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육대학교 여대생의 전공에 따른 식습관, 영양소섭취상태 및 건강습관에 관한 비교
Study on the Dietary Habit,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ir Majors Among College Women in Sahmyook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826 - 836  

정근희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태환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경순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우민 (삼육대학교 동물과학부) ,  정동근 (삼육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이동섭 (삼육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0~24세의 여대생 253명을 대상으로 전공에 따라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77명), 식품영양학 전공자(103명) 및 체육학 전공자(73명)로 분류하여 이들의 식습관, 영양소섭취상태, 건강습관 및 신체계측 조사를 통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전체 여대생들이 한 달 동안 쓰는 용돈으로는 20~30만원이 가장 많았다. 여대생들의 평균 신장은 162.3${\pm}$4.7 cm, 평균 체중은 52.2${\pm}$5.1 kg이었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19.8${\pm}$1.8 kg/$m^2$로 조사되었다. 전체 여대생들의 평소 식사시간의 규칙성을 보면, 17.8%만이 규칙적이라고 답한 반면에, 29.3%는 평소의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이라고 답하였다. 여대생들의 30.0%가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조사대상자의 13.1%는 아침식사를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대생들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아침시간이 바빠서>라고 답한 응답자가 55.6%를 차지하였다. 전체 여대생 중 과식을 하지 않는 여대생은 17.0%였고, 과식을 자주하는 여대생은 14.6%로 조사되었으며, 과식을 하는 이유로는 60.0%가 <좋아하는 음식이 많아서>라고 답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외식을 자주하는 비율은 43.0%나 되었고, 외식을 할 때 선호하는 음식의 종류로는 세 군 모두 한국음식이 55.2%로 가장 높았다. 전체 여대생의 91.2%는 편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편식을 하는 이유로는 65.6%가 <그냥 아무이유 없이>라고 답하였다. 간식을 전혀 하지 않는 여대생은 12.0%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간식을 1~2회 한다는 여대생은 76.9%로 조사되었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영양소의 섭취 실태는 엽산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를 과잉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대생의 48.8%가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으며, 일주일 동안의 운동 횟수는 일주일에 1~2번 하는 경우(40.2%)가 가장 많았다. 영양제 복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전체 조사대상자의 25.4%가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복용하는 영양제의 종류로는 세 군 모두 비타민 제제를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의 53.2%는 한 달 동안 쓰는 용돈으로는 20~30만 원이라고 답하였다.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의 22.1 %는 평소에 식사시간이 규칙적이라고 답하였으며, 28.6%는 매일 아침식사를 한다고 답하였다.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의 경우 특히 다른 두 군에 비해 과식, 외식 및 편식을 하지 않는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간식의 경우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의 경우 과일을 섭취(26.1%)하는 비율은 낮았으며, 영양소 섭취 중 나트륨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영양학 전공자의 16.5%는 평소에 식사 시간이 규칙적이라고 답하였으며, 아침식사를 매일 한다고 답한 비율도 30.1%였다. 식품영양학 전공자는 간식으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섭취하는 영양소로는 vitamin C와 vitamin E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복용하는 영양제 중 비타민 제제(70.8%)를 다른 두 군에 비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조사되었다. 체육전공자는 방과 후에 각종 운동시설에서 시간제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른 두 군에 비해 용돈으로 사용되는 비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체계측 결과 체육전공자는 전체 여대생의 평균 신장에 비해 2.0 cm 더 크게 조사되었다. 체육전공자는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이었으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 Sahmyook University according to their majors. Specifically, women majoring in literature and science (77), food and nutrition (103) and sport (73) were evaluated. College wome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여대생 관련 연구는 여대생들의 식생활 전반에 관한 내용(3-10)과 건강습관(1,9) 및 영양지식과 식습관의 관계(11-14)에 대한 논문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영양지식을 가지고 있는 식품영양학 전공자와 비전공자들과의 식생활 습관이나 건강습관 등에 관한 비교 논문은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여대생과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 및 체육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전공별로 식습관과 영양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습관을 조사하여 각 전공에 맞는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 조사에서는 어떤 것을 조사했나요? 식습관 조사 및 간식 섭취실태: 식습관 조사에서는 규칙적인 식사 시간, 아침식사의 여부, 아침식사 결식 이유, 과식, 과식을 하는 이유, 외식, 외식할 때 선호라는 음식, 편식의 여부 및 편식을 하는 이유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3,14). 또한 설문지 문항을 통하여 적절한 간식 횟수 및 선호하는 간식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0∼24세의 여대생 25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조사대상자들을 어떻게 분류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어떤 조사를 하였나요?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0∼24세의 여대생 253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2009년 12월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들을 전공에 따라 일반(인문계 및 이공계) 전공자(77명), 식품영양학 전공자(103명) 및 체육학 전공자(73명)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영양섭취조사 및 건강습관을 조사하였고, 신체계측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이 섭취조사는 어떤 방법을 사용했나요? 영양섭취조사: 식이 섭취조사는 식품섭취 빈도조사 FoodFrequency Questionnaire(FFQ)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Lim과 Oh(15)의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응용하여 식품섭취와 계절적인 변이를 고려하여 여대생의 식이 섭취조사에 맞게 보강 및 수정하여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빈도조사지는 곡류 및 전분류 14종, 육류 및 그 제품 10종, 어패류 및 그 제품 16종, 난류 2종, 두류 및 그 제품 2종, 채소류 18종, 버섯류 1종, 해조류 2종, 과일류 13종, 견과류 1종, 음료 7종, 우유 및 유제품 6종, 유지 및 당류 6종, 스낵류 2종 등 총 100종의 식품을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Park EJ, Cheong HS, Shin DS. 2004.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01-1514. 

