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일로올리고당 함유비율이 다른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혈당지수와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xylooligosaccharid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5, 2015년, pp.398 - 406  

남혜경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경명옥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서승우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정상원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8주 동안 건강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탕과 자일로 올리고당 함유비율이 다른 설탕 2종의 혈당 반응을 통한 GI를 비교하여 혈당 저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설탕의 GI는 68.9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의 GI와 유사하였다. Xylo 7 (Xylooligosaccaride X2~X7 7% 함유), Xylo 10 (Xylooligosaccaride X2~X7 10% 함유)은 포도당이나 설탕에 비해 섭취 후 최대 혈당 상승량이 낮았으며, Xylo 7과 Xylo 10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대 혈당 상승량이 적었다. Xylo 7와 Xylo 10의 GI는 각각 54.7, 52.5으로 모두 저GI식품에 해당하여 일반 설탕과 비교하여 혈당상승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체지방률이 높을수록 Xylo 10의 섭취는 GI를 더 낮추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일로올리고당 유효성분 X2~X7을 함유한 설탕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건강 기능성을 갖춘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crose containing 2 different levels of xylooligosaccharide on the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Methods: Healthy adults (4 male participants and 6 female participants, n = 10) were randomized to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의 함유 비율을 달리한 설탕의 섭취가 혈당변화 및 혈당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혈당지수에 영향을 주는 자일로올리고당의 첨가 적정농도 및 혈당지수 관련 건강기능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일로올리고당은 무엇의 가수분해과정에서 얻어지는가? 13 기능성 올리고당은 난소화성 물질로 자일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이들 올리고당은 장내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다당류로 β-glycoside결합에 의해 포도당, 갈락토 오스, 과당 같은 단당류가 2~9개 정도를 포함한 감미를 지닌 수용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14 자일로올리고당은 식물의 헤미셀룰로오스의 주요 구성성분인 xylan을 가수분해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올리고당으로 자일로오스 2~7개가 β-1,4 결합으로 구성된 올리고당이다. 자일로올리고당의 감미도는 설탕의 40%정도이며, 식품의 pH가 산성이거나 가열처리 공정 시에도 다른 올리고당 보다 분해되는 정도가 낮아서 내열성과 보존성이 우수하고, 비피도박테리아의 증식인자로 작용하는 유효첨가량이 1일 0.
기능성 올리고당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첨가당의 과잉섭취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설탕의 사용 및 섭취를 줄이려는 경향과 함께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설탕이 갖는 부정적인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칼로리 저하, 충치예방, 저GI 감미료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3 기능성 올리고당은 난소화성 물질로 자일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이들 올리고당은 장내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다당류로 β-glycoside결합에 의해 포도당, 갈락토 오스, 과당 같은 단당류가 2~9개 정도를 포함한 감미를 지닌 수용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14 자일로올리고당은 식물의 헤미셀룰로오스의 주요 구성성분인 xylan을 가수분해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올리고당으로 자일로오스 2~7개가 β-1,4 결합으로 구성된 올리고당이다.
낮은 혈당지수의 식품을 섭취했을 때 제 2형 당뇨와 같은 질환 위험도를 줄여줄 수 있다고 여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 2형 당뇨 환자들이 GI가 낮은 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혈당과 관련된 지표들이 개선되고, 혈관합병증 등의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 또한 고GI 식품을 섭취하면 식욕이 촉진되고 인슐린 분비가 많아져 비만의 위험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GI 식품을 섭취할 경우 혈당이 천천히 상승하여 인슐린 반응이 낮아져 비만이나 제 2형 당뇨와 같은 질환의 위험도를 줄여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22 따라서 GI가 낮은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설탕을 보다 건강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능성 대체 감미료 올리고당에 대한 여러 측면의 연구도 진행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ray GA, Nielsen SJ, Popkin BM. Consumption of high-fructose corn syrup in beverages may play a role in the epidemic of obesity. Am J Clin Nutr 2004; 79(4): 537-543. 

  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ood balance sheet 2012.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3. 

