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Glycemic Index (GI)와 혈당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ugar mixture on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4, 2014년, pp.229 - 235  

경명옥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최한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상원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이경선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조성은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서승우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최근범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양창근 ((주)TS 푸드앤시스템) ,  유상호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설탕에 적용하여 임상시험을 통해 자일로올리고당 첨가량에 따른 설탕의 GI 저감효과와 혈당저감효과를 확인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를 대상으로 표준식품인 포도당과 비교하여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14% 함유한 Xylo 14과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20% 함유한 Xylo 20을 섭취 후 표준식품과 비교식품의 IAUC를 통해 GI를 산출한 결과 Xylo 14는 $60.0{\pm}23.5$로 Medium GI 식품으로 나타났으며, Xylo 20은 $54.3{\pm}17.7$로 Low GI 식품으로 나타났다. 순수한 설탕의 GI 68과 비교하면 각각 11.8%와 20.1% 혈당상승 저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AUC는 15~90분까지 모든 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Xylo 14와 Xylo 20은 혈당 저감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7~10 g 이상 섭취하면 자일로올리고당의 1일 유효섭취량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설탕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xyloologosaccharide (XOS)-sugar mixture on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in human subjects. Methods: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rose with 14% xyloologosacchari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피험자 선정 기준을 통과한 12명의 피험자는 12시간 금식 및 금주상태로 임상시험에 참여하였고, 혈당 측정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험 전 날 식이를 평소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피험자의 혈당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 식품 섭취 전 30분과 0분에 혈당을 측정하여 차이가 5 mg/dl 미만인 경우에 시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설탕에 적용하여 임상시험을 통해 자일로올리고당 첨가량에 따른 설탕의 GI 저감효과와 혈당저감효과를 확인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를 대상으로 표준식품인 포도당과 비교하여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14%함유한 Xylo 14과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20% 함유한 Xylo 20을 섭취 후 표준식품과 비교식품의 IAUC를 통해 GI를 산출한 결과 Xylo 14는 60.
  •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기준에 준하여 표준식품 (glucose)과 비교식품 (Xylo 14, Xylo 20)의 섭취에 따른 혈당상승의 변화를 측정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탕의 감미도 및 기능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탕을 80% 이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자일로올리고당을 첨가하여 만든 기능성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GI와 식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란?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는 식후 탄수화물의 흡수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표준식품과 비교식품을 유용성 탄수화물 기준으로 동량 섭취하고, 혈당의 반응 정도를 수치화 한 것이다.9 GI 수치가 70 이상이면 High GI, 56~69이면 Medium GI, 55 이하이면 Low GI 식품으로 분류한다.
자일로올리고당이 다른 올리고당과 다른 점은? 20 자일로올리고당은 자연적으로 과일, 야채, 대나무, 꿀, 우유 등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다른 올리고당에 비해 하루에 0.7~7.5 g의 비교적 적은 양으로 유효섭취량을 충족시키며 장내 유익균 증식, 유해균 억제 및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원료로 등록되어 있다.21 자일로올리고당은 사람의 위나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으며11 체내로 흡수되어 에너지 원으로 이용될 수 없어 소장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혈당저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체 감미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2012년 세계 설탕 생산량은 약 176백만 톤으로 설탕의 소비량과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대체 감미료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2 대체 감미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포도당, 과당, 고과당 등의 전분당과 사카린, 아스파탐, 아세설팜K,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고감미 감미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설탕의 관능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oo H, Kim 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2008; 41(6): 510-517. 

  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Sugar: world markets and trad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2013. 

  3. Bae YJ, Bak YK, Kim B, Kim MS, Lee JH, Sung MK.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Nutr Res Pract 2011; 5(6): 533-539. 

  4. Ferder L, Ferder MD, Inserra F. The role of high-fructose corn syrup in metabolic syndrome and hypertension. Curr Hypertens Rep 2010; 12(2): 105-112. 

  5. Yang Q. Gain weight by "going diet?" Artificial sweeteners and the neurobiology of sugar cravings: Neuroscience 2010. Yale J Biol Med 2010; 83(2): 101-108. 

  6. Swithers SE. Artificial sweeteners produce the counterintuitive effect of inducing metabolic derangements. Trends Endocrinol Metab 2013; 24(9): 431-441. 

  7. Prudel M, Davidkova E, Davidek J, Kminek M. Kinetics of decomposition of aspartame hydrochloride (Usal) in aqueous solutions. J Food Sci 1986; 51(6): 1393-1397. 

  8. Kim WJ, Chung NY.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rmal stability of aspartam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 28(2): 311-315. 

  9.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1981; 34(3): 362-366. 

  10. Willett W, Manson J, Liu 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02; 76(1): 274S-280S. 

  11. Brand-Miller JC, Holt SH, Pawlak DB, McMillan J. Glycemic index and obesity. Am J Clin Nutr 2002; 76(1): 281S-285S. 

  12. Miller JC. Importance of glycemic index in diabetes. Am J Clin Nutr 1994; 59(3 Suppl): 747S-752S. 

  13. Hodge AM, English DR, O'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14. Park S, Woo MH, Choue R. Dietary quality and self-management status according to the glycemic control in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Korean J Food Nutr 2008; 21(4): 530-535. 

  15.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2005; 18(1): 145-171. 

