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총 당류 섭취실태 평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4, 2014년, pp.268 - 276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권성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연미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김도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이지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남지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박승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팀) ,  이순규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팀) ,  이혜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팀) ,  권오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팀) ,  김초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지원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량 평가를 위해,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에서 24시간 회상법을 활용한 식품섭취량 조사에 응답한 33,745명 (1세 이상)의 식품섭취량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미국 USDA의 SR 25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1,136종 식품의 당류 함량 분석자료, 그리고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시 내용 등을 활용하여 총 3,006종의 식품에 대한 총 당류 함량 DB를 구축하였다. 상기한 섭취량 데이터와 연계하여 우리 국민의 당류섭취량, 총 당류 에너지섭취비율과 주요 당류 급원식품을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량은 1인 1일 평균 61.4 g이었으며, 전체 섭취 에너지의 12.8%를 차지하였다. 이 중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된 당류는 35.0 g으로 총 에너지의 7.1%에 해당되었다. 연령층에 따라서는 청소년층 (12~18세, 69.6 g)과 청년층 (19~29세, 68.4 g)의 총 당류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았으며,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비율도 이들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량의 주요 급원식품은 설탕, 탄산음료, 커피, 빵류, 과일 채소 음료류 등 이었으며,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량에 대한 음료류의 기여율은 평균 18.1%이었으나 19~29세에서는 24.9%에 달할 만큼 음료류가 부각되었다. 비록 우리국민의 현재 총 당류 섭취량이 한국영양학회의 권고 수준인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20%를 벗어나지는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총 당류 섭취수준을 보인 청소년과 청년층의 식생활에 대한 관리, 특히 음료류 섭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드러났으며, 우리 국민의 보다 정확한 당류섭취량 파악이 가능하도록 당의 종류별 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함께 생애주기에 따라 차별화 된 적절한 당류 저감화 정책이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otal sugar intake and identify major food sources of total sugar intake in the diet of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Dietary intake data of 33,745 subjects aged one year and over from the KNHANES 2008-2011 were us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on 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 다만 이와 같은 일부 선행 연구들의 결과는 가공식품이나 일부 외식 음식 등 제한된 규모의 당함량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분석되어, 향후 당류 저 감화를 위한 정책이나 사업 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에는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 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 4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식품섭취량조사 결과 에 등장한 모든 식품에 대해 총 당류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해당 섭취량 자료와 연계하여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실태와 급원식품 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인의 총 당류 섭취량에 근거한 섭취기준 설정이나, 비만 및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당류 저감화 정책 수립과 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서 free sugars 섭취량을 어떻게 제한하고 있는가?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에서는 free sugars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에너지의 10% 미만으 로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10 최근 당류 섭취 제한 권고수 준을 5% 미만으로 낮추는 것에 대한 검토가 진행 되고 있다. 11 한편 미국에서는 고체지방 (solrd fat)과 첨가당 (added sugars) 으로 전체 섭취 에너지의 5~15%, 12 영국에서는 권고 상한치 개념에서 비우유 외재성당 (Non-milk extrinsic sugars)으로 11% 를 제안하였다.
총 당류 섭취량에 기여하는 주요 급원 식품군의 기여도는? 총 당류 섭취량에 기여하는 주요 급원 식품군의 기여도를 비 교해 보면 (Fig. 2), 가공식품으로부터 56.8%, 과일 24.9%, 우 유 5.7%, 이외의 원료성 식품 12.5%로 나타나 가공식품으로부 터 섭취되는 총 당류 섭취량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히 12~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식품섭취량 통합자료를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총 당류 섭취량을 추정했을 때, 연령층에 따른 당류 섭취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7 g을 각각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층에 따라서는 청소년층 (12~18 세)의 1인 1일 평균 총 당류 섭취량이 69.6 g으로 가장 높았으 며, 그 다음으로 청년층 (19~29세) 68.4 g, 장년층 (30~49세) 65.3 g 등이었고, 65세 이상 노인층의 섭취량은 39.1 g으로 나 타나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가공식품으로 부터의 총 당류 섭취량도 12~18세와 19~29세의 연령층에서 각각 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food industry analysis repor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 Epstein LH, Gordy CC, Raynor HA, Beddome M, Kilanowski CK, Paluch R.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decreasing fat and sugar intake in families at risk for childhood obesity. Obes Res 2001; 9(3): 171-178. 

  3. Ludwig DS, Peterson KE, Gortmaker SL. Relation between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drinks and childhood obesity: a prospective, observational analysis. Lancet 2001; 357(9255): 505-508. 

  4. Millar L, Rowland B, Nichols M, Swinburn B, Bennett C, Skouteris H, Allender S. Relationship between raised BMI and sugar sweetened beverage and high fat food consumption among children. Obesity (Silver Spring) 2014; 22(5): E96-E103. 