  2. Shin YJ, Park GS. 199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businessman in urban areas. Korean J Dietary Culture 10:435-442. 

  3.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89-1598. 

  4. Lee SH, Chang NS. 2007.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habits and diet quality in the weight loss and weight gain groups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40: 463-474. 

  5. Cheong SH, Kwon WJ,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 Korean J Community Nutr 7: 293-303. 

  6. Kim KY, Ahn GJ, Kim KW. 2004. Analysis of dietary habit, eating disorder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y weight control attempt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r Study of Obesity 13: 248-257. 

  7. Yoon HS. 2006. An assessment on the dietary attitudes, stress level and nutrient intakes by food record of food and nutrition 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tr39: 145-159. 

  8. Lee JH, Kim JS, Lee MY,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weight-control experience,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unity Nutr 6: 604-616. 

  9. Chung SH, Chang KJ. 2002. A comparison betwee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status with an emphasis on serum iron. Korean J Nutr 35:952-961. 

  10. Lee J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nutrition knowledge, nutrients intake, eating-related characteristicsof dancing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9: 501-510. 

  11. Kang NE, Jeong EJ, Song YS. 1992.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between nutrition major college women and non-major college women. Korean J Food &Nutr 5: 116-122. 

  12. Kim WY. 1984.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17: 178-184. 

  13. Song YS. 1986. The effect of nutrition course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in college students.Korean J Nutr 19: 420-426. 

  14. Choi MS, Choi DJ. 1999. A study on dietary attitudes,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12: 306-311. 

  15.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 58-66. 

  1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17. Kim HK. 2000. Effect of nutrition course on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J Human Ecology University of Ulsan 1: 15-30. 

  18. Kim HY,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88-1397. 

  19. Anuurad E, Shiwaku K, Nogi A, Kitajima K, Enkhmaa B,Shimono K, Yamane Y. 2003. The new BMI criteria for Asians by the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region of WHO are suitable for screening of overweight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in elder Japanese workers. J OccupHealth 45: 335-343. 

  20. Ahn MS, Chang IY, Kim KH. 2007. Comparisons of UCP2 polymorphism,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dex in normal and obes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404-413. 

  21. Hong SM, Kim EY, Kim SR. 1999. A study on iron status and anemia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Ulsa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51-1157. 

  22. Kim HS, Chung CE. 2001. A study on the eating ou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 DietaryCulture 16: 147-157. 

  23. Cho HS. 1997. A study on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Junlanamdo.Korean J Dietary Culture 12: 301-308. 

  24. Rho JO, Woo KJ. 2003.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university students in In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155-166. 

  25. Shin MK, Seo ES. 1995.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Ink-San area. J KoreanHome Eco Assoc 33: 89-100. 

  26.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J Nutr 34: 946-955. 

  27. Lim HS, Jin HO, Lee JA. 2000. Dietary intakes and status of folate in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Korean J Nutr 33: 296-303. 

  28. Hibbard BM. 1993. Folate and fetal development. Br J Obstet Gynaecol 100: 307-309. 

  29. Chang SO, Bae SK. 2009. Development of high calcium dishes for elementary school lunch and perception on calcium supply by school dietitian. J Korean Soc Food SciNutr 38: 1373-1380. 

  30. Heaney RP. 1989. Nutritional factors in bone health in elderly subjects: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problems. Am J Clin Nutr 50: 1182-1189. 

  31. Johnson NE, Smith EL, Freudenheim JL. 1991. Effect on blood pressure of calcium supplementation of women. Am J Clin Nutr 53: 542-546. 

  32. Lee JW, Lee EY, Lee BK. 1999.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response to dietary sodium level in normotensive young Korean women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Korean J Nutr 32: 661-670. 

  33. NIH Consensus Statement. 1994. Optimal calcium intake.J Am Med Assoc 272: 1942-1948. 

  34. Hong HO, Lee OH, Jeong DC, So JM, Nagatomi R, ChoiEC, Hwang GH, Ahn EH. 2001. A study of dietary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mpetitive female athletes. Korean J Nutr 34: 645-655. 

  3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36. Bell LS, Fairchild M. 1981. Evaluation of commercial multivitamin supplements. J Am Diet Assoc 87: 341-3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