  3. Song S, Lee JE, Song WO, Paik HY, Song Y. Carbohydrate intake and refined-grain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J Acad Nutr Diet 2014; 114(1): 54-62. 

  4. Shin HL. Consumer attitude survey: beverage purchasing behaviors and preference [dissertation]. Seoul: Sejong University; 2010. 

  5. Latulippe ME, Skoog SM. Fructose malabsorption and intolerance: effects of fructose with and without simultaneous glucose ingestion. Crit Rev Food Sci Nutr 2011; 51(7): 583-592. 

  6. Chen MS, Kao CS, Chang CJ, Wu TJ, Fu CC, Chen CJ, Tai TY.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iabetic retinopathy among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subjects. Am J Ophthalmol 1992; 114(6): 723-730. 

  7.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2010; 121(11): 1356-1364. 

  8. Yoo H, Kim 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2008; 41(6): 510-517. 

  9. Colditz GA, Manson JE, Stampfer MJ, Rosner B, Willett WC, Speizer FE. Diet and risk of clinical diabetes in women. Am J Clin Nutr 1992; 55(5): 1018-1023. 

  10. de Koning L, Malik VS, Rimm EB, Willett WC, Hu FB. Sugarsweetened and artificially 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men. Am J Clin Nutr 2011; 93(6): 1321-1327. 

  11. Salmeron J, Manson JE, Stampfer MJ, Colditz GA, Wing AL, Willett WC.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JAMA 1997; 277(6): 472-477. 

  12. Dallongeville J, Charbonnel B, Despres JP.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cardiometabolic risk. Presse Med 2011; 40(10): 910-915. 

  13. Alonso S, Setser C. Functional replacements for sugars in foods. Trends Food Sci Technol 1994; 5(5): 139-146. 

  14. Fiordaliso M, Kok N, Desager JP, Goethals F, Deboyser D, Roberfroid M, Delzenne N. Dietary oligofructose lowers triglycerides,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in serum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of rats. Lipids 1995; 30(2): 163-167. 

  15. Lee OS, Rhee IK. The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with microbial xylanase. Food Ind Nutr 2001; 6(1): 21-24. 

  16. Akpinar O, Erdogan K, Bostanci S. Enzymatic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 from selected agricultural wastes. Food Bioprod Process 2009; 87(2): 145-151. 

  17. Hsu CK, Liao JW, Chung YC, Hsieh CP, Chan YC. Xyl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affect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precancerous colonic lesion development in rats. J Nutr 2004; 134(6): 1523-1528. 

  18. Moon SH, Lee KS, Kyung MG, Jung SW, Park YJ, Yang CK. Study on the proper D-xylo concentration in sugar mixture to reduce glycemic index (GI) value in the human clinical model. Korean J Food Nutr 2012; 25(4): 787-792. 

  19. Kyung M, Choe H, Jung S, Lee K, Jo S, Seo S, Choe K, Yang CK, Yoo SH, Kim Y.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ugar mixture on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J Nutr Health 2014; 47(4): 229-235. 

  20.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1981; 34(3): 362-366. 

  21. Willett W, Manson J, Liu 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02; 76(1): 274S-280S. 

  22. Brand-Miller JC, Holt SH, Pawlak DB, McMillan J. Glycemic index and obesity. Am J Clin Nutr 2002; 76(1): 281S-285S. 

  23. Wolever TM, Vorster HH, Bjorck I, Brand-Miller J, Brighenti F, Mann JI, Ramdath DD, Granfeldt Y, Holt S, Perry TL, Venter C, Xiaomei Wu. Determination of the glycaemic index of foods: interlaboratory study. Eur J Clin Nutr 2003; 57(3): 475-482. 

  24.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2005; 18(1): 145-171. 

  25.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26. Lee K, Moon S, Jung S, Park YJ, Yoon S, Choe K, Yang C. Glycemic index of sucrose with D-xylose (XF) in humans. Curr Top Nutraceutical Res 2013; 11(1/2): 35-40. 

  27. Venter CS, Vorster HH, Cummings JH. Effects of dietary propionate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healthy volunteers. Am J Gastroenterol 1990; 85(5): 549-553. 