  5. Gibson S, Neate D. Sugar intake, soft drink consumption and body weight among British children: further analysis of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data with adjustment for under-reporting and physical activity. Int J Food Sci Nutr 2007; 58(6): 445-460. 

  6. Gross LS, Li L, Ford ES, Liu S. Increased consumption of refined carbohydrates and the epidemic of type 2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an ecologic assessment. Am J Clin Nutr 2004; 79(5): 774-779. 

  7. Kosova EC, Auinger P, Bremer AA. The relationships between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nd cardiometabolic markers in young children. J Acad Nutr Diet 2013; 113(2): 219-227. 

  8. Feig DI.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hypertension. Future Cardiol 2010; 6(6): 773-776. 

  9. Kim Y, Chang H.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ugar consumption, quality of diet, and dietary behavior in 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1; 5(3): 236-245.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WHO opens public consultation on draft sugars guidelin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4 Jul 29]. Available from: http://www. who.int/mediacentre/news/notes/2014/consultation-sugar-guideline/ en/. 

  1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7th Editio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USA; 2010. 

  13. Food Standards Agency (GB). FSA nutrient and food based guidelines for UK institutions. London: Food Standards Agency; 2006.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5. Cho SH, Chung CE, Kim SH, Chung HK.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7; 40(Suppl): 3-8. 

  16. Chung CE.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2007; 40(Suppl): 29-38. 

  17. Chung CE.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2002. Korean J Nutr 2007; 40(Suppl): 9-21.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campaign to reduce sugar intake. Cheongju: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May 24. 

  1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5.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2012. 

  2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notification No. 2011-16 of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Cheongju: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Apr 1. 

  21. Welsh JA, Sharma AJ, Grellinger L, Vos MB. Consumption of added sugars is decreasing in the United States. Am J Clin Nutr 2011; 94(3): 726-734. 

  22. Langlois K, Garriguet D. Sugar consumption among Canadians of all ages. Health Rep 2011; 22(3): 23-27. 

  23. Bates B, Lennox A, Bates C, Swan G; Department of Health; Food Standard Agency.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headline results from years 1 and 2 (combined) of the rolling programme (2008/2009-2009/10). London: Food Standard Agency; 2010.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5. Yang Q, Zhang Z, Gregg EW, Flanders WD, Merritt R, Hu FB. Added sugar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mortality among US adults. JAMA Intern Med 2014; 174(4): 516-524. 

  26. Hess J, Latulippe ME, Ayoob K, Slavin J. The confusing world of dietary sugars: definitions, intakes, food sources and international dietary recommendations. Food Funct 2012; 3(5): 477-486. 

  27. Review of labelling reference intake values: scientific opinion of the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on a request from the commission related to the review of labelling reference intake values for selected nutritional elements. (Question No EFSA-Q-2008-772). EFSA J 2009: 1008. 

  28.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NDA).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carbohydrates and dietary fibre. EFSA J. 2010; 8(3): 1462. 

  29. Ministry of Health Malaysia,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n Food and Nutrition. Malaysia dietary guildline. Putrajaya: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n Food and Nutrition; 2010. 

  30. Saeland M, Haugen M, Eriksen FL, Wandel M, Smehaugen A, Bohmer T, Oshaug A. High sugar consumption and poor nutrient intake among drug addicts in Oslo, Norway. Br J Nutr 2011; 105(4): 618-624. 

  31. Monteiro CA, Levy RB, Claro RM, de Castro IR, Cannon G. Increasing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and likely impact on human health: evidence from Brazil. Public Health Nutr 2011; 14(1): 5-13. 

  32. Olsen NJ, Andersen LB, Wedderkopp N, Kristensen PL, Heitmann BL. Intake of liquid and solid sucrose in relation to changes in body fatness over 6 years among 8- to 10-year-old children: the European Youth Heart Study. Obes Facts 2012; 5(4): 506-512. 

  3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Nutrition Service. 7 CFR Parts 210 and 220.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and school breakfast program: nutrition standards for all foods sold in school as required by the healthy, hunger-free kids act of 2010: interim final rule. Fed Regist 2013; 78(125): 39068-39120. 

  3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The CDC guide to strategies for reducing the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0. 

  35. Food Standard Agency (GB). Recommendations to industry on saturated fat and added sugar reductions, and portion size availability for biscuits, cakes, buns, chocolate confectionery and soft drinks. London: Food Standard Agency; 2010. 

  36.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GB). Measuring up: the medical profession's prescription for the nation's obesity crisis. London: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2013. 

  3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pecial act on safety control of children's dietary life. Law No. 12671 (May 21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