 왔고[2,3], 달래를 흰쥐에 투여했을 때 흰쥐의 식이 효율과 H 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을 증가시키고, 혈청총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감소시켜[4], 동맥경화증이나 당뇨병 등의 성인병예방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진한향기 계통의 달래품종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조약한 야생, 재래 수집달래를 재배하고 있는 실정으로 고품질 달래육성을 위하여 SPME(solid phase-micro extraction) 분석법에 의한 향기가 우수한 달래계통의 선발이 요구되고 있다.
14개의 지역에서 채집한 달래의 성분 함유는 어떻게 되는가? 마지막으로, 지역 간에 달래의 성분 함유 비교실험에서는 14개의 지역에서 채집한 달래의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재배 지역별 함량을 확보하였다. 열량 79~ 142 kcal/100g, 탄수화물 17~28 g/100g, 조단백 1~3g/100g, 조지방 0.53~1.87 g/100g, 수분 66~80%, 회분 0.7 3~1.4%, 조섬유 0.93~7.01 μg RE/100g, 비타민A 5~ 269 mg/100g, 비타민B 1 0.03~0.07 mg/100g, 비타민 B 2 0.02~0.0 mg/100g, 나이아신 0.06~0.26 mg/100g, 인 73~260 mg/100g, 칼슘 34~112 mg/100g, 칼륨 324~903 mg/100g, 철 2 ~19 mg/100g, 나트륨 1~19 mg/100g의 범위에 서 함유량을 확인하였고, 지역별로 그 수준이 매우 다양하게 나왔으며 재배지역에 따른 영양 조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B. Lee, C. K. Kim, J. Y. Oh, K. M. Kim. "Classification of Allium monanthum and A. grai by ISSR Marker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9(6), pp.600-609, 2011. 

  2.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In 'Encyclopedia of Chinese Drugs'. p.226, Shogakukan, Tokyo, Japan, 1985. 

  3. T. B. Lee, Coloured Flora of Korea. p.701-707, Hyangmunsa, Korean, 2006. 

  4. J. Y. Choi, I. S. Lee, C. song, "Effect of wild garlic on serum component of cholesterol fed rats",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9(1), pp.73-79, 1992. 

  5. Z. Penton, "Flavor volatiles in a fruit beverage with automated SPME". Food Test Anal, 2, pp.16-18, 1996. 

  6. Y. J. Kwon, J. G. Lee, K. Y. Deng, G. H. Lee, M. J. Oh, "The odor discriminent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pp.200-205, 1999. 

  7. H. S. Choi, E. J. Kang, K. H. Kim,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3, 108-114, 2006. 

  8.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pp.1199-1200, 1958. DOI: http://dx.doi.org/10.1038/1811199a0 

  9.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pp.1231-1237,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891-5849(98)00315-3 

  10. C. H. Jeong, G. N. Choi, J. H. Kim, J. H. Kwak, D. O. Kim, Y. J. Kim, H. J. Heo,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aerial par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Food Chem, 118, pp.278-28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09.04.134 

  11. O. Folin and W. Denis, "On phosphotungastic -phosohomd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pp. 239-249, 1912. 

  1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p.1-26,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2000. 

  13. H. M. Lee, B. M. Kwak, J. H. Ahn, T. H. Jeon, "A comparative study on quantifying uncertainty ofvitamin A determination in infant formula byHPLC", Korea J Food Sciand Technol, 40, pp.152-159, 2008. 

  14. A. Sims, D. Shoemaker, "Simultaneous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hiamin and riboflavin in selected foods", J AOAC Int'l, 76, pp.1156-1160, 1993. 

  15.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9th ed. Vol 1,2,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995. 

  16. C. L. Arthur, J. Pawliszyn, "Solid-phase microextraction with thermal desorption using fused silica optical fibers" Anal Chem, 62, pp.2145-2148, 1990. DOI: http://dx.doi.org/10.1021/ac00218a019 

  17. C. Arthur, L. M. Killam, K. D. Buchholz, J. Pawliszyn, Automation and optimization of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em, 64, pp.1960-1966, 1992. DOI: http://dx.doi.org/10.1021/ac00041a034 

  18. Z. Zhang, J. Pawliszyn,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em, 65, pp.1843-1852, 1993. DOI: http://dx.doi.org/10.1021/ac00062a008 

  19. I. F. Benzie, J. J. Strain,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 239, pp.70-76, 1996. DOI: http://dx.doi.org/10.1006/abio.1996.0292 

  20. JM. H. Yu, S. O. Lee, H. G. Im, H. J. Kim, I. S. Lee,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 (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Food Preservation, 11, pp.358-363, 2004. 

  21. J. H. Suh, O. J. Paek, Y. W. Kang, J. E. Ahn, J. S. Yun, K. S. Oh, Y. S. An, S. H. Park, S. J. Lee,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J Fd Hyg Safety, 28(4), pp.337-341, 2013. DOI: http://dx.doi.org/10.13103/JFHS.2013.28.4.337 

  22. H. I. Jun, Y. A. Kim, Y. S. Kim,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3), pp.381-388, 2014.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4.43.3.381 

  23. H. J. Jang, Y. S. Shim, D. W. Seo, J. B. Hwang, S. G. Lee, J. H. Ha,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lavors of Bamboo-shoot Vinegar", Korean Soc Food Sci Nutr, 45(6), pp.675-681, 2013. 

  24. J. D. Kim, O. H. Lee, J. S. Lee, K. Y. Park, "Antioxidative Effects of Common and Organic Ka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5), pp.668-674, 2014.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4.43.5.6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