  16. Krog-Mikkelsen I, Hels O, Tetens I, Holst JJ, Andersen JR, Bukhave K. The effects of L-arabinose on intestinal sucrase activity: doseresponse studies in vitro and in humans. Am J Clin Nutr 2011; 94 (2): 472-478. 

  17. Moon S, Lee K, Kyung M, Jung S, Park Y, Yang CK. Study on the proper D-xylose concentration in sugar mixture to reduce glycemic index (GI) value in the human clinical model. Korean J Food Nutr 2012; 25(4): 787-792. 

  18. Lee K, Moon S, Jung S, Park YJ, Yoon S, Choe K, Yang C. Glycemic index of sucrose with D-xylose (XF) in humans. Curr Top Nutraceutical Res 2013; 11(1/2): 35-40. 

  19. Makelainen H, Juntunen M, Hasselwander O. Prebiotic potential of xylo-oligosaccharides. In: Charalampopoulos D, Rastall RA, editors. Prebiotics and Probiotics Science and Technology. New York : Springer Verlag; 2009. p.245-258. 

  20. Imaizumi K, Nakatsu Y, Sato M, Sedarnawati Y, Sugano M.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 on blood glucose, serum and liver lipids and cecum short-chain fatty acids in diabetic rats. Agric Biol Chem 1991; 55(1): 199-205.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Xylooligosaccharide [Internet]. Cheongw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cited 2014 Apr 21].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hfoodi/main/sub.jsp?pageCode260&viewTypeview&search TypestrSubject&keyword&pageStr9&intIdx329. 

  22. Crittenden R, Karppinen S, Ojanen S, Tenkanen M, Fagerstrom R, Matto J, Saarela M, Mattila-Sandholm T, Poutanen K. In vitro fermentation of cereal dietary fibre carbohydrates by probiotic and intestinal bacteria. J Sci Food Agric 2002; 82(8): 781-789. 

  23. Wolever TM, Vorster HH, Bjorck I, Brand-Miller J, Brighenti F, Mann JI, Ramdath DD, Granfeldt Y, Holt S, Perry TL, Venter C, Xiaomei Wu. Determination of the glycaemic index of foods: interlaboratory study. Eur J Clin Nutr 2003; 57(3): 475-482. 

  24. NeoNutra Co., Ltd. Clinical study report (Protocol No.: Xy1 T). Randomized, open-label, single-dose and crossover clinical study to measure of glycemic index of XylooloigoSugar and Xylooligo Sweet on healthy adults. Seoul: NeoNutra Co., Ltd.; 2013.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Korean food standards codex [Internet]. Cheongw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cited 2014 Jul 20].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 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26. 

  26. Wolever TM, Jenkins DJ. The use of the glycemic index in predicting the blood glucose response to mixed meals. Am J Clin Nutr 1986; 43(1): 167-172. 

  27.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28. Roberts SB. High-glycemic index foods, hunger, and obesity: is there a connection? Nutr Rev 2000; 58(6): 163-169. 

  29. Ludwig DS. Dietary glycemic index and obesity. J Nutr 2000; 130 (2S Suppl): 280S-283S. 

  30. Oba S, Nagata C, Nakamura K, Fujii K, Kawachi T, Takatsuka N, Shimizu H. Dietary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intake of carbohydrate and rice in relation to risk of mortality from stroke and its subtypes in Japanese men and women. Metabolism 2010; 59(11): 1574-1582. 

  31. Shibanuma K, Degawa Y, Houda K. Determination of the transient period of the EIS complex and investigation of the suppressi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L-arabinose in healthy adults. Eur J Nutr 2011; 50(6): 447-453. 

  32. Seri K, Sanai K, Matsuo N, Kawakubo K, Xue C, Inoue S. Larabinose selectively inhibits intestinal sucrase in an uncompetitive manner and suppresses glycemic response after sucrose ingestion in animals. Metabolism 1996; 45(11): 1368-1374. 

  33. Preuss HG, Echard B, Bagchi D, Stohs S. Inhibition by natural dietary substances of gastrointestinal absorption of starch and sucrose in rats and pigs: 1. Acute studies. Int J Med Sci 2007; 4(4): 196-202. 

  34. Yuasa H, Kuno C, Watanabe J. Comparative assessment of Dxylose absorption between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J Pharm Pharmacol 1997; 49(1): 26-29. 

  35. Kabel MA, Kortenoeven L, Schols HA, Voragen AG. In vitro fermentability of differently substituted xylo-oligosaccharides. J Agric Food Chem 2002; 50(21): 6205-6210. 

  36. Grootaert C, Delcour JA, Courtin CM, Broekaert WF, Verstraete W, Van de Wielea T. Microbial metabolism and prebiotic potency of arabinoxylan oligosaccharides in the human intestine. Trends Food Sci Technol 2007; 18(2): 64-71. 

  37. Livesey G, Tagami H. Interventions to lower the glycemic response to carbohydrate foods with a low-viscosity fiber (resistant maltodextrin):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2009; 89(1): 114-125. 

  38. Lee MY, Kim MK, Shin JG, Kim SD. Dietary effect of hemicellulose from soy fiber on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cont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7): 1119-1125. 

  39. Park MY, Kim KH, Jeong KS, Kim HA.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sea tangle on the renal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 2007; 22(1): 140-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