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대형공원의 식재계획 전략 - 광주광역시 중앙근린공원을 사례로 -
Planting Design Strategy for a Large-Scale Park Based on the Region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Central Park in Gwangju, Kore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3, 2021년, pp.11 - 28  

김미연 (조경기술사사무소 지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형공원은 그 크기와 복잡한 특성 때문에 기존 도시 내에 조성되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또한, 대규모 부지에서의 식재설계 방법에 관한 실천적 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사례로 대형공원에서의 식재설계 접근방법과 생태적 이론이 실질적인 식재설계 방법으로 구체화 되는 과정을 설계가의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사한 규모의 공간 설계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식재설계의 선행과정으로서, 거시적인 스케일에서 녹지의 연결, 식생의 변화, 경관의 흐름, 오픈스페이스의 분포 등 공원 전체의 녹지구조를 계획하고, 나아가 녹지구조를 구성하는 식생형과 식물군락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식재 설계 단계에서 공간의 기능과 성격, 식재 연출효과 등 설계자의 의도와 해석을 담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의의는 대형공원의 복잡성과 규모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범주 내에서 설계를 진행함으로써 첫째, 기존 수림을 포함한 공원전체 경관의 시각적 일관성과 의도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대형공원이 지닌 변동가능성, 예측불가능성 등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녹지계획에 우선하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여 잠재된 서식처로서 습지와 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녹지구조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생형으로 구성되며, 녹지의 모양, 배치, 관계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식생형을 구성하는 식물군락의 특징과 목록도 제시하였다. 각 식물군락은 지역의 자연식생을 참고하여 군락의 구조를 모델화하였다. 특히, 이 모델은 특정식물군락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에 부합되는 군락을 개념화한 것이므로 식생형의 조건과 군락의 목표에 부합된다면 다른 식물군락도 이 모델에 적용하여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공원의 식재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 및 조류, 곤충 등을 위한 서식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둘째, 대상지내 기존 산림, 특히 조림 숲에 대한 관리 방안이 계획에서 배제되었으며, 셋째, 식물군락 모델계획은 기존의 식물사회학 연구를 참고하여 자연의 식물군락구조를 적용하였는데, 일부 식물군락의 경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its siz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it is not often to newly create a large park within an existing urban area. Also,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planting design methodologies for a large park.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ecological ideas can be applied to planting practic...

주제어

참고문헌 (46)

  1. Berrizbeitia, A.(2007) Re-placing Process. Large Parks, Translated by J. H. Pae. Paju:Jokyung Publishing Co. 

  2. Byeon, A. Y.(2004)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atershed Vegetation around Gwangju Stream, Korea.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3. Cho, W. and K. J. Lee(1998) Planting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and community planting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1): 70-82. 

  4. Choi, C. Y., H. Y. Nam, W. H. Hur, W. S. Lee, H. J. Kim and G. Y. Hwang(2006) Edge preference of forest-dwelling birds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9(3): 191-203. 

  5. Chun, J. H., H. J. Cho, H. M. Yang, H. Y. Lee, S. J. Yoon and K. H. Kim(2016) Korea's specific forest plant population I.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96. 

  6. Chun, J. H., H. J. Cho, H. M. Yang, H. Y. Lee, S. J. Yoon and K. H. Kim(2017) Korea's specific forest plant population II.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102. 

  7. Chun, J. H., H. J. Cho, H. M. Yang, H. Y. Lee, S. J. Yoon, M. S. Kim, J. S. Kim, C. W. Park and J. H. Lim(2018) Korea's specific forest plant population III.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108. 

  8. Chun, Y. M. and W. S. Lee(2009) Vegetation in Hwasun Area: Mudeungsan, Jongaksan, Cheonunsan, and Hwahaksan. Report of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9. Czeniak, j. and G. Hargreaves(2007) Large Parks, Translated by J. H. Bae. Paju:Jokyung Publishing Co. 

  10. Czeniak, j.(2007a) Legibility and Resilience. Large Parks, Translated by J. H. Pae. Paju:Jokyung Publishing Co. 

  11. Czeniak, j.(2007b) Introduction_Speculating on Size. Large Parks, Translated by J. H. Pae. Paju:Jokyung Publishing Co. 

  12. Dramstad, W., J. D. Olson, and R. T. Forman(1996) Landscape Ecology Principles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Use Planning. Washington D.C.: Island Press. 

