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10개 댐저수지 인공습지의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Opera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en Wetlands Constructed in Dam Reservoi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3, 2014년, pp.431 - 440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이요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10개 댐저수지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수심분포, 유입량 및 유출량, 물흐름분포, 체류시간, 수처리효율, 종횡비, 개방수역/폐쇄수역 구성비 등 습지의 운영현황 및 구조적 형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개선대책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 인공습지의 처리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 또는 하천수였으며, 처리수의 수질은 외국의 인공습지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리수의 BOD는 모든 습지에서 3 mg/L 이하로 매우 낮았는데, 이는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 및 평수기 저농도 하천수 취입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수처리효율은 TN이 7.6~67.6%(평균 24.9%), TP가 -4.9~74.5%(평균 23.7%)의 범위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처리수로 하는 인공습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BOD는 -133.3~41.7% 범위로 습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 습지에서 처리효율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습지의 낮은 처리효율은 습지의 부적합한 종행비, 과도한 개방수역 면적 등의 구조적인 문제와 수위관리 미흡, 초기우수 취입시스템 및 운영관리 미흡, 강우시 모니터링 부재 등의 운영적인 문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댐저수지 인공습지가 비점오염 저감시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댐저수지 인공습지에 적합한 습지설계 및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습지 운영매뉴얼에 비점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강우시 모니터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댐저수지 인공습지의 수처리효율도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토대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pose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plans to strengthen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dam reservoir's constructed wetlands(CWs), the operation status and configuration of CWs (including water depth, operational flow, water flow distribution, residence time, and pollutant removal effi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댐저수지 상류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및 하수처리장 유출수 처리를 목적으로 조성되어 운영 중인 10개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의 구조적인 측면과 운영관리 측면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환경부에서 제작한 것은? 근래들어 공공수역의 수질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환경부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오염기여도 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비점오염원 관리요령(MOE, 2000),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매뉴얼(MOE, 2008),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비점오염원 최적관리지침(MOE, 2012) 마련 등 비점오염원 관리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설치 대상지역의 토지이용 특성, 물리적 제한요인, 기후 및 유역특성, 유지관리 용이성, 비용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는데(MOE, 2008), 국내 상수원 댐저수지의 경우는 대부분 상류하천 유입부에 인공습지가 조성․운영되고 있다.
습지설계 시 수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할 요인은? 인공습지의 수처리 효율은 습지의 형태, 수심, 물흐름분포, 식재식물의 종류, 토양환경, 처리수의 특성, 조성지의 입지상황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USEPA, 2000), 인공습지를 조성하기 위한 설계 또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조성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 댐저수지의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약 90여개의 인공습지가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많은 인공습지가 관리소홀과 운영경험 미숙 및 부재로 인해 효율적인 운영이 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YSRSC, 2009).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선정 요인은? 근래들어 공공수역의 수질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환경부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오염기여도 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비점오염원 관리요령(MOE, 2000),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매뉴얼(MOE, 2008),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비점오염원 최적관리지침(MOE, 2012) 마련 등 비점오염원 관리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설치 대상지역의 토지이용 특성, 물리적 제한요인, 기후 및 유역특성, 유지관리 용이성, 비용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는데(MOE, 2008), 국내 상수원 댐저수지의 경우는 대부분 상류하천 유입부에 인공습지가 조성․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DH, Choi, K, Kim SW, Oh, YT, Kim, DS, Joh, SJ, Park, JC (2007). Water flow distribution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le materials in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J. of KSEE, 29(4), pp. 425-437.[Korean Literature] 

  2. Choi, DH, Choi, K, Kim, DS, Kim SW, Choi, DH, Hwang, IS, Lee, YK, Kang, H (2008). Temporal and spacial distributions of water quality and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J. of KSEE, 30(10), pp. 1013-1020.[Korean Literature] 

  3. Choi, DH, Kang, H, Choi, K (2010).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ihwa constructed wetland, J. of Wetlands Research, 12(2), pp. 25-33.[Korean Literature] 

  4. Kang, HJ, Song, KY (2004). 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6(2), pp. 57-63. [Korean Literature] 

  5. K-water (2006) Improvement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of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K-water. 

  6. MAFRA, KRC (2004). Design and Management Points of Constructed Wetland for improving the agricultural water, Ministry of Agricultue, Fodd and Rural Affair(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7. Moshiri, GA (1993).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RC Press Inc., Lewis Publishers, London, pp. 35-58. 

  8. MOE (2008). Manual for Instal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ants reduction facilities, Ministry of Environment(MOE). 

  9. MOE (2012). Guideline for Non-point Sources Management in TMDL Development Plan, Ministry of Environment(MOE). 

  10. NADB (1993). Electronic Database Created by R. Knight, R.Ruble, R. Kadlec, and S. Reed for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io. 

  11. Nakamaura, K, Chiba, T, Sato, K, Morita, Y, Hosomi, M, Tanaka, S (2002) "A survey of construction wetlands in Japan," in Proceeding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tland System for Water Pollution Control, 1, pp. 1128-1132. 

  12. Nam, GS (2003). Biological purification and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of an agricultural reservoir, Ph.D.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Korea. [Korean Literature] 

  13. Park, JS, Kim, KS, Kim, YC, Rhee, KH (2012).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es of water quality for 5 years in constructed wetland to upper region of water source, J. of Wetlands Research, 14(4), pp. 479-488.[Korean Literature] 

  14. UDI (2010).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Hyoiya Constructed Wetland, Ulsan Development Institute(UDI). 

  15. USDA (200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Part 637: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pter 3 Wetland Construction, USDA, Washington, pp. 41-43. 

  16. USEPA (2000). Design Manual; Constructed Wetlands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s, U.S. EPA 625/R-99/010, Cincinnati, Ohio, pp. 12-20. 

  17. YSRSC (2009). Alternative of Optimum Management and Analysis of Removal Efficiency for Treating the Wastewater in Constructed Wetland to Upper Region of Juam Lake. Yongsan-Somjin River System Commission(SRS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