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llium 속 식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by Water Extracts of Allium sp.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2, 2015년, pp.247 - 252  

찌아위엔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밍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인식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llium 속 식물인 달래, 대파, 양파의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활성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실험에 사용한 식물 물 추출물의 $IC_{50}$은 양파($IC_{50}=19.81mg/mL$) < 달래($IC_{50}=21.50mg/mL$) < 대파($IC_{50}=137.87mg/mL$)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도 양파($IC_{50}=7.67mg/mL$) < 달래($IC_{50}=8.17mg/mL$) < 대파($IC_{50}=11.88mg/mL$) 순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달래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43.03 mg/g)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양파(38.27 mg/g), 대파(30.01 mg/g) 순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파 물 추출물($IC_{50}=36.95mg/mL$) < 양파($IC_{50}=37.31mg/mL$) < 달래($IC_{50}=51.97mg/mL$) 순으로 대파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다음, elast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IC_{50}=298.37$ < 대파 $IC_{50}=323.75mg/mL$) < 양파($IC_{50}=367.21mg/mL$) 순으로 달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가열처리에 의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tyrosinase 저해 활성이 일반 실험군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elast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는 반대로 가열 처리한 실험군이 일반 실험군보다 현저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different Allium plants, including wild garlic (Allium monanthum Max; AMM), onion (Allium cepa L.; ACL) and green onion (Allium fistulosum L; AFL), have been widely used as spicy food in daily lif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wri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Allium 속 식물이 화장품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는 항산화, 미백효과 및 주름 제거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약하다 아울러 대부분의 화장품 개발은 천연물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성분에 관한 연구이며, 물 추출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는 Allium 속 식품인 달래, 대파, 양파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그들을 이용한 천연화장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defegha SA, Oboh G. 2011. Cooking enhance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African J Biotechnol 10:632-639 

  2. Blois MS. 1985.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UV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2:59-63 

  4.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4959-4964 

  5. Gang JE. 2011.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the 44 oriental medicines and their 132 organic fractions.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6. Giese AT. 1996. Glioma invas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Nereosurgery 39:235-252 

  7. Jin YZ, Li GH, Ahn SY, Kim EK, Row KH. 2006. Extraction and effect of whitening agents from Chinese plants. Anal Sci Technol 19:194-202 

  8. Jung JH. 2008. Experimental studies about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by various herb medicines. Master's Thesis, Kyungwon Univ, Korea 

  9. Kang KA, Jo SH, Koh YS, Kim JS, Hyun JW. 2005. Screening of anti-oxidants isolated from natural products on V79-4 hamster lung fibroblast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Kor J Pharmacogn 36:34-47 

  10. Kim JS, Kang G, Lee SJ. 1991. Oxygen free radical induced damage after ischemia and reperfusion in rat kidneys. J Korean Surg Soc 41:137-147 

  11. Kim SB, Kang JH, Lee YW, Kim IS, Park YH. 1987. The role of active oxygen on DNA damage by linoleic acid peroxidatio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311-316 

  12. Nieva MM,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13.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14. Son AR, Lee SJ. 2000. A survey of certifying the effectiveness and deficiency of whitening cosmetics. J Korean Soc Cosmetol 6:239-254 

  15. Yang HS. 2002. Functional properties of Kochujang added onion.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Suncheon, Korea 

  16. Zohri AN, Abdel-Gawad K, Saber S. 1995. Antibacterial, antidermatophytic and antitoxigenic activities of onion (Allium cepa L.) oil. Microbiol Res 150:167-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