  13. Han, B. H.(2000)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14. Hanyang Consortium(2019)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Central Park (District 1) Special Project in Gwagju-si(unpublished draft). 

  15. Hong, H. H., J. W. Jang, E. M. Sun, B. A. Kim, S. J. Kim, S. R. Seo, and H. T. Im(2013) Floristic study of Mt. Mudeu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2): 121-153. 

  16. Jung, H. R. and P. H. Roh(2006) Guidelines for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and natural survey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94-108. 

  17. Kim, C. H.(2013)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in the Yeongsan Riverine. The 2013 Environmental Survey Report for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System.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Water System Management Committee. 

  18. Kim, C. S. and J. G. Oh(199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Mt. Mudeung.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6(1):93-114. 

  19. Kim, J. S., Y. C. Cho, and K. H. Bae(2017)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formed by clear-cutting harvest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 1-9. 

  20. Kim, J. W.(2006a) Vegetation Ecology. Seoul: World Science. 

  21. Kim, J. W.(2016) Korean Plant Ecology 2. Seoul: Nature and Ecology. 

  22. Kim, J. Y.(2006b) The future of designers facing the era of undesign, In D. Kim, Y. Kim, J. Pae, Y, Lee, and K. Zoh, eds. Landscape Architecture.Aesthetics.Design. Seoul: Jogyeong Press. 

  23. Kim, J. Y.(2007)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for the Urban Green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iddle Temperate Zones,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24. Kim, M. K. and W. K. Sim(2010) Suggestions for mulyi-layer planting model in Seoul area based on a cluster analysi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106-127. 

  25. Kim, N. C.(1998)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disturbed landscap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 28-44. 

  26. Kim, S. Y. and D. B. Cho(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rge urban parks considering long-term unexecuted conditions. 2011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pp. 3-6. 

  27. Kim, T. H.(201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in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Master Thesis. Honam University. 

  28. Korea Forest Service(2007) Standard Textbook for Afforestation: IX. Afforestation by Forest Function. Research Report 15.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9. Kwon, J. O.(1997) A Study on the Ecological Planting Models by the Analysis on the Natural Vegetation in Middle District, Ko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30. Lee, J. B. and K. K. Shim(1998) A study on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urban public park in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19-228. 

  31. Lee, J. H.(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Namhae-gun. Ph. D.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32. Lee, O. H. and K. J. Lee(1999)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34-48. 

  33. Lee, S. M.(200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n View of "Design Media" with a Reference to Competition Entri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4. Lim, D. O.(2010)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the Influences of Climate Change on Natural Ecosystem in Gwangju-si. Gwangju Green Environment Center Research Report(10-1-90-94). 

  35. Lister, N. M.(2007). Sustainable Large Parks Ecological Design or Designer Ecology. Large Parks, 35-57. Translated by J. H. Pae. Paju: Jokyung Publishing Co 

  36. Morrison, D.(2004). A methodology for ecological landscape and planting design-site planning and spatial design. In D. Nigel and J. Hitchmough eds., The Dynamic Landscape: Design, Ecology and Management of Naturalistic Urban Planting. London: Taylor & Francis. pp. 150-159. 

  37. Moun, G. S., C. Y. Kim, Y. J. Cho, and H. S. Kim(2017)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Pyeongdume wetland in the Mudeu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8(2): 106-120. 

  38. Oh, C. H., W. J. Jeong, I. K. Lee, M. K. Kim, and E. H. Park(2012) A study on optimum tree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140-147. 

  39. Park, S. H. and J. H. Pae(2011) Issues in contemporary large park design. 2011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pp. 55-58. 

  40. Park, S. H. and J. H. Pae(2012) Paradigm of large parks and enlargement of Korean Parks. 2012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pp. 52-55. 

  41. Park, S. H. and J. H. Pae(2013) A critical analysis of large parks design in Korea with a perspective of contemporary design issue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6: 65-80. 

  42. Shin, H. T. and Y. S. Kim(1998) Study on the size of plant community in fragmented habita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2): 147-155. 

  43. Turner, M. G.(1989) Landscape ecology: the effect of pattern on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0: 171-197. 

  44. http://www.climate.go.kr/home/ 

  45. https://www.law.go.kr/ 

  46. https://www.kbr.go.k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