  28. Lecerf JM, Depeint F, Clerc E, Dugenet Y, Niamba CN, Rhazi L, Cayzeele A, Abdelnour G, Jaruga A, Younes H, Jacobs H, Lambrey G, Abdelnour AM, Pouillart PR. Xylo-oligosaccharide (XOS) in combination with inulin modulates both the intestinal environment and immune status in healthy subjects, while XOS alone only shows prebiotic properties. Br J Nutr 2012; 108(10): 1847-1858. 

  29. Rodriguez-Cabezas ME, Camuesco D, Arribas B, Garrido-Mesa N, Comalada M, Bailon E, Cueto-Sola M, Utrilla P, Guerra- Hernandez E, Perez-Roca C, Galvez J, Zarzuelo A. The combin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resistant starch shows prebiotic additive effects in rats. Clin Nutr 2010; 29(6): 832-839. 

  30. Flickinger EA, Wolf BW, Garleb KA, Chow J, Leyer GJ, Johns PW, Fahey GC Jr. Glucose-based oligosaccharides exhibit different in vitro fermentation patterns and affect in vivo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dogs. J Nutr 2000; 130(5): 1267-1273. 

  31. Younes H, Coudray C, Bellanger J, Demigne C, Rayssiguier Y, Remesy C. Effects of two fermentable carbohydrates (inulin and resistant starch) and their combination on calcium and magnesium balance in rats. Br J Nutr 2001; 86(4): 479-485. 

  32. Seri K, Sanai K, Matsuo N, Kawakubo K, Xue C, Inoue S. L-arabinose selectively inhibits intestinal sucrase in an uncompetitive manner and suppresses glycemic response after sucrose ingestion in animals. Metabolism 1996; 45(11): 1368-1374. 

  33. Bae YJ, Bak YK, Kim B, Kim MS, Lee JH, Sung MK.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Nutr Res Pract 2011; 5(6): 533-539. 

  34. Alles MS, de Roos NM, Bakx JC, van de Lisdonk E, Zock PL, Hautvast GA. Consump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does not favorably affect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1999; 69(1): 64-69. 

  35. Sheu WH, Lee IT, Chen W, Chan YC.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08; 54(5): 396-401. 

  36. Chung YC, Hsu CK, Ko CY, Chan YC. Dietary intake of xylooligosaccharides improves the intestinal microbiota, fecal moisture, and pH value in the elderly. Nutr Res 2007; 27(12): 756-761. 

  37. Gobinath D, Madhu AN, Prashant G, Srinivasan K, Prapulla SG. Beneficial effect of xyl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r J Nutr 2010; 104(1): 40-47. 

  38. Yang J, Summanen PH, Henning SM, Hsu M, Lam H, Huang J, Tseng CH, Dowd SE, Finegold SM, Heber D, Li Z. Xylo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alters gut bacteria in both healthy and prediabetic adults: a pilot study. Front Physiol 2015; 6: 216. 

  39. Ebbeling CB, Ludwig DS. Treating obesity in youth: should dietary glycemic load be a consideration? Adv Pediatr 2001; 48: 179-212. 

  40.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osoi Y, Horiguchi H, Oguma E, Kayama F. Dietary glycemic index and load in relation to metabolic risk factors in Japanese female farmers with traditional dietary habits. Am J Clin Nutr 2006; 83(5): 1161-1169. 

  41. Salmeron J, Manson JE, Stampfer MJ, Colditz GA, Wing AL, Willett WC.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JAMA 1997; 277(6): 472-477. 

  42. Wolever TM, Jenkins DJ, Vuksan V, Jenkins AL, Wong GS, Josse RG. Beneficial effect of low-glycemic index diet in overweight NIDDM subjects. Diabetes Care 1992; 15(4): 562-564. 

  43. Joo GJ, Rhee IK, Kim SO, Rhee SJ. Effect of dietary xylooligosaccharide on indigestion and retarding effect of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4): 705-711. 

  44. Sahyoun NR, Anderson AL, Tylavsky FA, Lee JS, Sellmeyer DE, Harris TB;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8; 87(1): 126-1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