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조경수목 식재 평가 및 평가등급 적용 방안 -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을 대상으로 -
Planting Evaluations for the Landscaping Tree and Application Plan by Assessment Grade in the City Park - A Case Study of Haedoji Park, Songdo, Incheo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4, 2014년, pp.457 - 471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조훈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의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적정성 검토, 식재구조 현황, 공간별 식재된 수목에 대해 형태평가와 생육평가를 통해 현재 식재되고 있는 조경수목의 형태 및 생육상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평가 적용 체계를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적정성 평가 결과 녹음기능이 필요한 공간 중 29.5%만 녹음식재지이었고, 58.7%는 시각적 경관식재지, 11.8%는 완충식재지이었다. 이는 시설물 중심 공간구성에 따른 식재면적 부족과 녹음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어린 수목을 식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 현황에서는 식재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각 식재개념에 따른 적정한 식재종, 식재 구조, 밀도, 규격, 생육상태 등을 고려한 식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경수목 평가 조사는 완충공간에서 22종 209주, 녹음공간에서 8종 71주, 시각적 경관공간에서 16종 266주, 생태적 경관공간에서 4종 54주로 총 28종 600주의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수목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목평가 결과 수목 형태평가 점수는 평균 56.6점, 수목 생육평가 점수는 평균 76.0점으로 평가되었다. 수목평가 점수는 모두 점수별로 등급화하였고 공간별, 수종별로 통계처리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공간기능별 수목 기준 도출 및 적정 식재개념을 적용하였다. 공간별 수목 형태평가 결과를 식재개념에 적용하면 완충식재는 기능성이 강조되므로 형태평가 등급이 가장 낮은 E등급, 생태적 경관식재는 다양성과 자연성이 강조되므로 D등급, 녹음식재는 이용성이 강조되므로 주간에서 분지된 가지의 높이를 고려한 수종 선택으로 C등급, 시각적 경관식재는 미적가치성이 강조되므로 A등급과 B등급을 각각 적용할 수 있었다. 공간별 수목 생육평가 결과를 식재개념에 적용해 보면 식재기반을 기준으로 양호와 불량으로 구분하여 완충식재, 시각적 경관식재, 생태적 경관식재에서는 생육평가 A등급부터 E등급까지 식재가 가능하였고, 녹음식재에서는 A등급부터 C등급까지 식재가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valuation scheme to improve the problems in tree shapes and tree growth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shape and growth assessments of landscape trees currently planted in Haedoji Park, Songdo, Incheon Metropolitan City after plant structure status and propriety review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경관공간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공간기능을 시각적 경관 공간, 생태적 경관공간, 완충공간, 녹음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시각적 경관공간은 아름다운 시각적 경관환경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공원의 특징을 표현하여 다른 공원과 차이가 나타나도록 조성하는 공간을 말한다. 세부 기준으로 공원의 상징성이 있는 입구공간, 기능보다 조성 시의 미적인 의도에 따라 경관이 연출된 공간이다.
조경수목은 어떤 추세로 변해가고 있는가? 국민 소득의 향상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경수목은 과거 양적으로만 채워 넣는 조경보다는 양질의 조경수목과 규격화된 품질의 조경식재를 선호하는 추세로 변해가고 있다(Kim and Kim, 1999). 또한 조경시장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조경공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조경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조경수목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다(Rho, 2009; Kim, 2009).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적정성 평가 결과 녹음기능이 필요한 공간 중 29.5%만 녹음식재지이었고, 58.7%는 시각적 경관식재지, 11.8%는 완충식재지이었는데 이는 왜 그런것인가? 8%는 완충식재지이었다. 이는 시설물 중심 공간구성에 따른 식재면적 부족과 녹음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어린 수목을 식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 현황에서는 식재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각 식재개념에 따른 적정한 식재종, 식재 구조, 밀도, 규격, 생육상태 등을 고려한 식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vasse, C.G.R.(1980) Planting stock quality: A review of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New Zealand Journal of Forestry 25(2):144-171. 

  2.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2005) Florida Grades and Standards.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 Division of Plant Industry. 

  3. Grossnickle, S.C., J.E. Major, J.T. Arnott and V.M. Lemay(1991) Stock quality assessment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New Forests 5:77-91. 

  4. Hackett, B.(1979). Planting design. E.& F. N. Spon Ltd, London. 174pp. 

  5. Han, b. h., J. H. Bae, J. S. Kim, K. J. Lee(2008) Planting characteristics of Pyeonghwa park in World Cup Park,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 4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S. H.(2003) A study on the green arrangement and planting method of neighborhood parks by the location and function in Gangnam-gu, Seoul. M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10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Incheon(2012) City park and green status. Incheon. 45pp. (in Korean) 

  8. Jang, J. H.(2008) A study on planting structure improvements considering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function in Asia-Park, Seoul. M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10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D. Y.(1999) Alternative models of Yangjae citizen's park in Seoul, Korea. M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9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 P.(2009) A study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landscape elements in apart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winning the award of landscape in S.M.C.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6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T. J., H. B. Kim(1999) Economic feasibility study : Study on the container versus traditional landscape tree production method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Vol. 31: 171-178. 

  12. Kim, T. Y.(2013) The detailed dimensions and quality assessment standards in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21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orea Forest Service(2007) Reasonable composition.management for landscape trees and improvement of production. distribution. Korea Forest Service. 216pp. (in Korean) 

  14. Lee, B. H.(2006) A study on the standardized form and its quality assessment of some landscape plants in Korea. MS thesis, Kyungwon Univ., Korea, 11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 J., B. H. Han(1998) Model of plant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plants community structure in Robinia pseudo - acacia forests , Buch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8-37. 

  16. Lee, K. J., J. I. Kwak, S. C. Park(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ape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of size for rational landscape tre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08(2): 106-109. 

  17. Lee, H. D.(2010) A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Factor of Landscape Plant.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12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isney, A and K. Fieldhouse(1990) Landscape desing guide: Volume 1 Soft landscae. Gower Technical, Hants, England, 168pp. 

  19.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20. Rho, S. K.(2009) A study on the value perception about Pinus densiflora o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Korea, 7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Ritchie, G.A.(1984) Assessing seedling quality. In M.L. Duryea and T.D. Landis (eds.) Forest Nursery Manual : Production of barefoot seedlings. Ch.23:243-259. 

  22. Robinson, N.(1992) Planting design handbook. Gower Publishing, Hampshire, England, 271pp. 

  23. Seoul(2000) A study on the set up standards of landscape trees shape. 2pp.(in Korean) 

  24. http:/ /www.freshfromflorida.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