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속도로에서 야생동물 로드킬에 관한 시공간 추이 분석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n Wildlife Road-kills on Highway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1 no.4, 2014년, pp.282 - 287  

이경주 (한국교통대학교 건설교통대학 도시공학과) ,  탁종훈 (한국도로공사 녹색환경처) ,  박선일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및 동물의학종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gative impacts of roads on wildlife mortality have been well documented, an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mpact is wildlife-vehicle collisions (WVCs) in most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While road impacts on wildlife are a truly global concern with a large socio-economic cost, few resea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WVC에 대한 연구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2,4,5,10,11)나 특정 도로와 축종(3,7,8,9,12)에 국한되어 있어 교통사고와 관련한 전반적인 특성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전국 단위 고속국도에서 WVC 발생률과 시공간적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고속국도에서 발생한 야생동물의 교통사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사고발생 추이와 경향과 사고다발 지점을 확인하며 도로의 교통량(traffic volume)과 연장(road length)을 보정한 표준화 발생률을 추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속국도에서 야생동물 교통사고의 발생양상과 추이를 분석하고, 도로의 교통량과 연장을 보정한 노선별 발생밀도를 추정하고자 수행되었다. 2008 - 2012년 기간 동안 총 10,940개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연간 평균 2,188개체, 매주 주행거리 8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생동물 보호와 고속도로 이용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어떤 노력과 대책이 필요한가? 이러한 사실은 속도규정을 초과하여 운행하는 습관(speed spillover)이 교통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므로(27) 현행 우리나라 고속도로에서의 속도규정이 적절한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야생동물 보호와 함께 고속도로 이용자의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서 생태통로 개설, 도로 진입 방지용 유도울 타리 및 야생동물 출현 경고판 설치, 속도한계 규정, 유도식재, 야생동물 은신처 조성, 생태이동통로 모니터링 등 도로와 주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교통사고와 관련된 도로의 교통량, 운전자, 기상, 차량 속도(vehicular speed), 도로 및 지형 유형, 야생동물의 공간적 분포와 습성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WVC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로드킬이란? 또한 일정한 공간 내에서의 먹이가 부족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고라니와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등 생태계가 불안정하여 결과적으로 인간의 편익을 저하시키는 악순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로 확장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야생동물과 차량의 충돌에 기인한 교통사고(wildlife-vehicle collision, WVC) 즉 로드킬(road-kill)이라고 할 수 있다.
2008년부터 2012년 간 고속국도에서 발생한 야생동물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는 어느 야생동물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가? 2%)이 상대적으로 높았다(Table 1, Fig 1). 사고로 인한 피해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가 79.7%로 가장 높았으며,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토해양부. 2013 도로업무편람(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50- 0000-001480-10). 2013; 1-383. 

  2. 김귀곤, 최준영, 손삼기. 단편화된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야생동물 이동토로의 조성-대상지 선정 및 조성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00; 28: 70-82. 

  3. 민지홍, 한갑수. 오대산 국립공원의 야생동물 로드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0; 24: 46-53. 

  4. 박종준, 우동걸, 오태헌, 박종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도시 내 삵 이동통로 적지선정. 한국조경학회지 2012; 40: 92-99. 

  5. 송정석, 이경재, 기경석, 전의요. 포유류 로드킬 저감을 위한 고속도로 유도울타리 효율성 및 개산방안 연구-중앙고속도로 만종-홍천 구간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1; 25: 649-657. 

  6. 신수안, 안동만. 야생동물사고사 자료 수집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07; 10: 1-7. 

  7. 신수안, 안동만. 고속도로 생태통로 위치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08; 11: 19-27. 

  8. 이상돈. 조희선, 김종근. 우리나라 야생동물의 도로치사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004; 13: 21-31. 

  9. 이용욱, 이명우. 목표종 생태통로 위치선정-포유류 Road-kill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06; 9: 51-58. 

  10. 이진영, 노백호, 이장원. AHP기법을 활용한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기능개선을 위한 평가항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0; 24: 763-771. 

  11. 정양권, 최재호, 최석원. 로드킬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2010; 5: 575-580. 

  12. 최태영, 박종화. 토지이용 유형에 따른 포유류 로드킬 발생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006; 34: 52-58. 

  13. Barthelmess EL, Brooks MS. The influence of body-size and diet on road-kill trends in mammals Biodivers Conserv 2010; 19: 1611-1629. 

  14. Bueno C, Faustino MT, Freitas SR. Influence of ladscape characteristics on capybara road-kill on highway BR-040, southeastern Brazil. Oecologia Aust 2013; 17: 320-327. 

  15. Clevenger AP, Chruszcz B, Gunson KE. Spatial patterns and factors influencing small vertebrate fauna road-kill aggregations. Biol Conserv 2003; 109: 15-26. 

  16. Cochran WG. Some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common chi-square tests. Biometrics 1954; 10: 417-451. 

  17. Gonzalez RP, Cummings GR, Phelan HA, Harlin S, Mulekar M, Rodning CB. Increased rural vehicular mortality rates: roadways with higher speed limits or excessive vehicular speed? J Trauma. 2007; 63: 1360-1363. 

  18. Groot Bruinderink G, Hazebroek E. Ungulate traffic collisions in Europe. Conserv Biol 1996; 10: 1059-1067. 

  19. Gunson KE, Mountrakis G, Quackenbush LJ. Spatial wildlifevehicle collision models: a review of current work and its application to transportation mitigation projects. J Environ Manage. 2011; 92: 1074-1082. 

  20. Hubbard MW, Danielson BJ, Schmitz RA. Factors influencing the location of deer-vehicle accidents in Iowa. J Wildl Manage 2000; 64: 707-712. 

  21. Huijser MP, Duffield JW, Clevenger AP, Ament RJ, McGowen PT. Cost-benefit analyses of mitigation measures aimed at reducing collisions with large ungulat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decision support tool. Ecol Soc 2009; 14: 15, 2009. 

  22. Joyce TL, Mahoney SP.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moose-vehicle collisions in Newfoundland. Wildl Soc Bull 2001; 29: 281-291. 

  23. Puglisi MJ, Lindzey JS, Bellis ED. Factors associated with highway mortality of white-tailed deer. J Wildl Manage 1974; 38: 799-807. 

  24. Ramp D, Wilson VK, Croft DB. Assessing the impacts of roads in peri-urban reserves: road-based fatalities and road usage by wildlife in the Royal National Park, New SouthWales, Australia. Biol Conserv 2006; 129: 348-359. 

  25. Saeki M, MacDonald DW. The effects of traffic on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viverrinus) and other mammals in Japan. Biol Conserv 2003; 118: 559-571. 

  26. Seiler A, Helldin JO. Mortality in wildlife due to transportation. In: Davenport J, Davenport JL (ed). The ecology of transportation: managing mobility for the environment. Springer, Dordrecht. 2006; 165-189. 

  27. Sullivan JM.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vehicle collisions in the United States. J Safety Res 2011; 42: 9-16. 

  28. Taylor BD, Goldingay RL. Roads and wildlife: impacts, mitigation and implications for wildlife management in Australia. Wildl Res 2010; 37: 1-12. 

  29. Williams AF, Wells JK. Characteristics of vehicle-animal crashes in which vehicle occupants are killed. Traffic Inj Prev 2005; 6: 56-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